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익마케팅을 전개하는 패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태도와 친숙성이 신뢰와 구매.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nsumer Attitudes and Familiarity toward a Fashion Brand with a Cause Marketing Program on Credibility, Purchase and Word-of-mouth Intentio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9 no.6, 2009년, pp.1 - 15  

서은경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황선진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ause marketing on fashion brand credibility, purchase and words of mouth ("WOM") intentions. This study adopted a survey method with the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respondents who were graduated from higher than elementary schoo...

주제어

참고문헌 (75)

  1. Pringle, Hamish & Thomson, Majorie (1999). Brand Spirit: How Cause Related Marketing Builds Brands. 김민주, 송희령 역 (2003). 미래의 창, pp. 96-97 

  2. 위의 책, p. 18 

  3. Pringle, H. & Thomson, M. op. cit.. p. 393 

  4. Porter, Michael E. & Kramer, Mark R. (2006). Strategy & Society; The link between competitive advantag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rvard Business Review. December, pp. 78-92 

  5. Pringle, H. & Thomson. M. op. cit.. pp. 34-35. pp. 36-375 

  6. definitions, 자료검색일 2009.2.17, 자료출처 http://www.causemarkeitngforum.com/page.asp?ID80 

  7. Varadarajan P. R.. and Menon, A. (1988). Cause-related Marketing: a coalignment of marketing strategy and corporate philanthropy. Journal of Marketing, 52(3), pp. 58-74 

  8. Pringle, H. & Thomson, M. op. cit.. p. 31 

  9. 네이버백과사전. 자료검색일 2009.2.16, 자료출처 http://100.naver.com/100.nhn?docid779923 

  10. 박종균 (2006.12.12). 자료검색일 2009.2.16, 자료출처 http://coph.co.kr/zboard/view.php?idpds2&page1&sn1&divpagel&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6 

  11. Kotler, P. (2000). Marketing Management: The Millenium Edition, 10th ed. (International), Prentice-Hall, London, p. 25 

  12. Lafferty, Barbara A., and Goldsmith, Ronald E. (2005). Cause-brand alliances: does the cause help the brand or does the brand help the caus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8. pp. 423-429 

  13. Brink, Douwe van den. Schroder Gaby Odenkerken & Pauwels, Pieter (2006). The effect of strategic and tactical cause-related marketing on consumer's brand loyal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3(1), pp. 15-25 

  14. Pringle, H. & Thomson, M. op. cit.. p. 181, pp. 201-202 

  15. Lafferty, Barbara A. (2007). The relevance of fit in a cause-brand alliance when consumers evaluate corporate credibilit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0, pp. 447-453 

  16. Pringle, H. & Thomson, M. op. cit.. pp. 166-167 

  17. Drumwright, M. E. (1996). Company advertising with a social dimension: the role of non-economic criteria. Journal of Marketing, 60(4), pp. 71-87 

  18. Marketing News (1998). July; Mintel. p. 6 

  19. 김윤영 (2004). 공익 연계 마케팅이 기업이미지 개선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3 

  20. Pringle, H. & Thomson, M. op. cit.. pp. 203-205 

  21. 김하연 (2004). 공익연계 공동 마케팅 광고가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브랜드 친숙성과 제품의 공의관련성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5-27 

  22. 손영석 (2002). 스포츠 스폰서 쉽에 대한 소비자 태도 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3(3), pp. 121-150 

  23. 조형오 (2000). 공익연계 광고 메시지가 소비자의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 상표친숙도와 공익적 특성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49. pp. 231-249 

  24. 이은영 (2008). 공익연계 마케팅 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경영학회지, 6(2), pp. 123-137 

  25. 박은아, 허연주, 유홍구 (2005). 공익연계광고에서 브랜드-공익 관련성과 소비자 참여방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방송학보, 19(1), pp. 286-325 

  26. Youn, Seounmi & Kim, Huksoo (2008). Antecedents of consumer attitudes toward cause-related Market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March, pp. 123-137 

  27. Pringle, H. & Thomson, M. op. cit.. p. 202 

  28. Fombrun, Charles J. (1996). Reputation.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in Lafferty, Barbara A. (2007). The relevance of fit in a cause-bredibilit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0, pp.447. 

