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두 유전자원의 Vitexin 및 Isovitexin 함량 변이
Variation of Vitexin and Isovitexin Contents in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Germplasm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2 no.2, 2009년, pp.128 - 135  

김동관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손동모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천상욱 (주)이파리넷) ,  이경동 (동신대학교) ,  임요섭 (순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500여 녹두 유전자원 중에서 작물학적 가치를 가진 789계통을 선발하고, 2005년과 2006년에 각각 401, 388계통을 대상으로 배축색, 엽 크기 등 27가지 형질특성을 조사하고 종실의 vitexin과 isovitexin 함량을 분석하였다. 2005년 시험에 이용된 401계통의 평균 vitexin과 isovitexin 함량은 각각 8.7($1.1{\sim}13.4$), 9.5($0.9{\sim}15.9$) mg/g이고, vitexin과 isovitexin 함량의 상관계수(R2)는 0.958었으며, VC3890B 등 vitexin과 isovitexin 고 함유 자원 9계통을 선발하였다. 2006년 시험에 이용된 388계통의 평균 vitexin과 isovitexin 함량은 각각 10.2($2.0{\sim}15.9$), 10.6 ($0.6{\sim}17.6$) mg/g이고, vitexin과 isovitexin 함량의 상관계수(R2)는 0.958었으며, VC 4096-2B-4-B-2-B 등 vitexin과 isovitexin 고 함유 자원 6계통을 선발하였다. 녹두 주요 형질 중에서 엽이 클수록, 등숙기간이 길수록 vitexin과 isovitexin 함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elected 789 lines having agronomic values out of over 2,500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germplasms, examined the 27 characters including hypocotyl color and leaf size of 401 lines in 2005 and of 388 lines in 2006,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vitexin and isovitexin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녹두는 전술한바와 같이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형질특성과 flavonoids 화합물 함량 변이 조사를 통한 고기능성 계통을 선발하고 품종육성에 이용하려는 시도는 매우 미미하다. 따라서 녹두에서 유자자원의 이용성 증진 및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 2001), 중국 Jilin 지역에서 수집한 야생콩 647계통의 백립중, 단백질, 지방함량 분포 등 농업적 조사(Yang and Han, 1993) 등을 통해 기능성 야생콩을 선발 함으로써 나물콩 품종육성 재료로 활용하려 하였다. 콩 품종의 isoflavone 함량과 항산화 활성(So et al., 2001)을 분석하여 장류용 콩 가공적성 품종육성에 이용하려 하였다. 그러나 녹두는 전술한바와 같이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형질특성과 flavonoids 화합물 함량 변이 조사를 통한 고기능성 계통을 선발하고 품종육성에 이용하려는 시도는 매우 미미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itexin과 isovitexin은 어디에 존재하는가? , 1998), 유전자원 195점의 vitexin과 isovitexin의 함량변이를 검토하였으며(Kim et al., 2005), vitexin과 isovitexin은 녹두 종피에만 존재한다(Kim et al., 2008b).
vitexin과 isovitexin 함량이 많으려면 언제 파종해야하는가? , 2008b). 남부지역에서 녹두 관행 파종기인 6월 중순보다 늦거나(7월 중순) 빨리(5월 중순) 파종할수록 vitexin과 isovitexin 함량이 많고(Kim et al., 2008c), 유박이나 광석분말을 시용할 때 vitexin과 isovitexin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에 멀칭에 따른 이들 성분의 함량증진 효과는 없다(Kim et al.
vitexin과 isovitexin 분석시료는 어떤 방법으로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는가? 분석시료의 수분함량은 분쇄시료 3.0 g을 105℃에서 2시간 건조하여 건조 전·후 무게변화를 기초로 수분함량을 평가하는 상압가열건조법으로 측정하였고, vitexin과 isovitexin 함량은 수분함량을 보정한 무게로 환산하여 산출하였다. Vitexin과 isovitexin 함량은 시료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ung, M.G. 2006. Variation of oil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in Korean soybean germplasms. Korean J. Crop Sci. 51(S): 139-145 

  2. Choung, M.G., S.T. Kang, W.Y. Han, I.Y. Baek, H.K. Kim, D.C. Shin, N.S. Kang, Y.S. Hwang, Y.N. An, J.D. Lim, K.S. Kim, S.H. Park and S.L. Kim. 2006. Variation of isoflavone contents in Korean soybean germplasms. Korean J. Crop Sci. 51(S): 146-151 

  3. Dong, Y.S., B.C. Zhuang, L.M. Zhao, H. Sun and M.Y. He. 2001. The genetic diversity of annual wild soybeans grown in China. Theor. Appl. Genet. 103: 98-103 

  4. Hoeck, J.A., W.R. Fehr, P.A. Murphy and G.A. Welke. 2000. Influence of genotype and environment on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Crop Sci. 40: 48-51 

  5. Jeong, S.J., T.H. Kang, E.B. Ko and Y.C. Kim. 1998. Flavonoids from the seeds of Phaseolus radiatus. Kor. J. Pharmacogn. 29(4): 357-359 

  6. Jung, S.H., G.J. Shin and C.U. Choi. 1991.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rn, sweet potato, potato, wheat and mungbean star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3): 272-275 

