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실태 분석
Analysi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eaching Practices of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0 no.3, 2009년, pp.354 - 365  

곽영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수업컨설팅을 통하여 초임교사 지원 실태와 초임교사의 전문성 개발 노력을 분석하였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임교사와의 면담 자료 등을 활용하여 초임 과학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실태와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분석대상으로 한 수업은 중학교 3학년 일과 에너지 단원의 9차시 수업이며, 6명의 초임교사와 선배 교사로 구성된 6명의 컨설팅 협의진이 차시별 수업을 교차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임교사들의 경우 초임시절에 수업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실천이 없고, 수업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도 없어서 대개는 배운 방식대로 학생을 가르치는 경향이 발견된다. 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 측면에서도 잡무가 많아서 수업준비를 할 시간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교사들 사이에 수업에 대한 의사소통이 없었다. 이러한 실태 진단에 대한 대안으로 선배교사들은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시보교사 제도 도입과 교사 협의회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결론에서는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효과적인 입문 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조건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support syste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eaching practice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through instructional consulting. Using open-ende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ting teachers and group discussions taking place on a regular basis to analyze and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수업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드러난 초임교사의 전문성 개발 실태를 분석하고, 드러난 문제점들에 대한 대안을 탐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과학과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수업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일부로 진행된 것이다. 과학과 중등학교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수업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중학교 1, 2, 3학년의 과학 내용 중에서 물리 단원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초임교사의 전문성 개발 노력 및 지원 실태에 대하여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초임교사들의 경우 초임시절에 수업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실천이 부족하고, 수업하는 방법에 대한안내도 없어서 대개는 배운 방식대로 학생을 가르치는 경향이 발견된다.
  •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임 교사 지원에서도 과학수업 실행에 초점을 둔 전문성 개발과 지원이 요청된다는 주장을 하기에 앞서서, 우리나라 초임')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학교 현장에서의 과학 수업 전문성 개발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초임과학 교사의 수업분석과 면담을 통하여 초임교사 지원의 실태와 초임교사의 전문성 개발 노력을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임 과학교사 지원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예컨대 초임 교사의 경우 주로 참고서나 문제집에서 줄발하는 문제 풀이 전략 위주의 수업이며, 시험 보는 데 필요한 것 위주로 수업을 진행하고, 수식위주로 수학수업과 같은 과학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협의회를 통하여 초임교사들이 그렇게 수업을 진행하는 이유를 논의하고, 그 대안을 탐색하였다. 즉, 초임교사들이 수업에서 가장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는 영역이나 지원이 가장 요구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선배들의 경험과 이론을 토대로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 초임과학 교사의 수업분석과 면담을 통하여 초임교사 지원의 실태와 초임교사의 전문성 개발 노력을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임 과학교사 지원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C: 그러면 이런 상황을 개선하겠다면 교육과정을 개선할 때 많은 요구들이 상당히 수렴되지 않나요.
  • G: 받으면 그런 생각들이 있죠. 그런데 실제로 저의 수업을 준비하지 못할 띠!가 많아요
  • G: 수업 준비를 한다는 것은 프린트를 읽고만 들어가는 거다. 프린트를 읽고만 들어가도 많이 하는 거죠.
  • V: 고등학교는 행정적인 일이 없으니까. 저 같은 경우는 제 업무가 펑크나면 학교가 안돌아가요.
  • V: 근데 일깨워주면 [초임교사도] 틀린 걸 알 거예요. 깨워주지 않으면 몰라요.
  • V: 저도 첫해에 그랬어요.
  • W: 교사들은 해마다 다시 제로에서 시작하니까, 저는 처음에 수업일기를 썼어요. 지금 자기 자신을 우리가 찍은 4년 전만 되돌아봐도 우리가 걸어온 길 자체가 달라졌어요.
  • W: 교사들이 스스로 들여다보지 않고 요즘 아이들이 똑똑하지 않아서 내 수업을 못 알아듣는 거라고 그러죠 자기는 똑똑한데 아이딀이 똑똑하지 못해서 못 따라왔다고 결론을 내림으로 해서 자기의 반성적인 고F정을 없애버리죠. 그리고 내년에 또 ZL렇게 들어가요.
  • W: 그러니까 교사에게 주어진 차시는 이 한 차시가 교사의 모든 걸 다 드러내는 거예요. 한 차시가.
  • W: 일단 소통문화가 안되어 있어요. [제도화하는 수밖에 없어요】
  • W: 지도서가 그렇게 교사 가르치는 방식에 대해서 잘 서술되어 있냐 하면은 절대 아니거든요. 이런 용어나 풀이해놨지 그러면 이걸 어떤 식으로 수업을 해야 될 것인가 하는 그 안내는 이 선생님한테는 없는 거예요
  • X: 왜 초임교사들은 왜 과학수업을 수학수업처럼 할까요? w: 이 사람은 중학교, 고등학교 때 배운 대로 가르친 것 같아요. 배운 스타일대로.
  • X: 이 선생님도 평생을 이렇게 배워온 것 같아요. 평생 보고 배운 게 저거 밖에 없다는 거죠
  • X: 죽을 때까지 모를 것 같아요.
  • Y: 수십 년 동안 만들어진 나라는 정체성이 쉽게 바뀌진 않죠. 그만큼 사람이 자기 스타일을 버리는 게 쉽지 않아요.
  • Y: 업무분장을 거부할 수가 없어요' 수업은 제 시간에 들어가고 제 시간에 나오면 잘 하는 건줄 알고 있고, 업무분장은 한번 펑크 내면, 아, 저 선생은 안된다. 이렇게 돼요 수업에 대해서는 아무도 얘기를 안해요.
  • Z: 교재연구는 뒷전이라는 거죠.
  • Z: 그건 환상적이고 이상적인 것이고 그것과 관련된 수많은 교사들의 논의나 토의가 있었으면, 방금 우리가 얘기한 게 교사가 이런 걸 논의한 게 처음이란 말을 안하겠죠.
  • Z: 그런데 긍정적으로 보면 평생 이렇게 배웠다기보다도 이 사람이 가장 최근에 배운 것이 이런 형태인 것 같아요. 대학 때.
  • Z: 내가 생각나는 조언은 선생님이 신규한테 가서 물어보세요. 물리를 물어보면 더 좋고' 선생님 이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난 이렇게 생각하는데 라고.
  • Z: 자기 수업도 진짜 찍어놓고 봐야 개선점도 나올 것 같아요. 왜냐면 내년되면 기억이 앤나고 다 잊어버려요 지금 내가 이렇게 공부하다보니까 내가 2(년 이상 교육계에서 암약해서 정보를 캐낸 사람인데 근데 이게 데이터가 없네.
  • w: 예를 들면 저 교사한테 빛의 굴절실험에서 둥근 깡통을 쓰지 말고 직사각형 깡통을 써야 한다는 정보를 누가 줄 건가요. 저 교사한테.
  • 할까요? w: 이 사람은 중학교, 고등학교 때 배운 대로 가르친 것 같아요. 배운 스타일대로.
  • z: 그러니까 나도 불만 중 하나가 교사가 당연히 직업상 어떻게 하면 아이들을 좀 쉽고 정확하게 이해시킬까를 고민해야 된다면 혼자 고민하는 것보다는 같은 과학 교사들이 모여서 세미나 같은 거라도, 세미나가 뭐 형식적이 아니더라도 뭔가 대화가 되어야 서로 좋을 텐데… 어쨌든 지금 젊은 교사들이 있을 텐데, 그들은 어느 틈에 대화를 안 해요. 원래 그러고 왔는지는 모르겠는데.
  • 교사가 배운 방식대로 학생을 가르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곽영순, 2008. 과학과 교과교육학 지식 유형별 교사 전문성의 특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 592-602 

