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 임상간호사의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Male Hospital Nurses' Experience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1 no.6, 2009년, pp.652 - 665  

안경하 (대동병원 특수크리닉) ,  서지민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황선경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job experiences of male hospital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0 male nurse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subsequently transcribed verbatim. Using content analy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남자간호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직업경험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간호직을 선택하게 된 동기, 남자간호사로 일하면서 겪은 실무경험, 자신의 미래에 대한 태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남자간호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직업경험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간호직을 선택하게 된 동기, 남자간호사로 일하면서 겪은 실무경험, 자신의 미래에 대한 태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내용분석법을 통해 남자 임상간호사들의 경험을 간호직을 선택하게 된 동기와 간호사가 된 이후의 실무경험 및 인식, 그리고 남자간호사들의 미래에 대한 태도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남자간호사로서의 경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에 근무하는 남자간호사를 대상으로 직업경험을 중심으로 간호직을 선택하게 된 동기와 간호사로서의 근무경험과 인식, 그리고 이들의 미래에 대한 태도를 탐색하고자 내용분석방법으로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설계는 남자 임상간호사의 직업과 관련된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대상자와 직접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탐색적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면담이나 관찰과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구어적이고 비계량적인 자료를 계량적 자료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에 중점을 두고 실무적용성이 높은 내용분석법(Downe-Wamboldt, 1992)을 이용하여 남자간호사의 다양한 경험을 탐색하고 분석함으로써 심층적인 자료를 보다 객관화하고 일반화하여 남자간호사의 채용 및 유지, 효율적인 인력관리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자간호사가 간호직을 떠나거나 이직하는 이유는 무엇이 있는가? 남자간호사의 수적 증가는 다양한 간호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간호 인력의 확충 및 간호 수준의 향상을 가져오며, 여성 직업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함으로써 병원 내 성차별로 인한 행정적․ 경제적 불이익을 해결하고, 궁극적으로 간호전문직의 직업적 위치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Lee, 2004; Son, Koh, Kim, Moon, & Lee, 2004). 그러나 취업 전 기대와는 달리 낮은 사회적 지위, 인력 부족으로 인한 오버타임, 열악한 근로조건과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보수, 여성 직업이라는 고정관념 등의 이유로 간호직을 떠나는 남성들의 수가 적지 않으며 이직의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Lee, 2004; Mackintosh, 1997). 그러므로 이에 대한 교육적, 제도적, 개인적 수준의 배려와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Son et al.
우리나라의 남자 간호사의 등록 면허자수는 전체 간호사의 어느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가? 최근 의료수준의 발달 및 건강 개념의 변화에 따른 간호전문성에 대한 인식 확대, 성고정관념에서 벗어나 흥미나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는 사회적 분위기, 그리고 세계적인 경제 위기로 인한 실업률 증가로 안정적인 직장의 선호 등으로 인해, 간호직을 선택하는 남성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남자 간호사의 등록 면허자수는 712명으로 전체 간호사의 0.68%를 차지하고 있으며, 남자간호학생의 수도 1996년에 87명 (0.3%)에 불과했던 것이 10년 만인 2006년에는 2,021명 (5.
남자간호사의 수적 증가에는 어떤 긍정적 효과가 있는가? 남자간호사의 수적 증가는 다양한 간호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간호 인력의 확충 및 간호 수준의 향상을 가져오며, 여성 직업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함으로써 병원 내 성차별로 인한 행정적․ 경제적 불이익을 해결하고, 궁극적으로 간호전문직의 직업적 위치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Lee, 2004; Son, Koh, Kim, Moon, & Lee, 2004). 그러나 취업 전 기대와는 달리 낮은 사회적 지위, 인력 부족으로 인한 오버타임, 열악한 근로조건과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보수, 여성 직업이라는 고정관념 등의 이유로 간호직을 떠나는 남성들의 수가 적지 않으며 이직의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Lee, 2004; Mackintosh,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ker, C. R. (2001). Role strain in male diploma nursing students: a descriptive quantitative stud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0(8), 378-380. 