  7. Kim, B.J., J.H. Kim, Y. Hea and H.P. Kim. 1998.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mungbean. Cosmetics & Toiletries magazine 113: 71-74 

  8. Kim, D.K., J.B. Kim, S.K. Chon and Y.S. Lee. 2005. Antioxidant petentials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s in mungbean (Vigna radiata L.) seeds. Korean J. Plant Res. 8(2): 122-129 

  9. Kim, D.K., S.U. Chon, K.D. Lee, D.M. Son, Y.S. Rim and K.H. Kim. 2008a. Effect of mulching and soil conditioners on yield and flavonoids content of mungbean. Korean J. Crop Sci. 53(4): 353-358 

  10. Kim, D.K., S.U. Chon, K.D. Lee, D.M. J.B. Kim and Y.S. Rim. 2008b. Variation of flavonoids contents in plant parts of mungbean. Korean J. Crop Sci. 53(3): 279-284 

  11. Kim, D.K., S.U. Chon, K.D. Lee, D.M. K.H. Kim, Y.S. Rim and S.C. Jeong. 2008c. Effect of seeding times on yield and flavonoid contents of mungbean. Korean J. Crop Sci. 53(3): 273-278 

  12. Kim, D.K., Y.S. Lee, B.J. Jung, D.M. Son. J.K. Moon, Y.J. Oh, J.B. Kim and K.H. Kim. 2008d. A new high quality and yield mungbean cultivar 'Sohyeon'. Korean J. Breed. Sci. 40(4): 507-511 

  13. Kim, D.K., Y.S. Lee, B.J. Jung, D.M. Son. J.K. Moon, Y.J. Oh, J.B. Kim and K.H. Kim. 2008e. A new mungbean cultivar, 'Daseon' with greenish purple hypocotyl and high yielding. Korean J. Breed. Sci. 40(4): 456-460 

  14. Kim, K.C. and E.H. Park. 2005. Variation of protein, oil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wild soybean (Glycine soja Sieb. & Zucc) seeds. Korean J. Crop. Sci. 50(S): 118-122 

  15. Kim, Y.S., Y.B. Han, Y.J. Yoo and J.S. Jo. 1981.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Korean mungbean (Phaseolus aureus). Korean J. Food Sci. Technol. 13(2): 146-152 

  16. Kitamura, K., K. Ijta, A. Kikuchi, S. Kudou and K. Okubo. 1991. Low isoflavone content in some early maturing cultivars, so called 'summer-type soybeans'. Japan J. Breed. 41: 651-654 

  17. Koh, K.J., D.B. Shin and Y.C. Lee. 199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s in small red bean, mungbean and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5): 854-859 

  18. Ko, M.S. 1982. Genetic analysis on the quantitative characters of mungbean in diallel cross. II. Differences of GCA and SCA in various generations. Korean J. Breed. 14(2): 171-172 

  19. Kweon, M.R. and S.Y. Ahn. 1993.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egume star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4): 334-339 

  20. Lee, S.C., T.G. Lim, D.C. Kim, D.S. Song and Y.G. Kim. 1997. Varietal differences of major chemical compon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mungbean. Korean J. Crop Sci. 42(1): 1-6 

  21. Lee, Y.H. and H.S. Lee. 1986. Studies on the inheritance of flowering date, yield, and yield related characters in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II. Inheritance of yield and yield related characters. Korean J. Breed. 18(4): 295-304 

  22. Lee, Y.H. and H.S. Lee. 1987. Studies on the inheritance of flowering date, yield, and yield related characters in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III. Heritability, correlation, and path coefficient analysis. Korean J. Breed. 19(1): 47-51 

  23. Lee, Y.H. and H.S. Lee. H.G. Park and E.H. Hong. 1986. Studies on the inheritance of flowering date, yield, and yield related characters in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I. Inheritance of days to flower. Korean J. Breed. 18(2): 98-108 

  24. Lee, Y.H., J.K Moon, K.Y. Park, J.H. Ku, H.T. Yun, W.K. Chung, S.D. Kim, H.S. Kim, D.H. Kim and M.N. Chung. 2000. A new mungbean cultivar with bruchid resistance, 'Jangannogdu'. Korean J. Breed. 32(3): 296-297 

  25. So, E.H., J.H. Kuh, K.Y. Park and Y.H. Lee. 2001. Varietal difference of isoflavone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n soybean. Korean J. Breed. 33(1): 35-39 

  26. Um, S.H., Y.O. Song and H.S. Cheigh. 1990. Compositions of lipid class and fatty acid in lipids extracted from mungbean starch. J. Korean Soc. Food Nutr. 19(1): 87-93 

  27. Yang, G., C. Zhen and F.Ji. Han. 1993. A preliminary study on protein and oil contents of wild soybean (G. soja) in Jilin Province. Soybean Genet. Newsl. 20: 35-38 

  28. Yang, T.J., D.H. Kim, G.C. Kuh, L. Kumar, N.D. Young and H.G. Park. 1999. Inheritance of hypocotyl purple color and seed coat luster, and RFLP mapping of luster gene in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Korean J. Breed. 31(2): 138-146 

  29. 농촌진흥청. 2006. 녹두 유전자원 특성조사 및 관리요령. pp. 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