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가 지각한 욕창 간호의 중요도, 교육요구도와 지식 및 수행과의 관계
Perceived Importance, Educational Needs,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cerning Pressure Ulcer Care by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1 no.1, 2009년, pp.95 - 104  

양남영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  문선영 (신흥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xamine pressure ulcer care from the standpoints of perceived importance, educational needs, knowledge and performance among clinical nurses.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t sample of 289 nurses from four hospitals. Questionnaire data collected from Jun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욕창 간호의 중요도와 교육요구도 및 지식수준과 간호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추후 효율적인 욕창 간호를 위한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 또한 욕창 간호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대상자가 대부분 중환자실, 수술실, 가정간호 등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였지만(Im & Park, 2006; Joo, 2005; Kim & Choi, 2004; Lee, Jeong, & Jeon, 2003; Park, Park, & Yu, 2005), 욕창은 임상의 어느 영역에서나 반드시 다루어져야 하는 중요한 간호 쟁점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특수부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임상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도함을 연구의 의의로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가 지각한 욕창 간호의 중요도, 교육요구도, 지식 및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 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08년 6월부터 8월까지였고, 연구대상은 편의 추출된 경기, 서울 소재 4개 종합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 300명으로 연구의 목적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이해한 후 직접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자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가 지각한 욕창 간호의 중요도, 교육요구도, 지식 준 및 간호 수행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가 지각한 욕창 간호의 중요도, 교육요구도와 지식 및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 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가설 설정

  • 이에 본 연구자는 간호사 스스로 욕창 간호의 중요성을 지각하고, 욕창 간호와 관련된 간호사의 교육요구도를 파악한 후 욕창 간호교육이 제공된다면 간호사의 욕창 간호의 지식수준은 향상될 것이고, 그러한 경로를 통하여 학습된 지식은 욕창 간호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 충분히 발휘될 것이라는 가정 아래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또한 욕창 간호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대상자가 대부분 중환자실, 수술실, 가정간호 등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였지만(Im & Park, 2006; Joo, 2005; Kim & Choi, 2004; Lee, Jeong, & Jeon, 2003; Park, Park, & Yu, 2005), 욕창은 임상의 어느 영역에서나 반드시 다루어져야 하는 중요한 간호 쟁점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특수부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임상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도함을 연구의 의의로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욕창의 발생기전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욕창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지속적 압력이 가해질 때, 혈액순환장애로 인해 조직에 국소적 허혈상태가 되어 세포에 산소와 영양소 공급이 차단되고 대사산물인 노폐물이 세포에 축적되어 조직손상이 초래된 상태이다(Lee, 2003; Ratliff & Rodeheaver, 1999). 욕창의 발생기전은 뼈 돌출부위와 피부 사이의 연조직이 압력을 받아 모세혈관을 통한 산소공급이 차단되어 세포괴사가 근육층으로부터 진행되어 피부에서 확인되는 것이다(Maklebust & Sieggreen, 1996). 원인으로는 외부의 압력, 전단력, 온도, 습도, 위생, 영양, 감각 및 운동 기능의 저하, 자세 등 내재적 요인과 외재적 요인이 혼합적으로 작용하는 특징을 보인다(Berg & Xakellis, 1993).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가 지각한 욕창 간호의 중요도, 교육요구도, 지식 준 및 간호 수행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간호사의 욕창 간호의 중요도, 교육요구도, 지식, 수행 정도를 파악한다. • 간호사의 욕창 간호관련 특성에 따른 욕창 간호의 중요도, 교육요구도, 지식, 수행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 간호사가 지각한 욕창 간호의 중요도, 교육요구도, 지식, 수행정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욕창은 어떤 상태를 의미하는가? 일반적으로 욕창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지속적 압력이 가해질 때, 혈액순환장애로 인해 조직에 국소적 허혈상태가 되어 세포에 산소와 영양소 공급이 차단되고 대사산물인 노폐물이 세포에 축적되어 조직손상이 초래된 상태이다(Lee, 2003; Ratliff & Rodeheaver, 1999). 욕창의 발생기전은 뼈 돌출부위와 피부 사이의 연조직이 압력을 받아 모세혈관을 통한 산소공급이 차단되어 세포괴사가 근육층으로부터 진행되어 피부에서 확인되는 것이다(Maklebust & Sieggreen,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itz, J. M., Fey, J., & O'Brien, D. (1998). Perceived need for education vs actual knowledge of pressure ulcer in a hospital nursing staff. Medsurg Nurs, 7(5), 293-301. 

  2. Berg, A. O., & Xakellis, G. C. (1993). Guidelines for the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J Am Board Fam Pract, 6(3), 269-278. 

