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전환법으로 만들어진 대두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을 섭취한 고지방 식이 쥐의 항고지혈 효과 및 결과에 의한 외삽적용 농도 결정
An Extrapolation Concentration Decision Effect Antihyperlipidemic of Aglycone Isoflavone from Biotransformation Soybean on the Fed High-Fat Diet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9, 2009년, pp.1167 - 1173  

임애경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지원센터) ,  정미정 (강원대학교 생명공학부) ,  김동우 (내츄럴F&P) ,  홍주헌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지원센터) ,  정희경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지원센터) ,  김길수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김용해 (신화제약연구소(주)) ,  김대익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황버섯균주를 이용한 생물전환법으로 만들어진 바이오플라본의 항고지혈 활성에 따른 인체 외삽 적용을 위한 최소량을 살펴보고자 실험동물을 정상식이군(NO), 고지방 식이군(CO) 및 바이오플라본 식이첨가군(BFP-0.35, 0.7, 3.0)으로 나눈 후 8주간 사육하였다. 바이오플라본 첨가 식이는 실험동물에 식이섭취량을 감소시키고 체중의 증가를 억제 시켰으며, 장기 무게에 있어서도 간장과 복부지방에 있어서도 CO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또한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AI는 감소시키는데 반해 HDL-콜레스테롤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간 조직 손상정도를 나타내는 ALT 및 AST 효소에 있어서도 10% 이상의 효소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바이오플라본에는 고지혈로 야기되는 성인병 및 동맥경화지수를 감소시키는 생리활성 성분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모든 실험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바이오플라본 0.35%, 0.7%, 3.0% 농도 중 3% 바이오플라본 첨가군에서 가장 큰 고지혈 감소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로서 동물 실험 결과를 이용한 사람에게로의 외삽은 3% 농도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또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바이오플라본이 항고지혈과 관련한 식품소재로서의 사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xtrapolation of bioflavone through biotransformation used Phellinus banmill KCTC16882 applied to 6 different rats group were carried ou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with bioflavone free (normal: NO) diet, high-fat diet (control: CO) and diets containing 0.35%, 0.7% and 3.0% isoflavone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β-glucosidase 고생산 균주인 상황버섯(P hellinus baumii) KCTC16882를 이용한 생물전환법으로 비배당체로 전환율이 높은 바이오플라본을 제조한 후 고지혈에 대한 효능이 인정되는 인체 외삽적용을 위한 바이오플라본의 최소 용량을 찾고자 하였다.
  • 이로서 동물 실험 결과를 이용한 사람에게로의 외삽은 3% 농도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또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바이오플라본이 항고지혈과 관련한 식품소재로서의 사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2)Body weight gain=(final weight-first weight)/ 56 day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지혈증을 유발하는 식이 요인은 무엇인가? 이처럼 혈관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고지혈증은 혈장 내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만성질환 상태로 동맥 내벽에 죽종의 반점을 형성하여 허헐성 심장 질환을 일으키는 인자이다(3). 특히 고지혈증을 유발하는 식이 요인으로는 고지방, 고당질, 포화지방산 및 콜레스테롤 등인데, 특히 지방의 섭취가 높을 경우 고 중성지방혈증의 원인이 된다(4).
성인병 문제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산업화 및 경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동물성 식품과 가공 식품의 증가, 육류에 치우친 서구식 식생활로 인한 성인병 문제가 우리에게 심각한 사회적 현실로 다가 왔다. 2004년 통계청(1) 자료에 의하면 사망 원인의 순위는 암, 뇌혈관, 심장, 당뇨 및 간 질환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심혈관계 주요한 발병 요인들로는 유전적 요인 외에도 비만, 고지혈, 고혈압, 담배와 술,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이 알려져 있다(2).
혈관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은 무엇인가? 산업화 및 경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동물성 식품과 가공 식품의 증가, 육류에 치우친 서구식 식생활로 인한 성인병 문제가 우리에게 심각한 사회적 현실로 다가 왔다. 2004년 통계청(1) 자료에 의하면 사망 원인의 순위는 암, 뇌혈관, 심장, 당뇨 및 간 질환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심혈관계 주요한 발병 요인들로는 유전적 요인 외에도 비만, 고지혈, 고혈압, 담배와 술,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이 알려져 있다(2). 이처럼 혈관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고지혈증은 혈장 내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만성질환 상태로 동맥 내벽에 죽종의 반점을 형성하여 허헐성 심장 질환을 일으키는 인자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Statistic of Death Cause . 2004.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eoul 

  2.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 new areas of research. 1994.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3. Kim JK. 1990. Study on identification of normal serum cholesterol level for prevention of atherosclerosis in Koreans. Korean J Medicine 33: 12-20 

  4. Janes PJ, Leith CA, Pederson RA. 1993. Meal-frequency effects on plasma hormone concentrations and cholesterol synthesis in human. Am J Clin Nutr 57: 868-874 

  5. Kim KS, Kim MJ, Park JS, Sohn HS, Kwon DY. 2003. Compositions of functional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s. Food Sci Biotechnol 12: 157-160 

  6. Myung JE, Hwang IY. 2008.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ybean extract. Korea Soybean Digest 25: 23-29 

  7. Ruiz-larrea MB, Mohan AR, Paganga G.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phytoestrogenic isoflavones. Free Radic Res 26: 63-70 