  2. Barkley, T. W., & Kohler, P. A. (1992). Is nursing's image a deterrent to recruiting men into the profession? Male high school students respond. Nursing Forum, 27(2), 9-14. 

  3. Boughn, S. (2001). Why women and men choose nursing. Nursing and Health Care Perspectives, 22(1), 14-19. 

  4. Brown, B., Nolan, P., & Crawford, P. (2000). Men in nursing: ambivalence in care, gender and masculinity. International History of Nursing Journal, 5(3), 4-13. 

  5. Choi, S. J. (2002). Male students' lived experience in the femaledominant nursing colle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6. Cyr, J. P. (1992). Males in nursing. Nursing Management, 23(7), 54-55. 

  7. Dassen, T., Nijhuis, F., & Philipsen, H. (1990). Male and female nurses in intensive care wards in the Netherland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5, 387-393. 

  8. Downe-Wamboldt, B. (1992). Content analysis: Method, applications, and issue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3, 313-321. 

  9. Egeland, J. W., & Brown, J. S. (1989). Men in nursing: The fields of employment, preferred fields of practice, and role of strain. Health Service Research, 24(5), 693-707. 

  10. Evans, J. (1997). Men in nursing: exploring the male experience. Nursing Inquiry, 4, 142-145. 

  11. Han, S. J. (2007). Effects of self-concept on clinical competency in hospital nurses.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2), 274-282. 

  12. Kerssens, J. J., Bensing, J. M., & Abdela, M. G. (1997). Patient preference for genders of health professional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44(10), 1531-1540. 

  13. Kim, M. Y. (2009). An exploratory study of masculinity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2), 37-46. 

  14. Kim, S. W., & Choi, T. J. (2007). Research methodology in education. Seoul: Hakjisa. 

  15. Korean Nurses Association (2003). The status of male nurses. The Korean Nurse, 42(5), 10-13. 

  16. Korean Nurses Association (2009). KNA Notice. Retrieved July 20, 2009, from http://www.koreanurse.or.kr/ 

  17. Korean Nurses Association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Nursing Policy (2007). Yearbook of nursing statistics.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18. Lee, S. H.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1), 10-20. 

  19. Lee, S. Y. (2004).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s of turnover of male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 Lodge, N., Mallett, J., Blake, P., & Fryatt, I. (1997). A study to ascertain gynecological patients' perceived levels of embarrassment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care given by female and male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5), 893-907. 

  21. Lou, J., Yu, H., Hsu, H., & Dai, H. (2007). A study role str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sion to quit among male nurses in southern Taiwa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5(1), 43-52. 

  22. Mackintosh, C. (1997). A historical study of men in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6(2), 232-236. 

  23. McMillian, J, Morgan, S., & Ament, P. A. (2006). Acceptance of male registered nurses by female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8, 100-106. 

  24. Meadus, R. J., & Twomey, J. C. (2007). Men in nursing: making the right choice. Canadian Nurse, 103(2), 13-16. 

  25. Miller, R. J. (2004). Men in nursing: A grounded theory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daho, Moscow, USA. 

  26. Park, H. J., Chung, B. Y., Kim, O. H., Kim, Y. K., An, H. J., Lee, Y. N., Byun, H. S., Jeong, K. S., & Kim, J. Y. (2008) Experience on emotional support of hospital nurses.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6), 852-865. 

  27. Son, H. M., Koh, M. H., Kim, C. M., Moon, J. H., & Lee, M. S. (2003). The male nurses' experiences of adaptation in clinical sett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1), 17-25. 

  28. Wilson, G. (2005). The experience of males entering nursing: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professionally enhancing factor and barriers. Contemporary Nurse, 20(2), 221-233. 

  29. Yang, C., Gau, M., Shiau, S., Hu, W., & Shih, F. (2004). Professional career development for male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8(6), 642-650. 

  30. Yi, M., Kang, H. S., Kim, D. O., Kim, W. O., Kim, J., & Lee, B. S. (2009). Experi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head nurses in general hospital settings.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1(3), 324-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