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효더덕의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발효더덕의 열수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발효더덕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2.79 mg/100 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6.19mg/100 g으로 생더덕보다는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화합물이 많이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발효더덕 추출물에서 32.9$\sim$74.9%, 생더덕에서 8.0$\sim$17.9%의 범위로 발효더덕 추출물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생더덕 추출물은 0.6$\sim$16.5%, 발효더덕 추출물은 3.5$\sim$21.6%의 범위로 분석되었으며, 농도에 따른 유의적 증가 현상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pH 조건(pH 1.2, 3.0, 4.2, 6.0) 하에서 발효더덕 추출물이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환원력의 경우에는 발효더덕 추출물이 1,000 $\mu g$/mL에서 0.65의 값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발효더덕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발효더덕의 이러한 우수한 결과의 확인을 위하여 발효에 의한 성분 변화에 대하여 더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hot water extract from Codonoposis lanceolata (CL) and fermented Codonoposis lanceolata (FCL) as functional food and cosmeceutical material, its total phenolic contents, total flavonoids,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SOD-like activity, nitrate-scavenging abi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Caffeic acid(Sigma Co., St. Louis, MO, USA)를 0~100 μg/mL의 농도로 제조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얻은 표준검량선으로부터 시료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을 산출하였다.
  • Quercetin(Sigma Co.)를 표준물질로 하여 0~100 μg/ mL의 농도 범위에서 얻어진 표준검량선으로부터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계산하였다.
  • 또한, 균사체를 이용한 수삼 고체발효물의 화학적 조성 및항산화효과의 변화에서도 수삼보다는 고체발효물이 페놀함량 및 electron donating abilities(EDA), SOD유사활성, 지질 과산화에 효과가 있어, 수삼 고체발효물이 단순한 수삼보다 건강 기능 유효성분이 더 많이 함유되어져 있다고 보고하였다(14).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등급 외 더덕을 이용하여 발효 더덕을 제조한 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발효에 따른 항산화활성의 증가효과를 확인하였다.
  • 발효더덕의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발효더덕의 열수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발효더덕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2.
  • 생더덕 및 발효더덕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반응조건의 pH를 1.2, 3.0, 4.2, 6.0으로 달리하여 각각 측정하였다(Fig. 1). pH 1.
  • 2로 조정한 반응용액을 가해 총량을 10 mL로 하였다. 이용액을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각 반응액을 1 mL씩 취하여 2% 초산용액 5 mL, Griess 시약 0.4 mL를 가하여잘 혼합시킨 다음 실온에서 15분간 방치시킨 후 UV-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존하는 아질산염량을 구하였다. 공시험은 Griess 시약 대신 증류수를 0.
  •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 은 각각의 추출물에 대한 DPPH(α,α-diphenyl-picrylhydrazyl)의 전자공여효과로 각 시료의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생더덕은 강원도 횡성지역에서 2008년 9월에 채취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구입한 더덕은 선별 후 깨끗이 세정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전보(13)와 동일한 조건으로 발효더덕을 제조 후 세절하여 동결건조기(PVTFA 10AT, Ilsin, Gyeonggi-do, Korea)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건조된 시료는 마쇄하여 유리병에 넣고 밀봉한 후 냉장고(4℃)에 보존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 생더덕은 강원도 횡성지역에서 2008년 9월에 채취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구입한 더덕은 선별 후 깨끗이 세정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전보(13)와 동일한 조건으로 발효더덕을 제조 후 세절하여 동결건조기(PVTFA 10AT, Ilsin, Gyeonggi-do, Korea)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 시료의 열수 추출물은 동결건조 시료 100 g에 증류수 1 L를 가하여 90℃ 수욕상에서 환류냉각 시키면서 5시간씩 2회 반복 추출한 다음 여과한 여액을 회전식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기(PVTFA 10AT, Ilsin)를 사용하여 분말 상태로 준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추출 수율은 38.4%였다.

데이터처리

  •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실험군당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각 군당 3개의 시료를 사용하여 실험은 3회 반복 시행하였다.

