$\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에 의한 탐구수업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Inquiry Instruction Model b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0 no.1, 2009년, pp.471 - 492  

노진영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  변우열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  이병기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탐구수업은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는 역동적인 과정이다. 탐구수업은 교사가 지식을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학생스스로가 지식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현행 탐구수업은 학교도서관과의 연계성 부족,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간의 협력 부족, 실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탐구수업 모형이 미흡하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정보의 접근, 평가, 이용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는 정보활용능력은 탐구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피트(Lippitt)의 탐구과정과 정보활용과정모형(Big6 Skills, Pathways to Knowledge, I-Search, 8Ws, IP, IRP)을 비교 분석하여 탐구수업에 적합한 기능, 전략, 활동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보활용과정에 의한 탐구수업의 정교화 모형을 설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quiry instruction is a dynamic process that uses questioning and answering to have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own learning. Inquiry instruction is a teaching technique in which teachers do not provide knowledge, but help students discover knowledge by themselves. However, Inquiry in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활용과정에 의한 탐구수업,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력에 의한 탐구 수업을 전제로 탐구수업 모형을 정교화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탐구수업 정교화 모형의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여기에서는 대표적인 탐구과정모형과 정보활용과정 모형을 비교·분석하여 상호간 유사성을 규명함으로써 정보활용과정을 탐구수업모형에 적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타진하고, 정보활용과정 모형에 나타난 각종 지도 전략이나 기능 및 활동을 탐구과정에 적용하여 수업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탐구수업 모형을 정교화하고자 한다.
  • 반면에 탐구과정과 유사성이 있는 정보활용과정 모형에는 단계는 물론 교사와 학생들이 수행해야 할 구체적인 기능, 전략, 활동이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정보활용과정 모형에 제시되어 있는 기능, 전략, 활동을 분석하고, 이를 탐구과정에 접목시킴으로써 탐구수업 모형을 보다 정교화 하고자 한다.
  • 이미 기존 연구를 통해서 탐구과정이나 정보활용과정 모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본 연구는 정보활용 과정모형을 바탕으로 탐구수업 모형을 정교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대표적인 탐구과정모형과 정보활용과정 모형을 비교·분석하여 상호간 유사성을 규명함으로써 정보활용과정을 탐구수업모형에 적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타진하고, 정보활용과정 모형에 나타난 각종 지도 전략이나 기능 및 활동을 탐구과정에 적용하여 수업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탐구수업 모형을 정교화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탐구수업 과정은 정보활용 과정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탐구환경으로서의 학교도서관과 연계하면 정보활용을 통한 탐구수업을 효과적으로 전개할 수 있고, 정보활용능력 신장을 위한 정보활용과정 모형을 탐구수업 모형에 적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탐구수업 모형을 개발할 수 있다는 문제 인식 하에 정보활용과정에 의한 탐구수업의 정교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 이에 본고에서는 학교도서관의 정보자료를 활용하고, 사서교사와의 협력에 의해서 탐구수업을 효과적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기존의 탐구수업 모형을 보다 정교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탐구수업의 성격과 문제점을 고찰함으로써 탐구수업과 학교도서관을 연계시켜야 할 당위성을 규명하고, 탐구과정과 정보활용과정을 비교·분석하여 정보활용과정에 나타난 기능, 활동, 전략을 탐구수업 과정에 접목시킴으로써 정보활용과정에 의한 탐구수업의 정교화된 모형을 설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듀이가 정의한 탐구란 무엇인가? 듀이에 의하면 탐구란 ‘일련의 사실로부터 제안할 수 있거나 가정할 수 있는 어떤 신념이나 새로운 사실(혹은 진리)을 객관적 자료나 사실, 현상을 이용하여 그들간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일관성 있게 검증하여 새로운 결론을 도출해 내는 것’3)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마시알라스(B. G.
탐구수업이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누구인가? 탐구수업(inquiry instruction)이란 용어는 슈왑(Schwab)이 1964년에 최초로 사용하였으며, 탐구활동을 통해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수업의 형태를 말한다. 정선영 등에 의하면 탐구 수업이란 “학습자가 특정 주제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설을 세우고, 자료를 통해 검증하는 학습 활동”6)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파파스와 테페(Pappas and Tepe)는 탐구수업에 대해 “질문에 응답하고,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조사하는 과정”7)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초·중등학교 교육의 수업의 형태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초·중등학교 교육에 있어서 교사가 적용하는 수업의 형태는 학생들의 교과 성적은 물론 학습능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수업의 형태로는 강의수업, 탐구수업, 토론수업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탐구수업은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교육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는 탐구수업이 지식을 단순히 전달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학습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주어진 상황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등정신능력을 길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정세구, "탐구수업.학습의 이론적 근거," 한국교육, 제4권, 제1호(1997. 4), p.65. 

  2. 허경철, 정재걸, "해방 이후 초.중등학교 교육내용과 방법의 변화 추세," 교육학 연구, Vol.33, No.2(1995), pp.19-41. 

  3. J. Dewey, How We Think(New York : Heath and Co., 1933), p.9(한면희, "사회과 탐구학습과정의 이론적 고찰," 한국교육, 제4권, 제1호(1997. 4), pp.51-63에서 재인용. 

