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스마트 채소 육묘 기술 개발 현황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of Smart Vegetable Seedling Production Technology in the Republic of Korea 원문보기

현장농수산연구지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and fisheries research, v.26 no.1, 2024년, pp.22 - 29  

강동현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교양학부) ,  이소영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농수산융합학부) ,  김혜경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농수산융합학부) ,  안세웅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원예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스마트 육묘 기술 개발을 위한 스마트 육묘 정의, 스마트 육묘 시스템 분석, 스마트 육묘 시스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 모델, 스마트 육묘 기술 개발 연구 동향 및 스마트 육묘 시스템 개발과 이용 전망 등을 정리하고, 향후 스마트 육묘 기술 관련 연구개발 및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스마트 채소 육묘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육묘 생산성 및 품질향상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육묘 생산, 관리 및 유통 시스템이다. 스마트 육묘 기술을 적용한 채소 모종 생산은 개별 스마트 육묘 요소 기술과 스마트 육묘 통합관리 시스템이 연동되어 생산 단계별 모종, 환경, 작업에 대한 정보의 수집, 분석,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육묘 농가의 경우, 주문, 육묘 및 출하 계획을 합리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스마트 채소 육묘 기술 정립을 위한 채소 작물별 모종 규격 및 품질 표준화와 관련 스마트 육묘 요소 기술 개발이 미흡한 실정으로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 지원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summarized the definition of smart vegetable seedling production technology, analysis of smart seedling production system, a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 model for smart seedling production system,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in smart seedling production system, and prop...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9)

  1. 민병로, 김웅, 김동우, 이대원. 2004. 영상처리를 이용한 작물의 모종시기 결정. 생물환경조절학회지 13:?178-184. 

  2. 민영봉. 1993. 공정육묘 온실의 모델 설정. 생물환경조절학회지 6: 55-70. 

  3. 박상근. 1993. 육묘공장 설계 기본제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6: 45-49. 

  4. 박중춘, 2000, 공정육묘 온실의 생산시설과 자동화 장치, 생물환경조절학회지, 27-70. 

  5. An S, Bae JH, Kim HC, Kwack Y. 2021. Production of grafted vegetable seedlings in the Republic?of Korea: achievements, challenges and perspectives.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9:?547-559. 

  6. Jang YA, Yeo KH, Lee JG, Choi CS, Um YC, Lee?SG, Yoon MK. 2013. Current status of grafted?fruit vegetable transplants production and cultiv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Seed?Science and Industry 10: 17-27. 

  7. Lee JM, Kubota C, Tsao SJ, Bie Z, Echevarria PH,?Morra L, Oda M. 2010. Current status of vegetable grafting: diffusion, grafting techniques, automation. Scientia Horticulturae 127: 93-105. 

  8. Lee JW, Jang YA, Kim Y, Chun C. 2013. Vegetable seedling production practices. History of Korean?Horticulture Development, National Institute of?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127-133. 

  9. Park KH. 2014.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rasing seedling management system and legalization to enhace rasing seedlings industry. Korea?Rural Economy Institute.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