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세기 서양 패션에 나타난 문양 이미지 - 문양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 [II] -
Images of Patterns in Western Fashion in the 20th Century - A Study of Pattern Images [II]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9 no.5, 2009년, pp.71 - 82  

유현정 (단국대학교 패션.제품 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ing of patterns and to play a guideline's role in the development of designs and the prediction of trends for present and future fashion designers and textile designers.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the study of academic literatures as well as pract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고 진행하고자 한다. 20세기 서양 여성 패션에서 나타난 문양들의 시기 구분을 위해 우선 20세기 패션과 디자인 양식1)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기준들로부터 그 기준을 참고하고자 한다.
  •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문양들의 사적 고찰을 바탕으로 제1보에서 제시한 기준에 의해 실증적인 이미지 포지셔닝을 진행하여 각 시기별 주요 문양 이미지들의 경향과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 20세기의 시기 구분에 있어 1, 2차 세계대전 기간은 국가나 권력 차원의 의도적인 요인에 의해 패션 경향이 주도되었으므로, 두 시기를 배제하는 제한점을 두고 진행하고자 한다. 20세기 서양 여성 패션에서 나타난 문양들의 시기 구분을 위해 우선 20세기 패션과 디자인 양식1)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기준들로부터 그 기준을 참고하고자 한다.
  • 실증적 자료들은 보다 정확한 해석을 위해 그림이 아닌 사진으로 한정하며, 각 시기별 대표사례들을 전문가 집단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이미지 포지셔닝에 적용하고자 한다. 또한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문양은 텍스타일의 기술력에 따라 시기별 문양의 큰 편차가 나타나므로, 일반적인 패션의 문양을 연구하는데 한계점이 있기에 서양 여성 패션 중 시장을 주도하였던 디자이너 브랜드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을 연구의 범위로 삼고자 한다.
  •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문양 이미지 연구가 앞으로의 패션을 예측하고 디자인하는데 문양을 이해하는 도구로 사용되어 패션과 텍스타일 디자인 영역에서 지침서의 역할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복식에 나타난 문양을 객관화할 수 있는 이미지 포지셔닝의 기준을 개발하여 복식에 나타난 문양 이미지를 객관적이고 총체적으로 파악하려는데 대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문양 이미지의 경향과 그 추이들을 살펴보아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문양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문양 이미지 연구가 앞으로의 패션을 예측하고 디자인하는데 문양을 이해하는 도구로 사용되어 패션과 텍스타일 디자인 영역에서 지침서의 역할이 되고자 한다.
  • 제1보에서 시지각의 해석과정을 바탕에 둔 대표이론인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으로부터 문양 이미지를 보는 객관적인 시각인 문양 이미지 포지셔닝의 기준을 제시하였고, 이어 본 연구인 제2보는 제1보에 대한 실증적 연구로써 사적 고찰을 통해 20세기 서양 패션에 나타난 문양들을 제1보의 기준에 적용하여, 본 연구의 문양 이미지를 보는 시각이 타 탕하였음을 증명함과 동시에 20세기 서양 패션에 나타난 문양 이미지들의 시기별 경향과 변화, 그리고 그 추이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2, 교문사, pp. 242~252. 양식(Style)이란 일상적인 의미에서 인간과 사회, 민족, 시대에 따른 특징적인 행동과 생활의 수단, 집합적 정신의 표현을 지칭하는 포괄적이며, 총체적인 개념으로 문화적 형성의 방식을 뜻하며 문화에 명백히 명시되는 것이다. 복식에 있어서 양식이란 외적 조형적 특징을 빌려 내적 범주 내지는 미적 가치를 표출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요컨대 외적 표상형식을 빌려 내적 정신세계 내지는 조형의지의 표현을 의미한다. 때문에 20세기 패션의 양식을 구분 지을 때, 타 예술의 역사적 양식 구분과 보조를 맞추는 경향이 있다 

  2. Bond, D. (1981). The Guinness Guide to 20th Century Fashion. Guinness Superlatires 

  3. Valerie Mendes & Amy de la Haye (1991). 20th Century Fashion. Thames & Hudson 

  4. Penny sparke, Felice Hodges, Emma Dent Coad, Anne Stone (1986). Design Source Book, Chartwell Books 

  5. 김민수 (1994). 모던 디자인 비평. 안그라픽스 

  6. 김민자 (2004). 앞의 책, p. 251 

  7. 정흥숙 (1997). 서양복식문화사. 교문사, p. 343 

  8. Buxbaum, Gerda (2005). Icons of Fashion, Munich. New york, p. 17 

  9. Kirke, Betty (1991). Madeleine Vionnet, Chronicle Books, p. 32 

  10. J, Anderson Black & Madge Garland (1980). A HISTORY OF FASHION, Little Brown & Company Ltd, 윤길순 옮김(1997). 세계패션사 2, 자작 아카데미, pp. 153~156 

  11. ibid.. p. 153. 가장자리처리 기법인중 영국자수(broderie anglaise). 일명 브로더리 앵글리즈(brodertie anglaise)는 기구나 가위로 구멍을 뚫고 그 구멍을 얽어 떠서 무늬를 만들어가는 자수의 일종으로 특히 블라우스에서 가장 흔히 나타났다 

  12. Akiko Fukai (2002). FASHION. Taschen, p. 337 

  13. 정흥숙 (1993). 근대복식문화사. 교문사, p. 224 

  14. 위의 책, pp. 47~48 

  15. 엠파이어 튜닉 스타일, 호블 스타일, 하렘 스타일, 미나레 스타일 

  16. 와까미야 노부 하루 저, 김학성, 배정순 (역 2000). 현대디자인사. 조형사, p. 89 

  17. Akiko Fukai (2002). op. cit.. p. 452 

  18. Deslandres, Yvonne (1986). Poiret, Yvonne Deslandres, p. 176 

  19. 정흥숙 (1993). 앞의 책, pp. 183~197, p. 231 요약 

  20. 위의 책, p. 204 

  21. Dameas Jacques (1971). Sonia Delaunay rhythms and colours. Thames & Hudson, p. 84 

  22. Dameas Jacques (1971). op. cit.. p. 12. pp. 153~154 

  23. Herold Osborne (1981). The Oxford Companion to 20C Art. Oxford University press, p. 151 

  24. 이금희 (1997). 발라의 복식디자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6). p. 139, p. 148 

  25. J, Anderson Black & Madge Garland (1997). op. cit.. p. 182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