  3. Clay, M. (2000). Pressure sore prevention in nursing homes. Nurs Stand, 14(44), 45-52. 

  4. David, M. S. (1995). Pressure ulcers in the nursing home, Ann Intern Med, 123(6), 433-442. 

  5. Gerry, B., Carol, D., & John, P. (2004). The cost of pressure ulcers in the UK. Age Ageing, 33, 230-235. 

  6. Hayes, P. A., Wolf, Z. R., & McHugh, M. K. (1994). Effect of teaching plan on nursing staff's knowledge of pressure ulcer risk, assesment and treatment, J Nurs Staff Dev, 10(4), 207-213. 

  7. Im, M. J., & Park, H. S. (2006). A study on the pressure ulcers in neurological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J Korean Acad Fundam Nurs, 13(2), 190-199. 

  8. Joo, S. Y. (2005). Knowledge and practice of sores in home care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9. Kim, S. S., & Choi, K. S. (2004). Evaluating the predictive validity for the new pressure sores risk assesment scale. J Korean Acad Adult Nurs, 16(2), 183-190. 

  10. Kim, Y. K. (1997). Evaluation of predictive validity for the pressure ulcer risk assesment tool I. J Korean Acad Adult Nurs, 9(2), 272-285. 

  11. Kim, Y. K. (1998). Evaluation of predictive validity for the pressure ulcer risk assesment tool. Nurs Sci, 10(2), 1-12. 

  12. Kim, Y. K. (2000). Evaluation of predictive validity for the pressure ulcer risk assesment tool II. Nurs Sci, 12(2), 37-51. 

  13. Kim, K. S., Cho, N. O., & Park, Y. S. (1997). A study on prevalence and nursing intervention of bed sore patients who received regional home care services. J Korean Acad Fundam Nurs, 4(1), 43-60. 

  14. Land, L. (1995). A review of pressure damage prevention strategies. J Adv Nurs, 22(2), 329-337. 

  15. Lee, J. K. (2003). The relationship of risk assesment using braden scale and development of pressure sore in neurologic intensive care unit. J Korean Acad Adult Nurs, 15(2), 267-277. 

  16. Lee, M. O. (2000). Knowledge level of pressure ulcer among hospital nurses. J Korean Acad Adult Nurs, 12(4), 619-628. 

  17. Lee, Y. H. (2001).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dictive validity among pressure sore risk assessment t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8. Lee, Y. H., Jeong, I. S., & Jeon, S. S. (2003).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dictive validity among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scales. J Korean Acad Nurs, 33(2), 162-169. 

  19. Maklebust, J., & Sieggreen, M. (1996). Pressure ulcer guidelines for prevention & management. Pennsilvania: Springhouse Corporation. 

  20. Moody, B. L., Fanale, J. E., Thomasson, M., Vaillancourt, D., Symonds, G., & Bonasoro, C. (1988). Impact of staff education on pressure sore development in elderly hospitalized patients. Arch Intern Med, 148(10), 2241-2243. 

  21. Na, Y. K., & Hong, H. S. (2006). The effect of the ulmus root-bark dressing in tissue regeneration of induced pressure ulcers in rats. J Korean Acad Nurs, 36(3), 523-531. 

  22. Panagiotopoulou, K., & Kerr, S. M. (2002). Pressure area care : An exploration of Greek nurse's knowledge and practice. J Adv Nurs, 40(3), 285-296. 

  23. Park, H. S., Park, K. Y., & Yu, S. M. (2005).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pressure ulcers in surgical patients. J Korean Acad Nurs, 35(1), 125-134. 

  24. Park, K. O. (2005). A study on decubitus knowledge and decubitus nursing interventions of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5. Power & Precision (2006). Power analysis. Retrieved November 12, 2007, from the Power & Precision Web site: http://www.power-analysis.com. 

  26. Ratliff, C., & Rodeheaver, G. (1999). Pressure ulcer assessment and management. Lippincott's Prim Care Pract, 3(2), 242-258. 

  27. Seo, M. S., & Choi, E. S. (2006). Knowledge and learning needs related to cancer treatment in gyneocological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Nurs, 36(6), 942-949. 

  28. Specht, J., Bergquist, S., & Frantz, R. (1995). Adoption of research-based practice for treatment of pressure ulcers. Nurs Clin North Am, 30(3), 553-563. 

  29. Wilkes, L. M., Bostoc, K. E., Lovitt, L., & Dennis, G. (1996). Nurse's knowledge of pressure ulcer management in elderly people. British J Nurs, 5(14), 858-865. 

  30. Williams, D. F., Stotts, N. A., & Nelson, K. (2000). Patients with existing pressure ulcers admitted to acute care, J Wound Ostomy continence Nurs, 27(4), 216-2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