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채소섭취 변화단계에 따른 초등학생의 채소 식행동과 기호도
Vegetable Eating Behavior an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k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4 no.2, 2009년, pp.146 - 154  

백지영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혜영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egetable eating behaviors an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ke. The subjects consisted of 191 fourth and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Gyeonggi province. The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남녀별로 채소와 김치섭취 변화단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김치섭취 변화단계보다 채소섭취 변화단계에서 실행유지단계의 학생비율이 낮고, 고려전단계의 학생비율은 악간 높아서 본 연구에서는 섭취에 더 문제가 큰 것으로 나타난 채소섭취 변화단계에 따라 학생들의 채소 식 행동에 어떤 차이가 있는 가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경기도 일부지역 초등학교 4,5학년 학생들(191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채소섭취 변화단계를 파악하고 채소섭취 변화단계에 따라 채소에 대한 식행동과 기호도가 어떻게 다른 가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여러 가지 채소를 섭취하는 빈도와 섭취 행동을 개선하려는 태도를 평가하여 학생들의 채소섭취 변화단계를 구분하고, 각 변화단계별로 채소에 대한 식행동과 기호도가 어떻게 다른 가를 살펴봄으로써 단계별로 차별화된 영양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 행위 이론 중 변화단계모델에서 사람의 식행동은 어떤 단계를 거치며 변화한다고 보고 있는가? 건강 행위 이론 중 변화단계모델(stage of change model)에서는 사람의 식행동이 일련의 단계를 거치면서 변화한다고 보고 있는데, 이 일련의 변화단계를 고려전단계, 고려단계, 준비단계, 실행단계, 유지단계로 구분하고 있다(Prochaska & Velicer WF, 1997). 변화단계에 따라 관심 있는 식행동에 대한 사람들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영양교육의 전략도 달라져야 효과를 올릴 수 있다고 보고(Di Noia 등 2006; Di Noia 등 2008), 최근에는 각 변화단계에 속한 사람들의 특성에 대한 연구와 이를 토대로 한 영양 교육의 수행 등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Kwon & Oh, 2003; Choi & Kim, 2008).
편의주의 식생활의 보편화로 어떤 문제가 나타나고 있는가? 최근 우리 사회는 급속한 경제성장과 과학 발전을 통해 먹는 식품이 매우 풍부해지고 식생활도 편리해진 반면, 영양 불균형으로 인한 만성 질환의 발발율도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편의주의 식생활이 보편화됨에 따라 가공식품의 남용, 패스트푸드 섭취빈도의 증가, 영양과다, 외식 증가 등의 잘못된 식습관과 영양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편식을 하는 학생들의 수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Gu, 1999).
학교급식에서 전체 학생을 위한 채소 영양교육 방법으로 무엇이 제시되었나? 음식을 남기는 이유로는 싫어하는 음식이거나 양이 많다, 또는 맛이 없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보고하였다(Choi, 2003). 학교 급식시 전체 학생을 위한 채소 영양교육방법으로 채소 영양 포스터의 부착, 나물 영양성분표의 비치, 원하는 학생에게 추가로 나물 제공, 나물 먹는 날의 실시, 조리실습을 통한 나물 만들기 실습 등이 제시되었다(Kim, 2008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k GB, Kim JS, Han JS, Huh SM, Suh BS. 1996.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habits of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by school lunch program. Korean J Dietary Culture, 11(1):23-35 

  2. Choi HK. 2003.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ating habits, taste in foods and lunch menus in the Gyeonggi province. Masters degree thesis. Dongguk University 

  3. Choi MY, Kim HYP. 2008. Nutrition knowledge, dietary self-efficacy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student's stage of regular breakfast or exercis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5): 653-662 

  4. Cullen KW, Bartholomew LK, Parcel GS, Koehly L. 1998. Measuring stage of change for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in 9- to 12- year old girls. J Behav Medicine, 21(3):241-254 

  5. Di Noia J, Schinke SP, Prochaska JO, Contento IR. 2006. Application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to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economically disadvantaged African-American adolescents: preliminary findings. American J Health Promotion, 20(5):342-348 

  6. Di Noia J, Contento IR, Prochaska JO. 2008. Computer-mediated intervention tailored on transtheoretical model stages and processes of change increases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urban African-American adolescents. American J Health Promotion, 22(5):336-41 

  7. Greene GW, Fey-Yensan N, Padula C, Rossi JS, Clark PG. 2004. Differences in psychosocial variables by stage of change for fruits and vegetables in older adults. J Am Diet Association, 104:1236-1243 

  8. Gu PJ. 1999.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food habit for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Masters degree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Hong YJ. 1998. A study on a relation of food ecology to obesity index of 5th grade children in Cheju city (II). Korean J Dietary Culture, 13(2):141-151 

  10. Jun SN, Ro HK. 1998. A study on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r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3(1):65-72 

  11. Kang YS. 2003. Study on preference and science for advanced intake of vegetables f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Masters degree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12. Kim CI. 2008a. Child health and food, In: Proceedings of the discussion for the dissemination of healthy snack room (2008. Dec. 23rd.), 1-36 

  13. Kim EK, Kang MH, Kim EM, Hong WS. 1997. The assessment of food 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J Korean Dietetic Assoc., 3(1):74-89 

  14. Kim EY. 1999.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food service and food preference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p 28-30 

  15. Kim HJ. 2005.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food service and menu preferences in the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fifth grade students in the city of Goyang. Maste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16. Kim JH, 2008b. Developing plan of kid's food education program in school. In: Public hearing of the activation of the public relation of the kid's food education (2008. Dec. 11th.), pp14-25 

  17. Ku UH, Seo JS. 2005. The status of nutrient intake and factors related to dislike of veget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2):151-162 

  18. Prochaska JO, Velicer WF. 1997.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health behavior change. American J Health Promotion, 12:38-48 

  19. Kwon SO, Oh SY. 2003. Analyses on the factors related to stages of dietary behavioral changes among child bearing aged women. Korean J Nutrition, 36(7):759-768 

  20. Lee G, Yoo YS. 1997. Study for relations among the dietary behavior, physical status, and the degree of study achievement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 Nutrition, 2(3):294-304 

  21. Seo JY. 2004. A study on satisfaction of school food service and favorite foo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parent in chungnam area. Masters degree thesis. Kongju University 

  22. Suh YS, Chung YG. 2008. Comparison of mineral and vitamin intakes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in fruit and vegetable intak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Korean J Nutrition, 41(7):658-666 

  23. Yong HY. 2002. A study on the satisfaction level and food preferences on school lunch. Masters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