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사발효초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Fermented Crataegi fructus Vinegar Improves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8, 2009년, pp.1024 - 1031  

전정우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박진경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이미애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정미란 (전북대학교 생리활성물질연구소) ,  한종현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약자원개발학과) ,  박유경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산사 발효초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흰쥐에게 고지방식이(40% kcal% fat, beef tallow)를 급여하면서 산사발효초를 저농도(1.5% wt/wt, n=8), 고농도(3.0% wt/wt, n=8)로 투여하였을 때, 정상식이군(n=8)과 고지방식이 대조군(n=8)과의 체중, 장기무게, 지질 함량 등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체중은 산사발효초군이 정상식이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 고지방식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각각 7.2%, 10.0% 감소하였다. 간과 신장 무게도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해 산사발효초군들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고농도 산사발효초군에서 혈청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C, 동맥경화지수 및 간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지만 혈청 중 HDL-C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분변 중 포화지방산 함량은 고농도 산사발효초군에 비해 정상식이군이나 고지방식이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산사발효초는 체중을 감소시키며 혈청이나 간의 지질함량을 개선시키고, 포화지방산 배설을 증가시키므로 체중조절 및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규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rataegi fructus has been used as an oriental medicine and a folk remedy for the treatment of scurvy, constipation and stomach ailment.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ed Crataegi fructus vinegar (FCV) on the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40% k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 기능성식품 원료로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는 한약재 중 산사를 알코올 발효, 초산 발효 2단계로 구분하여 제조한 산사발효초의 일반성분을 분석하고,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흰쥐의 체중 조절, 혈청 및 간의 지질 함량, 분변의 지방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산사발효초의 체중 조절 및 지질대사 개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산사 발효초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흰쥐에게 고지방식이(40% kcal% fat, beef tallow)를 급여하면서 산사 발효초를 저농도(1.
  • 본 연구에서는 심혈관계 질환, 고지혈증 등의 여러 질환들에 효능이 있는 산사를 건강 기능성식품으로 개발하고자 2단계 발효 과정을 통해 발효초로 제조하였다. 제조한 산사발효초의 일반성분을 확인한 후,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흰쥐에 산사발효초를 급여하여 체내 지질대사 개선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심혈관계 질환, 고지혈증 등의 여러 질환들에 효능이 있는 산사를 건강 기능성식품으로 개발하고자 2단계 발효 과정을 통해 발효초로 제조하였다. 제조한 산사발효초의 일반성분을 확인한 후,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흰쥐에 산사발효초를 급여하여 체내 지질대사 개선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사는 분류학적으로 무엇에 속하는 나무의 과실인가? 산사(Crataegi fructus)는 아가위, 적과자 등의 이명으로 불리며 식용, 약용 및 관상수로 널리 애용되고 있는 장미과의 낙엽교목인 산사나무 과실이다(5). 한방에서 건위, 소화, 수렴, 진통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6), 항산화(7,8), 고지혈증 (9), 항염증(10), 순환계 질환(11), chitin synthase Ⅱ 저해 (5), HIV-Ⅰ protease 저해(12) 등의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초는 초산 이외에 무엇을 함유한 식품인가? 식초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랜 시간 동안 이용되어 온 발효식품(14)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해동역사와 향약구급방에 기록되어 곡류초나 매실, 감 등의 다양한 과실을 이용한 과실초를 제조하여 이용해 왔다(15). 식초는 초산 이외에 휘발산 및 비휘발산의 유기산류, 당류, 아미노산류 및 ester 등을 함유한 알칼리성 식품이다. 또한 기본 조미료의 역할뿐만 아니라 식품 보존 및 의약용으로 이용되어 왔는데, 동맥 경화, 고혈압, 당뇨, 비만, 소화흡수 및 촉진, 피로회복, 노화 방지, 그리고 방사능 제거효과 등의 기능성이 주목을 받고 있다(16).
한방에서 산사는 무엇에 이용되고 있는가? 산사(Crataegi fructus)는 아가위, 적과자 등의 이명으로 불리며 식용, 약용 및 관상수로 널리 애용되고 있는 장미과의 낙엽교목인 산사나무 과실이다(5). 한방에서 건위, 소화, 수렴, 진통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6), 항산화(7,8), 고지혈증 (9), 항염증(10), 순환계 질환(11), chitin synthase Ⅱ 저해 (5), HIV-Ⅰ protease 저해(12) 등의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사는 crataegol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oleanolic acid, ursolic acid 등의 유기산과 quercetin, vitexin, quercitin, epicatechin, rutin 등의 flavonoids계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lipase, vitamin B2, vitamin C, pectin, carotene, Na, Fe 등을 함유하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opelman PG. 2005.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404: 635-643 

  2. Lee SK, So SH, Hwang EI, Koo BS, Han GH, Ko SB, Kim NM. 2008. Effect of ginseng and herbal plant mixtures on anti-obesity in obese SD rat induced by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37-444 

  3. Ahn IS, Park KY, Do MS. 2007. Weight control mechanisms and antiobesity functional ag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503-513 

  4. George AB, Louis AT. 2000. Medicinal strategies in the treatment of obesity. Nature 404: 672-677 

  5. Jeong TS, Hwang EI, Lee HB, Lee ES, Kim YK, Min BS, Bae KH, Bok SH, Kim SU. 1999. Chitin synthase Ⅱ inhibitory activity of ursolic acid, isolated from Crataegus pinnatifida. Planta Med 65: 261-263 

  6. 허준. 2001. 동의보감. 근영출판사, 서울. p 325 

  7. Kim JS, Lee GD, Kwon JH, Yoon HS. 1993.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ether in Crataegus pinnatifida Bunge and Terminalia chebula rats. J Korean Agric Chem Soc 36: 203-207 