  8. Wei HC, Wei LH, Frenkel K. 1993. Inhibition of tumor promotor- induced hydrogen peroxide formation in vitro and in vivo by genistein. Nutr Cancer 20: 1-2 

  9. Kwoon TW, Song YS, Hong JH, Moon GS, Kim JI, Hong JH. 1998. Current research on the bioactive functions of soyfoods in Korea. Korea Soybean Digest 15: 1-2 

  10. Kirk EA, Sutherland P, Wang SA. 1998. Dietary isoflavones reduce plasma cholesterol and atherosclerosis in C57BL/6 mice but not LDL receptor-deficient mice. J Nutr 128: 954-959 

  11. Kurzer MS, Xu X. 1997. Dietary phytoestrogens. Annu Rev Nutr 17: 358-381 

  12. Moon SW, Park MS, Ahn JB, Ji GE.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ocolate blended with Bifidobacterium-fermented isoflavone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6: 1162-1168 

  13. Lim AK, Jung HK, Hong JH, Oh JS, Kwak JH, Kim YH, Kim DI. 2008. Effect of the soybean powder with rich aglycone isoflavon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302-308 

  14. FDA. 1999. Food labeling health claims: soy protein and coronary heart diseas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inal rule. Fed Regist 64: 57700-57733 

  15. 한국건강기능성식품협회. 2008. 개별 기준 및 규격 II.2.6.1 대두단백. 건강기능식품공전. p 102 

  16. 한국건강기능성식품협회. 2007. 제3. 건강기능식품별 기준 및 규격 34-2 대두단백함유제품. 건강기능식품공전 34-2-3. p141 

  17. 이영순. 2000. 실험동물학개론. 샤론, 서울. p 10-11 

  18. Haglund O, Loustarinen R, Wallin R, Wibell I, Saldeen T. 1991. The effect of fish oil on triglycerides, cholesterol, fibrinogen and malondialdehyde in mans supplemented with vitamin. Eur J Nutr 121: 165-172 

  19. Kim MH, Jang SY, Lee YS. 2006. Effect of dietary fat and genistein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activity in hyperlipidemic male rats induced high fat diet. Korean J Nutrition 39: 100-108 

  20. Mitchell GV, Jenkins MY, Grundel E. 1989. Protein efficiency ratios and net protein ratios of selected protein foods. Plant Foods Hum Nutr 39: 53-58 

  21. Shin MK, Han SH, Park SH. 2006. Effect of soybean powder on lipid metabolism and enzyme activities in induced hyperlipidemic ra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165-173 

  22. Choi HT, Kim ES, Ham SS, Park SY, Chung HY. 2008. Effects of complex food ingredient composed of garlic and fermented soybean hypocotyl on the serum lipid profiles of the rats fed high-fat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15-219 

  23. Dietschy JM, Wilson JD. 1970. Regulation of cholesterol metabolism. New Engl J Med 282: 1128-1241 

  24. Blackburn P, Cote M, Lamarche B, Couillard C, Pascot A, Tremblay A, Bergeron J, Lemieux I, Despres JP. 2003. Impact of postprandial variation in triglyceridemia on low-density lipoprotein particle size. Metabolism 11: 1379- 1386 

  25. Afifi FU, Al-Khalidi B, Khalil E. 2005. Studies on the in vivo hypoglycemic activities of two medicinal plant used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in Jordanian traditional medicine following intranasal administration. J Ethnopharmacol 100: 314-318 

  26. Lee EJ, Zhao HL, Li DW, Jeong CS, Kim JH, Kim YS. 2003. Effect of the MeOH extract of adventious root culture of Panax ginseng on hyperlipidemic rat induced by high fat-rich diet. Kor J Pharmacogn 34: 179-184 

  27. Wout ZGM, Pec EA, Maggiore JA, Willians RH, Palicharla P, Johnston TP. 1992. Poloxamer 407-mediated changes in plasma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following intraperitoneal injection to rats. J Parenter Sci Technol 46: 192-200 

  28. Wright SM, Salter AM. 1998. Effects of soy protein on plasma cholesterol and bile acid excretion in hamsters. Comp Biochem Physiol B Biochem Mol Biol 119: 247-254 

  29. Costas RL, Summa MA. 2000. Soy protein in the management of hyperlipidemia. Ann Pharmacother 34: 931-995 

  30. Morita T, Oh HA, Takei K, Ikai M, Kasada S, Kiriyams S. 1997.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soybean, potato and rice proteins depend on their low methionine contents in rats fed a cholesterol-free purified diet. J Nutr 127: 470- 477 

  31. Peluso MR, Winters TA, Shanahan MF, Banz WJ. 2000. A cooperative interaction between soy protein and its isoflavone- enriched fraction lowers hepatic lipids in male obese Zuker rats and reduces blood platelet sensitivity in male Sprague-Dawley rats. J Nutr 130: 2333-2342 

  32. Plaa GL, Charonneau M. 1994. Detec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ly induced liver injury. In Principles and methods of toxicology. Hayes At Raven Press, New York, USA. p 839-870 

  33. Kang YH, Park YH, Ha TY, Moon KD. 1996.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s on serum and liver lipid contents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Nutr 25: 367-3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