이론/모형

  • Oyaizu(20)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시료 1 mL에 pH 6.6의 200 mM 인산 완충액 및 1%의 potassium ferricyanide를 각 1 mL씩 차례로 가하여 교반한 후 50℃의 수욕상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여기에 15% TCA(trichloroacetic acid) 용액을 1 mL 가하고 12,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징액 1 mL에 증류수 및 ferric chloride 각 1 mL를 가하여 혼합한 후 700 m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SOD 유사활성은 Marklund와 Marklund(18)의 방법에 따라 과산화수소(H 2 O 2 )로 전환 반응을 촉매하는 pyrogallol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SOD 유사활성으로 나타내었다. 즉, 일정 농도의 시료 0.
  •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Gray와 Dugan(19)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즉, 1 mM NaNO 2 용액 1 mL에 일정 농도의 시료 1 mL를 가하고 0.
  • 총 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15)에 따라 추출물 1 mL에 Folin-Ciocalteau 시약 및 10% Na2CO3 용액을 각 1 mL씩 차례로 가한 다음 실온에서 1시간 정치한 후 spectrophotometer(UV 1600 PC, Shimadzu, Tokyo, Japan)를 이용하여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affeic acid(Sigma Co.
  • 총 플라보노이드는 Moreno 등(16)의 방법에 따라 추출물 0.5 mL에 10% aluminum nitrate 0.1 mL 및 1 M potassium acetate 0.1 mL, ethanol 4.3 mL를 차례로 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40분간 정치한 다음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Quercetin(Sigma Co.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더덕은 무슨 식품인가? et Hook.)(8)은 한국 및 중국, 일본의 산간지방에서 야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도라지와 함께 일반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산채식품이다. 더덕은 기호품으로도 상당한 호평을 받는 식품일 뿐 아니라 진해(鎭咳), 거담(祛痰) 등의 약효가 있다고 古來부터 식이요법이 전해지며, 혈적(血 積) 및 경기(驚氣), 두통(頭痛), 소화약(消炎藥)으로 또는 인삼의 대용약으로 쓰여 왔으며, 더덕의 성분에 관해서는 일종의 saponin이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9).
발효더덕의 열수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아질 산염 소거능, 환원력을 측정한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발효더덕의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 성을 조사하기 위해 발효더덕의 열수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아질 산염 소거능,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발효더덕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2.79 mg/100 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6.19 mg/100 g으로 생더덕보다는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화합물이 많이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발효 더덕 추출물에서 32.9~74.9%, 생더덕에서 8.0~17.9%의 범위로 발효더덕 추출물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생더덕 추출물은 0.6~16.5%, 발효더덕 추출물은 3.5~21.6%의 범위로 분석되었으며, 농도에 따른 유의적 증가 현상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pH 조건(pH 1.2, 3.0, 4.2, 6.0) 하에서 발효더덕 추출 물이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환원력의 경우에는 발효더덕 추출물이 1,000μg/mL에서 0.65의 값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발효더덕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발효더덕의 이러한 우수한 결과의 확인을 위하여 발효에 의한 성분 변화에 대하여 더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덕이 국내 및 수출용으로 개발이 매우 저조한 상황인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등급 외품(外品)이 40~50% 이상으로 재배 농가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으며, 단순 양념구이 포장, 장아찌, 배추절임, 사탕, 단순 추출에 의한 일부 화장품 소재 등으로만 소진하고 있다. 더욱이 더덕 향에 대한 기호도가 연령별 편차가 극심하고 인삼과 대비되 상대적으로 하위 농산품으로 인식되어 국내 및 수출용으로 개발이 매우 저조한 상황이다. 그리고 식품의 발효는 오래전부터 행해져온 가공공정의 일환으로 미생물작용을 통해 식품에 좋은 맛과 향, 조직감 등을 부여하며 젖산 및 초산, 알코올 발효를 통한 식품의 저장성 향상은 물론 단백질 및 필수아미노산, 필수지방산, 비타민 등이 풍부한 식품의 제조와 발효과정을 통한 독성물질 파괴 및 생리 활성물질 생산, 소화증진 등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im JP, Chon IJ, Cho HK, Han IH, Whang WK. 2004. The antioxidant and the antidiabetic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biofunctional foods prescriptions. Kor J Pharmacogn 35: 98-103 

