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시대적 변천 특성
Characteristics of Periodical Changes on Standard of Estimated Unit Manpower and Material of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Korea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1, 2009년, pp.131 - 138  

이관희 (대구대학교 조경학과) ,  윤주철 (대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962년부터 2007년까지 약 45년간 제정된 토목공사 표준품셈 공종에 속해 있는 조경공사 표준품셈을 대상으로 시대별 표준품셈의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여, 그 특성을 밝혀 향후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발전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경공사 표준품셈이 속해 있는 공종 명칭과 관련해서 최초에는 '토공사'에서 1974년에 '토공 및 조경공사' 그리고 1984년에는 '조경공사'로 명칭이 개정되었으나, 현재까지도 조경공사 표준품셈은 토목공사 표준품셈에 조경공사라는 공종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1972년에 조경공사와 관련해서 '식재'와 '전정작업' 품셈이 최초로 제정된 이후 현재는 '떼붙임 및 초류파종', '굴취', '식재', '뿌리돌림', '유지관리', '정원석 쌓기 및 놓기', '암 절개면 보호식재공' 등 총 7개 대공종과 29개 소공종으로 조경공사 표준품셈이 구성되어 있다. 시대별 특성을 10년 단위로 살펴보면 조경공사 표준품셈은 1960년대($1962{\sim}1969$)는 '잔디' 분야, 1970년대($1970{\sim}1979$)는 '수목식재' 분야, 1980년대($1980{\sim}1989$)는 '유지관리' 분야, 1990년대($1990{\sim}1909$)는 '절개면 보호' 분야 그리고 2000년대($2000{\sim}$현재)는 '신소재 및 신공법'과 '유지관리' 분야 위주로 조경공사 표준품셈이 제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여 보면, '신소재 및 신공법' 품셈의 제정과 '유지관리' 분야의 품셈들이 더욱 세분화된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keep a sharp look-out on changes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in Korea from 1962 to 2007 and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for its desirable direction in the near futur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t first, w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경공사의 독립적인 품셈의 제정이 절실한 현 시점에서 품셈 공종의 변화와 흐름의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조경 공사 품셈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조경공사 품셈을 시대별로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여 그 특성을 밝혀 보는 것이 향후 조경공사의 특수성이 반영된 품셈의 실질적인 발전 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사적으로 표준품셈은 어떻게 시작되었고, 발전되어 왔는가? 표준품셈은 사람이나 기계 등을 이용하여 어떠한 목적물을 창조하기 위해 단위규격 당 소요되는 노력의 수량과 표준적인 재료의 소요량도 함께 나타낸 것으로 건설공사에서 공정과 공법을 기준으로 품량을 표준화 한 것이다(박원규, 2008a). 역사적으로는 르네상스 시대의 “Leonard da Vinci”에 의해 삽으로 흙을 떠서 투입되는 작업요소를 감안하여 표준이 될 정량의 토량을 정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산업혁명시대 때 “Frederic W Taylor"에 의한 시간연구 이론이 정착되면서, 작업요소와 작업시간을 고려한 표준화된 작업품이 산정되면서부터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다(이성진과 이상홍, 1992).
표준품셈이란 무엇인가? 표준품셈은 사람이나 기계 등을 이용하여 어떠한 목적물을 창조하기 위해 단위규격 당 소요되는 노력의 수량과 표준적인 재료의 소요량도 함께 나타낸 것으로 건설공사에서 공정과 공법을 기준으로 품량을 표준화 한 것이다(박원규, 2008a). 역사적으로는 르네상스 시대의 “Leonard da Vinci”에 의해 삽으로 흙을 떠서 투입되는 작업요소를 감안하여 표준이 될 정량의 토량을 정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산업혁명시대 때 “Frederic W Taylor"에 의한 시간연구 이론이 정착되면서, 작업요소와 작업시간을 고려한 표준화된 작업품이 산정되면서부터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다(이성진과 이상홍, 1992).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품셈이 제정된 해는? 우리나라의 경우 1962년 최초로 품셈이 제정되어 현재까지 약 45년간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정부투자기관에서 시행하는 건설공사의 공사비 예정가격을 산정하는 일반적인 기준으로 폭 넓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건설공사 상황은 건설 기술의 급속한 변화와 소재의 다양화, 공사품질의 고급화 및 건설시장의 개방 등으로 인하여 경쟁력 향상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나, 현행 우리나라 품셈은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공종과 공법을 토대로 표준적으로 작성되어 있어, 건설공사의 특수성과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과 함께 품셈의 적정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강태호(2001) 조경시공적산. 도서출판 국제 

  2. 건설부(1963-1966, 1968, 1969) 건설공사 토목공사설계 표준품셈. 건설부 

  3. 건설부(1977, 1978, 1980, 1984, 1985, 1986, 1988, 1990 1992, 1993. 1998)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4. 경제기획원(1974-1976) 표준품셈(토목부문). 경제기획원 

  5. 김종성(1997) 우리나라 조경식물 유지관리품셈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대한건설협회(1970, 1972, 1994, 1995, 1997, 1999, 2000-2004) 건설공사 표준품셈. 대한건설협회 

  7. 박원규(2008a) 조경적산학. 도서출판 조경 

  8. 박원규(2008b) 2008년도 조경공사 관련 표준품셈 개정 내용. 월간 '조경생태시공' 통권48호 pp. 112-119 

  9. 수서원(1973) 건설공사 표준품셈 

  10. 손창구 등(1990) 조경 식재 공사 표준품셈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3): 23-37 

  11. 안관호, 임병훈(2004)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12. 윤근영(1990) 조경 수목 식재공사 품의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3. 이권(1984) 공사비적산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14. 이성진, 이상홍(1992) 표준품셈 체계정립에 관한 연구. 전기통신연구 6(4): 72-79 

  15. 이재근(1988) 조경공사 표준품셈 개정에 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 학술논문 발표회 

  16. 장봉진(2001) 수목이식공사의 적산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전인식 편저(1981, 1983, 1987, 1989, 1991, 1996)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연구사 

  18. 정영선(2002) 되돌아 본 한국조경 30년사. 한국조경학회 30주년 기념집 

  19. 정평란(1980) 조경적산의 제도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한국건설기술원(2007) 2007년 건설공사 표준품셈 개정. 한국건설기술원 

  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5-2007) 건설공사 표준품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2. 한국이공학사(1979, 1982) 표준품셈. 한국이공학사 

  23. 한국조경학회(1996) 조경공사표준시방서. 사단법인 한국조경학회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