  2. 이화진 외 15인, 2006, 수업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6-1, 309 p 

  3. 이화진, 권점례, 홍선주, 상경아, 2007, 초등 초임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 자료 개발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7-4-1, 267 p 

  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I)-일반 기준 및 교과(사회, 과학, 영어)기준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4-5, 258 p 

  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교과별 내용교수지식(PCK) 연구(II)-중등 초임교사 수업컨설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8-3, 402 p 

  6. Abell, S.K. and Ledennan, N.G., 2007,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Lawrence Eribaum Associates, NJ, USA, 1330 p 

  7. Carlsen, W.S., 1999, Domains of teacher knowledge. In Gess-Newsome, J. and Lederman, N.G.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ordrecht, Kluwer, USA, 133-144 

  8. Darling-Hammond, L., 1999, Target time toward teachers. Journal of Staff Development, 20, 31-36 

  9. Fletcher, S.H. and Barrett, A., 2004, Developing effective beginning teachers through mentor-based induction. Mentoring and Tutoring: Partnership in Learning, 12, 321-333 

  10. Gess-Newsome, J. and Lederman, N.G., 1999,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ordrecht, Kluwer, USA, 320 p 

  11. Harrison, A.G., 2001, How do teachers and textbook writers model scientific ideas for student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 401-436 

  12. Hewson, P.W., Tabachnick, B.R., Zeichner, K.M., and Lemberger, J., 1999, Educating prospective teachers of biology: Finding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Science Education, 83, 373-384 

  13. Ingersoll, R. and Kralik, J.M., 2004, The Impact of Mentoring on Teacher Retention: What the Research Says. Education Commission of the States, Denver, USA, 25 p 

  14. Ingersoll, R.M., 2001, Teacher turnover and teacher shortage: An organizational analysi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8, 499-531 

  15. Osborne, H.D., 1998, Teacher as knower and learner, reflections on situated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 427-439 

  16. Porter, A.C., Youngs, P., and Odden, A., 2001, Advances in teacher assessments and their uses. In Richardson, V.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AERA, Washington, DC, USA, 259-297 

  17. Russell, T. and Martin, A.K., 2007, Learning to teach science. In Abell, S.K. and Lederman, N.G.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Lawrence Eribaum Associates, NJ, USA, 1151-1178 

  18. Zeichner, K.M. and Conklin, H.G., 2005,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Cochran-Smith, M. and Zeichner, K.M. (eds.), Studying teacher education: The report of the AERA Panel on Research and Teacher Education. Lawrence Erlbaum, NJ, USA, 645-7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