  2. Dean RT, Gieseg Davies MJ. 1993. Reactive species and their accumulation on radical damaged proteins. Trends Biochem Sci 18: 437-441 

  3. Jung SJ, Lee JH, Song HN, Seong NS, Lee SE, Beak N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4. Ames BN, Saul RL. 1987. Oxidative DNA damage, cancer and aging. Oxygen and human disease. Am Inter Med 107: 536-539 

  5.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 anisol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6. Choe SY, Yang K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 anisol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83-288 

  7. Pratt DE, Huang MT, Ho ST, Lee CY.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In Antioxidants and Cancer Prevention.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p 54-71 

  8. 임기홍. 1965. 약용식물학(각론). 서울, 동명사. p 354 

  9. Kim CH, Chung MH. 1975.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Condopsis lanceolata. Natural Product Sciences 6: 43-47 

  10. Maeng YS, Park HK. 1991.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odok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311-316 

  11. Kim SY, Kim HS, Su IS, Yi HS, Kim HS, Chung SY. 1993. Effects of the feeding Platycodon grandiflorum and Codonopsis lanceolata on the lipid components of serum and liver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2: 517-523 

  12. Han EG, Sung IS, Moon HG, Cho SY. 1998. Effect of Codonopsis lanceolata water extract on the levels of lipid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940-944 

  13. Park SJ, Seong DH, Park DS, Kim SS, Gou JY, Ahn JH, Yoon WB, Lee HY. 2009. Chemical compositions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96-400 

  14. Park CK, Tu Q, Yu KW, Jeong JH, Jeong HS, Lee HY. 2009.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ermented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ith mushroom mycelium by solid culture. Abstract No Ⅱ-23 presented at 2009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Crop Science. Korea 

  15.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AOCS 58: 966-967 

  16. Moreno MI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ana. J Enthropharmacol 71: 109-114 

  17. Lee HH, Lee SY. 2008. Cytotox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Taraxacum coreanum Nakai. and T. officinale WEB.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 79-85 

  18. Marklund S, Marklund G. 1975.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19.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20.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 apanese J Nutr 44: 307-315 

  21. Kim SH. 2009. Cholesterol lowering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Ph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p 29-30 

  22.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23. Choi KS, Lee HY. 1999. Characteristics of useful components in the leaves of Baechohyang (Agastache rugosa O. Kuntz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26-332 

  24. Middleton EJ, Kandaswami C. 1994. Potential health 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115 

  25. Na GM, Han HS, Te Sh, Kim HK.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in calcium related disorders of vegetable crop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lettuce tipburn, Commun. In Soil Sci Plant Anal 10: 481-485 

  26.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624-630 

  27. Kitani K, Minami C, Amamoto T, Kanai S, Ivy GO, Carrillo MC. 2002.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 aging and age-associated disorders: potentials of propargylamines for human use. Ann N Y Acad Sci 959: 295-307 

  28. Lim JA, Na YS, Baek SH. 2004.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thanol extract from Phyllostachys bambusoi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06-310 

  29. Choi CS, Song ES, Kim JS, Kang MH. 2003.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Flos. methanol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16-1220 

  30. Chung IM, Kim KH, Ahn JK. 1998. Screening of Korean medicinal and food plants with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Medicinal Crop Sci 6: 311-322 

  31. Shin JH, Lee JY, Cho HS, Lee SJ, Jung KH, Sung NJ. 2004. Screening of effective factor to inhibition of NDMA formation in Yuza (Citrus junos). J Fd Hyg Safety 19: 126-131 

  32. Hong TG, Lee YR, Hyun CN, Yim MH. 2004. Physiological functiona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ation extracts from pine needles. Korean J Food Preserv 11: 94-99 

  33. Park CS, Kwon CJ, Choi MA, Park GS, Choi KH. 2002.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9: 248-252 

  34. Kim JH, Kim JK, Kang WW, Ha YS, Choi SW, Moon KD. 2003. Chemical composition and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in different sections of safflow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33-7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