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변화특성과 개선방향 연구 - 식재공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 and Change Properties of Landscape Construction Standard Specification - Focused on Planting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1, 2013년, pp.60 - 70  

유주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전진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상석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식재공사의 분류체계, 기술방식, 품질기준의 개정시기별 변화특성을 분석하고, 국외 사례와의 비교를 통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개정을 통해 다양한 세부공종이 신설 수정되었으나 상 하위분류가 맞지 않아 시방내용이 상충되고 있으므로 비슷한 공사끼리의 재분류가 필요하다. 2. 시방서 내용을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한 기술방식으로 수정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구체성이 떨어지는 애매모호한 표현과 용어로 유지되고 있는 굴취시 뿌리분의 깊이, 지주재 강도에 관한 내용은 수정이 필요하다. 또한 표토의 채취시기, 약제 살포시기 등은 계량화될 필요가 있으며, 시방규정의 공정성을 고려하여 감독자의 지시에 따르도록 작성된 기준은 수정되어야 한다. 3. 시대적 패러다임과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품질기준이 제 개정되었으나 구체적이지 않아 수정이 필요하며, 관련 기준들의 국외 사례를 참고하여 수목재료의 품질수준, 식재적기, 굴취시 뿌리분의 크기, 성능기준 등을 개선해야 한다. 개정을 통해 식재공사의 세부공종별 재료 및 시공방법에 대한 내용은 갖춰졌다. 그러나 구체성이 떨어지고 명확하지 않은 기준들로 시방서의 현장 활용을 저해하고 있다. 이에 표준시방서의 분류체계, 기술방식, 품질기준의 문제점 도출과 개선방향의 제시가 필요하며, 이는 향후 표준시방서 개정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classification system, technique methods, quality levels of periodic amendment characteristics in planting of standard specification. Through analyzing the above and comparing with foreign case study, this study suggests the improvement directions. The results impro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의 기술방식에 대한 서술적 특성에 관한 연구로 현명훈과 김창덕(1999)은 표준시방서의 내용 전달방법으로 기술된 내용 중 현장에서 사용이 곤란하거나 구체성이 떨어지는 단어 및 용어를 도출하였다. 또한 기술방식의 서술적 특성 중 구체성 범주를 계량성, 공정성, 정확성, 명확성으로 도출하였으며, 벽돌공사를 위주로 국내외 기준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표준시방서의 기술방식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 정량적 시공기준으로 제시된 수목 굴취시 뿌리분의 크기에 대한 기준의 경우 국외기준을 분석해 본 결과 뿌리분에 대한 크기를 수목의 이식시기에 따라서 다르게 하고, 그 크기를 흉고직경의 10배로 제시하였다. 또한 깊이에 대해서는 현장의 여건에 따라 전문가가 판단 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다. 이에 국내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에서도 현행 기준이 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주고 있지 않은지 검토하여 관련 내용을 개선해야 한다(표7 참조).
  • 마지막으로 품질기준은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개정시 반영된 시대적 요구사항과 신재료, 신공법이 반영된 기준들로써, 관련 연구들을 토대로 재료의 품질수준, 현장시공을 고려한 정량적 시공기준, 수목재료의 성능을 판정할 수 있는 기준에 관해서 변화특성을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의 식재공사에 한해서 개정에 따른 분류체계와 기술방식, 품질기준에 대한 변화특성을 분석하고, 국외사례의 비교를 통해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시간적 범위는 현행 표준시방서와 유사한 구성 체계를 이루기 시작한 1987년 1차 개정판부터 현행 2008년 4차 개정판까지로 한정한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경공사의 표준시방서 중 식재공사를 대상으로 하여 분류체계와 함께 기술방식과 품질기준에 대한 개정시기별 변화특성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식물을 재료로 시공을 하는 조경공사의 경우 식재공사에 관한 기준은 시대적 패러다임을 반영하고, 지속적인 발전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조경공사의 식재공사를 중심으로 제정당시부터 현재까지의 분류체계, 기술방식, 품질 기준에 대한 발전과정과 변화특성을 분석하여 현행기준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외 기준을 비교하여 표준시방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표준시방서와 같은 개념의 기준서로 미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의 표준시방서와 같은 개념의 기준서로 미국에서는 마스터스펙(master specification)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마스터스펙의 작성기관과 시스템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ARCOM의 마스터스펙은 각 분야의 전문가와 연구자, 에디터들이 지속적으로 내용을 업데이트하는 미국의 대표적인 기준서라고 할 수 있다(구재동 등, 2003)
경제개발 도모를 위한 공단 조성 등을 위해 조경의 역할이 필요하게 되고 전문적인 조경가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1974년 시행된 법은? 1965년 경제개발 도모를 위한 공단 조성 등을 위해 조경의 역할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1970년대 경부고속도로나 구미, 울산 등 국가공단의 건설에 따라 전문적인 조경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후 1973년 경주보문관광단지 개발을 위한 전문 용역업무로 조경실무가 시작되면서 1974년 9월 19일 대통령령 1254호에 근거를 둔 건설업법 시행령에 의해 특수공사업으로 조경공사업이 등록되었으며(최기수, 2002), 마침내 1976년 12월 건설부에서 제정한 조경공사 표준시방서가 일부 공종에 한하여 발간되었다.
건설시장의 개방과 외국 업체의 국내 시장 진입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것은? 건설시장의 개방과 외국 업체의 국내 시장 진입으로 계약문서의 하나인 설계도면, 시방서 등 설계서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구재동 등, 1998). 특히 표준시방서는 다양한 재료와 공법의 사용에 대한 기준서라고 할 수 있으며, 기술의 발전과 소비자 욕구의 증가에 따라서 오랜 세월 수차례 개정 되었다(이호금,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구재동, 김태송, 박찬혁(1998) 건설사업 관리제도 활성화 연구(I): 시방서.설계기준 등 건설공사기준 국제화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보고서. 

  2. 구재동, 김태송, 진경호, 이민우(2003) 시방서 작성 실무 매뉴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보고서. 

  3. 국토교통성(2011) 공원녹지공사 공통사양서. 

  4. 건설교통부(1987)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5. 건설교통부(1996)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6. 건설교통부(2003) 국토해양부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7. 건설교통부(2008) 국토해양부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8. 김예상, 김종훈, 권오경(2005) 미국의 설계 경쟁력 어디에서 오나?. 서울: 보문당. 

  9. 우영섭(2001) 조경공사에 공종분류의 개선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상석(2012) 조경공사 선진화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 보고서. 

  11. 이종헌, 김종인, 김성원, 김규창(2009)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의 신뢰성 수준의 변화,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2009(10): 2377-2380. 

  12. 이준철(1983) 조경시공에 있어서 시방서의 적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식재공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호금(2010) 시방서 분류체계 비교연구: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서울시 전문시방서 및 LH공사 전문시방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심종섭, 오홍섭(1999)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의 변천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공학기술논문집 8(1): 149-156. 

  15. 최기수(2002) 조경실무 30년의 리뷰, 그리고 제언. 한국조경학회. 

  16. 현명훈, 김창덕(1999) 건축표준시방서의 서술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술식으로 작성된 기술시방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15(6): 131-140. 

  17. AIA(2010) MASTERSPEC(Full length).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