  4. B. G. Massialas, "Evaluating Social Inquiry in the Classroom," The High School Journal, Vol.53, No.2 (November 1969), p.75. 

  5. Pennsylvania Department of Education, Science Glossary, 2001. [cited 2008. 12. 10]. 

  6. 정선영, 김한종, 역사교육의 이해(서울 : 삼지원, 2001), p.173. 

  7. Marjorie L. Pappas, Ann E. Tepe, Pathways to Knowledge and Inquiry Learning(Englewood, Co. : Libraries Unlimited, 2002), p.27. 

  8. 허희옥, 컴퓨터교육방법 탐구(서울 : 교육과학사, 2003), p.154. 

  9.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용 콘텐츠 개발 종합 계획 수립 연구(서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2), p.129. 

  10. Danny Callison, Annette Lamb, Inquiry-based Learning, 2005. [cited 2008. 12. 10]. 

  11. 박성익, 敎授.學習 方法의 理論과 實際(I)(서울 : 교육과학사, 2005), pp.116-119. 

  12.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기준(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3), pp.77-81. 

  13. Daniel Callison, "Key Words in Instruction: Inquiry," School Library Media Activities Monthly, Vol.15, No.6(February 1999), pp.38-42. 

  14. IFLA, IFLA/UNESCO School Library Guidelines, 2002. [cited 2008. 12. 15]. 

  15. ALA, AASL, Access to Resources and Services in the School Library Media Program: An Interpretation of the Library Bill of Rights, 2005. [cited 2008. 1. 20]. 

  16. D. L. Whelan, "13,000 Kids Can't be Wrong," School Library Journal, Vol.50, No.2(2004), pp.46-50. 

  17. ALA, AASL, Position Statement on Flexible Scheduling, 2006. [cited 2008. 1. 20]. 

  18. Joy H. McGregor, "Flexible Scheduling: How Does a Principal Facilitate Implementation?" School Libraries Worldwide, Vol.8, No.1(2002), pp.71-84. 

  19. H. Thelen, Education and the Human Quest(New York : Harper & Row, 1960), pp.138-145. 

  20. Richard J. Suchman, The Elementary School Training Program in Scientific Inquiry(Urbana : University of Illinois, 1962) 

  21. B. Massials & B. Cox, Inquiry in Social Studies(N.Y. : McGraw-Hill, 1966)(이관규, "학교 문법 교육에 있어서 탐구 학습의 효율성과 한계점에 대한 실증적 연구," 국어교육, 제106호(2001.10), pp.31-63에서 재인용). 

  22. R. Lippitt, R. Fox & L. Schaible, The Teacher's Role in Social Science investigation(Chicago : Science Research Association, 1969), pp.84-85. 

  23. 이병기, 정보활용교육론(경기 : 조은글터, 2006), p.21, p.74. 

  24. M. B Eisenberg & R. E. Berkowitz, Information Problem-solving : The Big Six Skills Approach to Library and Information Skills Instruction(Norwood, NJ : Ablex, 1990), pp.5-9. 

  25. Marjorie L. Pappas and Ann E. Tepe, Introduction to the Pathways to Knowledge : Follett's Information Skill Model(McHenry, IL : Follett Software, 1997), pp.1-8. 

  26. Marilyn Z. Joyce, & Julie I. Tallman, "Making the Writing and Research Connection with the I-Search Process," How-To-Do-It Manuals for Librarians(New York : Neal-Schuman, 1997), pp.2-15. 

  27. Annette Lamb, The 8Ws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2001. [cited 2008. 1. 20]. 

  28. Barbara K. Stripling, "Inquiry-based Learning," In B. K. Stripling, S. Hughes-Hassell ed, Curriculum Connections Through the Library(Westport, Connecticut : Libraries Unlimited, 2003), pp.7-9 

  29. Leslie B. Preddy, Student Inquiry in the Research Process, 2002. [cited 2008. 1. 20]. 

  30. Daniel Callison, "Key Words in Instruction : Information Inquiry," School Library Media Activities Monthly, Vol.18, No.10(June 2002), pp.35-39. 

  31. Mike Eisenberg and Bob Berkowitz, The $Big6^{TM}$ : Information & Technology Skills for Student Achievement, 2001. [cited 2008. 1. 25]. 

  32. Jeanne Barnes, Online Resources to Support $Big6^{TM}$ Information Skills, 2005 [cited 2008. 1. 25]. 

  33. Marjorie Pappas, Ann E. Tepe, Pathways to Knowledge and Inquiry Learning(Englewood, Colo : Libraries Unlimited, 2002), pp.1-22. 

  34. Annette Lamb, The 8Ws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2001. [cited 2008. 1. 20]. 

  35. Barbara K. Stripling, "Inquiry-based Learning," In B. K. Stripling, S. Hughes-Hassell ed, Curriculum Connections Through the Library(Westport, Connecticut : Libraries Unlimited, 2003), pp.10-17. 

  36. Leslie B. Preddy, Student Inquiry in the Research Process, 2002. [cited 2008. 1. 20]. 

  37. Marjorie L. Pappas, "Managing the Inquiry Learning Environment," School Library Media Activities Monthly, Vol.16, No.7(March 2000), pp.27-36. 

  38. Sandra Hughes-Hassell, Collection Management for Youth : Responding to the Needs of Learners(Chicago : ALA, 20056), pp.6-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