  8. Kang IH, Cha JH, Lee SW, Kim HJ, Kwon SH, Han IH, Hwang BS, Whang WK. 2005. Isolation of anti-oxidant from domestic Crataegus pinnatifida Bunge leaves. Kor J Parmacogn 36: 121-128 

  9. Lee HJ, Choi MS. 1999. Measurement of inhibitory activities on 3-hydroxy-3-methylglutaryl CoA reductase and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by various plant extract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958-962 

  10. Kao ES, Wang CJ, Lin WL, Yin YF, Wang CP, Tseng TH. 2005.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flavonoid contents from dried fruit of Crataegus finnatifida in vitro and in vivo. J Agric Food Chem 53: 430-436 

  11. Seo BI. 2005. Preventive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on Crataegi fructus on hyperlipiderma and liver damage induced by alcohol. Kor J Herbology 20: 35-43 

  12. Min BS, Jung HJ, Lee JS, Kim YH, Bok SH, Ma CM, Nakamura N, Hattori M, Bae K. 1999. Inhibitory effect of triterpenes from Crataegus pinnatifida on HIV-I protease. Planta Med 65: 374-375 

  13. Hong SS, Hwang JS, Lee SA, Han XH, Ro JS, Lee KS. 2002. Inhibitors of monoamine oxidase activity from the fruits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Kor J Pharmacogn 33: 285-290 

  14. Jeong YJ, Lee MH, Seo KI, Kim JN, Lee YS. 1998. The quality comparison of grap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traditional grape vinegar. J East Asin Soc Dietary Life 16: 731-739 

  15. Kim MK, Kim MY, Youn EK, Kim SD. 2002. Extraction of citrus bioflavonoid with vinegars and effects on blood pressure. Korean J Food Preserv 9: 411-417 

  16. Kim DH, Lee JS. 2000. Vinegar production from subtropical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68-75 

  17. Yae MJ, Lee GH, Nam KH, Jang SY, Woo SM, Jeong YJ. 2007. Establishment of quality control standardization for pomegranate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25-1430 

  18. Kim DH. 1999.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vinegar from fi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53-60 

  19. Kwon SH, Jeong EJ, Lee GD, Jeong YJ. 2000. Preparation method of fruit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and beverages including vinegar.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 18-24 

  20. Shin JS, Lee OS, Jeong YJ. 2002.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onion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79-1084 

  21. 한국식품공업협회. 2002. 식품공전. 훈영사, 서울. p 452-455 

  22. AOAC. 198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2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C, USA 

  23. Prosky L, Asp NG, Furda I, Deuries JW, Schweizer TF, Harland BF. 1984. Determination of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food products and total diets. JAOAC 67: 1044-1052 

  24.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1979. Estimation of concentr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5. Yim JE, Choue RW, Kim YS, Oh SJ, Peang JR. 2000. Dietary and simvastatin treatment on the blood lipid levels in the patients with hyperlipidemia according to genetic and biochemical markers. Kor J Lipidol 10: 215-229 

  26. Folch J, Lees M, Sloane 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 J Biol Chem 226: 497-509 

  27. Cho YS, Jang EM, Jang SM, Chun MS, Shon MY, Kim MJ, Lee MK. 2007. Effect of grape seed water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erythrocyte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C57BL/6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537-1543 

  28. Wursch P. 1979. Influence of tannin-rich carob pob fiber on the cholesterol metabolism in the rat. J Nutr 109: 685-692 

  29. Jung YJ, Han DO, Choi BH, Park C, Lee HJ, Kim SH, Hahm DH. 2007. Effect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HP-1 on enzyme activities and gene expressions related to alcohol metabolism in ethanol-loaded rat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1: 387-391 

  30. Shon MY. 2007.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Poria cocos and Machilus thunbergii fermented with mycelial mushroom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2(2): 51-57 

  31. Stephen CW, David AD, Patrick T, Paul AR, Deborah JC, Stephen CB, Koro G, Min L, Randy JS. 2004. Consumption of a high-fat diet alters the homeostatic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Physiol Behav 83: 573-578 

  32. Stewart LK, Soileau JL, Ribnicky D, Wang ZQ, Raskin I, Poulev A, Majewski M, Cefalu WT, Gettys TW. 2008. Quercetin transiently increases energy expenditure but persistently decreases circulating markers of inflammation in C57BL/6J mice fed a high-fat diet. Metabolism 57: 39-46 

  33. Gordon T, Kannel WB, Castelli WP, Dawber TR. 1981. Lipoproteins,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 Arch Inter Med 141: 1128-1131 

  34. Jung SH, Kim JH, Jeong YJ, Choi MJ. 1999. Effect of persimmon vinegar on serum lipid profile in rats with high cholesterol die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 421-426 

  35. Rhee SJ, Kim KR, Kim HT, Hong JH. 2007. Effects of catechin on lipid composition and adipose tissue in obese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540-547 

  36. Sudhahar V, Ashokkumar S, Varalakshmi P. 2006. Effect of lupeol and lupeol linoleate on lipemic-hepatocellular aberrations in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Mol Nutr Food Res 50: 1212-1219 

  37. Glaber G, Graefe EU, Struck F, Veit M, Gebhard R. 2002. Comparison of antioxidative capac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n cholesterol biosynthesis of quercetin and potential metabolites. Phytomedicine 9: 33-40 

  38. Ahn JY, Lee HJ, Kim SN, Park JH, Ha TY. 2008. The anti- obesity effect of quercetin is mediated by the AMPK and MAPK signaling pathway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73: 545-549 

  39. Zhang Z, Ho KK, Huang Y, Chen ZY. 2002. Hypocholesterolemic activity of hawthorn fruit is mediated by regulation of cholesterol-7α-hydroxylase and acyl 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Food Res Intern 35: 885-8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