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붉은 양파 분말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Red Onion Powder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4 no.6, 2009년, pp.749 - 755  

장주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  권선진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  임선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nents of red onion powder dried using the low temperature vacuum method and the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of the dried red onion powder on the growth of HT-1080 human fibrosarcoma and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and $H_2O_2$-induced oxi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는 활성산소종 형성과 관련된 실험에서 널리 사용되어는 방법이며(Lee 등 2008), 양파 섭취는 결장암 위험을 감소시켰다고 보고되었다(Millen 등 2007).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저온 진공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붉은 양파를 분말화하여 품질 특성을 검토하고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 및 결장암세포(HT-29)에 대한 증식 및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저온 진공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붉은 양파를 건조한 후 비타민 C를 포함한 일반성분 및 총 페놀성분을 측정하였고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인체 섬유육종세포 (HT-1080) 및 결장암세포(HT-29)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와 세포 내 활성산소종 억제 효과에 대해 검토하였다. 저온 진공 건조방법으로 건조된 붉은 양파 분말은 생것과 비교했을 때 수분의 경우 80%가 감소하였고 높은 비타민 C와 총 페놀함량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파는 무엇이 풍부한 식품인가? 식물성 식품의 여러 생리기능성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채소류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향신료 식물은 다른 식물성 식품에 비해 기능성을 많이 가지고 있다. 그 중 양파도 중요한 기능성 식품으로서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비타민 C, 비타민 E, β-카로틴과 quercetin, quercitrin, rutin 등과 같은 플라보노이드가 풍부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Fossen 등 1998). 우리나라에서 양파는 1인당 연간 소비량이 1998년 14.
붉은 양파에 대해서 저온 진공 건조 기술을 사용하였는데 이것의 장점은 무엇인가? 양파의 총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산지와 품종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지금까지 붉은 양파를 저온 진공 건조법을 이용하여 건조한 후 이것의 생리활성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저온 진공 건조 기술은 건조과정 중 산소가 거의 차단되어 건조과정 중에 일어날 수 있는 부패와 변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풍건조기에 비하여 건조시간도 비교적 짧은 장점이 있다. 또한 재료의 수분함유량의 조절이 간편하며 재료의 건조온도가 비교적 낮아 재료의 열에 의한 변성이 적고 에너지 비용 절약이라는 측면에서도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와 비교했을 때 결과적으로 생산단가를 1/3~1/4 정도로 낮출 수 있으며, 건조 품질의 향상과 다양한 응용식품의 개발이 가능하다(Kim 1999; Kim 등 2000). 붉은 양파 분말 제조에 저온 진공 건조의 도입은 붉은 양파가 저온에서 건조되어지므로 영양소 손실의 최소화와 시간의 절약 그리고 저장성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앞으로 이용가능성이 높은 방법이라 생각된다.
붉은 양파 육질의 플라보노이드 농도는 어느정도 되는가? Shon 등(2004)은 양파의 품종 별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이용하여 총페놀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붉은 양파의 총페놀 함량이 황색 및 흰색양파보다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Bilyk 등(1984)은 황색과 붉은 양파 육질의 플라보노이드 농도가 60-1000 mg/kg 범위를 나타내며 특히 색을 가진 마른 껍질 중에는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2.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진희, 성순조, 김윤희 이윤래, 정숙희. 2008. 창녕양파를 이용한 건강 소스류의 개발 및 생리활성 효과 평가. Proceedings of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Conference. Seoul. p 259 

  2. 농림수산식품부. 2008. 농림수산식품통계. pp 80-93 

  3. 한국식품공업협회. 2000. 식품공전. 미량성분시험법. pp 853-855 

  4. 통계청. 2008. 2007년 사망 및 사망원인 통계결과. pp 1-32 

  5. Amerinem MA, Ough CS. 1958. Method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 Wiley & Sons. New York, USA. pp 176-180 

  6. AOAC International. 2005. Official methods of anlysis of AOAC International 18th ed. AOAC International 

  7. Bilyk A, Cooper PI, Sapers GM. 1984. Varietal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quercetin and kaempferol in onion (Allium cepa L.) tissue. J. Agric. Food Chem., 32(2):274-280 

  8. Denizot F, Lang R. 1986.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growth and survival modifications to the tetrazolium dye procedure gi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reliablity. J. Immunol. Methods, 89(2):271-277 

  9. Fossen T, Pedersen AT, Andersen OM. 1998. Flavonoids from red onion (Allium cepa). Pytochemistry, 47(2):281-285 

  10. Jang JR, Kim KK, Lim SY. 2008. Anticancer and antioxidant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dried onion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J. Life Sci., 18(9):1271-1277 

  11. Jeong CH, Kim JH, Shim KH. 2006. Chemical components of yellow and red onion. J. Kor. Soc. Food Sci. Nutr., 35(6):708-712 

  12. Kim KK. 1999. Therm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by low temperature vacuum dryer. Proceedings of the KSME 1999 Spring Annual Meeting. pp 1-6 

  13. Kim KK, Sung BY, Jung HS, Choi SY, Moon SB. 2000. A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large low temperature vacuum dryer for biological drying. J. Kor. Soc. Marine Engineers, 24(4):427-434 

  14. Kim YH, Shon, MY, Sung NJ. 2004.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white and yellow onions after simulated gastric digestion. J. Life Sci., 14(6):925-930 

  15. LeBel CP, Ischiropoulos H, Bondy SC. 1992. Evaluation of the probe 2',7'-Dichlorofluorescin as an indicator of reactive oxygen species formation and oxidative stress. Chem. Res. Toxicol., 5(2):227-231 

  16. Lee CJ, Kim HD, Choung EH, Suh JK, Park CW, Ha JK. 2000. Reduction effect of carcinogen induced mouse epidermal and forestomach carcinogenesis by the extract of onion wastes. J. Kor. Soc. Food Sci. Nutr., 29(3):525-530 

  17. Lee KJ, Hwang SJ, Choi JH, Jeong HG. 2008. Saponins derived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inhibit HT-1080 cell invasion and MMPs activities: Regulation of NF- $\kappa$ B activation via ROS signal pathway. Cancer Letters, 268(2):233-243 

  18. Millen AE, Subar, AF, Graubard BI, Peters U, Hayes RB, Weissfeld JL, Yokochi LA, Ziegler RG. ; PLCO Cancer Screening Trial Project Team. 2007.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prevalence of colorectal adenoma in a cancer screening trial. Am. J. Clin. Nutr., 86(6):1754-1764 

  19. Park J, Kim J, Kim MK. 2007. Onion flesh and onion peel enhance antioxidant status in aged rats. J. Nutr. Sci. Vitaminol. 53(1):21-29 

  20. Rho SN, Han JH. 2000. Cyotoxicity of garlic and onion methanol extract o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J. Kor. Soc. FoodSci. Nutr., 29(5):879-874 

  21. Shahidi F, Wanasundara PK. 1992. Phenolic antioxidants. Critical Rev. Food Sci. Nutr., 32(1):67-103 

  22. Shon MY, Park SK. 2006. Chemical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onions. Kor. J. Food Preserv., 13(6):762-768 

  23. Shon MY, Choi SD, Kahng GG, Nam SH, Sung NJ. 2004. Antimutagenic,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ylacetate extracts from white, yellow and red onions. Food Chem. Toxicol., 42(4):659-666 

  24. Tsuchiya M, Suematsu M, Suzuki H. 1994. In Vivo visualization of oxygen radical-dependent photoemission. Methods Enzymol., 233:128-1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