  29. Lafferty, B. A., & Goldsmith, R. E. op. cit.. pp. 423-429 

  30. Goldsmith, R. E., Lafferty, Barbara A., & Newell, Stephen J. (2000). The impact of corporate credibility on consumer reaction to advertisement and brands, Journal of Advertising, 29(3), pp. 43-54 

  31. Lafferty, B. A., op. cit., p. 451 

  32. 이은영. 앞의 책, p. 129 

  33. Lafferty, B. A., Goldsmith, R. E. and Hult, G. T. M. (2004). The impact of the alliance on the partners: a look at cause-brand alliances, Psychology & Marketing, 21(7), pp. 509-531 

  34. Youn, S. & Kim, H. op. cit.. p. 130 

  35. Brown, T. J. & Dacin, P. A. (1997). The company and the product: Corporate associations and consumer product associations and consumer product response. Journal of Marketing, January, pp. 68-83 

  36. Ross, III. J. K., Patterson, L. T. & Stutts, M. A. (1992). Consumer perceptions of organizations that use cause related marketing.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0(1), pp. 93-97 

  37. Murphy, D. (1997). Mutual attractions, Marketing, pp. 30-33 

  38. Ross III. J. K.. Patterson, L. T. & Stutts, M. A. op. cit.. pp. 93-97 

  39. 김자경, 김정현(2001). 공익연계 마케팅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 광고학연구: 일반, 12(3), pp. 31-52 

  40. 위의 책, p. 43 

  41. Ross, III. J. K.. Patterson, L. T. & Stutts, M. A. op. cit.. pp. 93-97 

  42. DaSilva, A. (2004). The 2004 Cone Corporate Citizenship Study, Boston: Cone Communications, 자료검색일 2009.4.2, 자료출처 http://www.coneinc.com/pages/pr_30.html 

  43. Webster (2005b). Cosmetics field puts on a good face, Advertising Age. June 13, In Youn, Seoun mi & Kim, Huksoo (2008). Antecedents of consumer attitudes toward cause-related Market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March, p. 127 

  44. 김자경, 김정현. 앞의 책, p. 43 

  45. 장진희 (2005). 공익연계 마케팅이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3 

  46. 이종만 (2006). 공익의 특성 요인이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품 관여도와 공익연계 메시지 표현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6 

  47. Hetttman, D. W., & Jenkins, E. (1990). Volunteerism and social interest. Individual Psychology, 46(4), pp. 298-303 

  48. Cui, Y., Trent, E. S., Sulivan, P. M.. & Matiru, G. N. (2003). Cause-Related Marketing: How generation Y respond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1(6), pp. 310-320 

  49. DaSilva, A. op. cit., http://www.coneinc.com/pages/pr_30.html 

  50. Youn, S. & Kim, H. op. cit., pp. 127~131 

  51. Youn, S. & Kim, H. op. cit.. p. 131 

  52. Chrenka, J., M. S. Gutter, and C. Jasper (2003). Gender differences in the decision to give time or money. Consumer Interest Annual. 40, pp. 1-4 

  53. 황선진, 송기은, 이윤경 (2003). 조정변수로서 소비자의 유행관여, 상표친숙성, 부정적 정보가 의류상표확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1), pp. 9-17 

  54. Alba, Joseph W.. & Hutchinson, J. Wesley (1987). Dimension of consumer experti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March), pp. 411-435 

  55. Mackenzie, Scott B., & Lutz, Richard J. (1989).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toward-the-ad in an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53( April), pp. 48-65 

  56. Lafferty, B. A., & Goldsmith, R. E. op. cit.. p. 449 

  57. 김자경, 김정현. 앞의 책, p. 41 

  58. 이은영. 앞의 책, p. 130 

  59. Lafferty, B. A. op. cit.. p. 449 

  60. 이은영. 앞의 책, p. 130 

  61. Lafferty, B. A. op. cit.. p. 449 

  62. 이은영. 앞의 책, p. 130 

  63. 김하연. 앞의 책, pp. 40-41 

  64. Alba, J. W.. & Hutchinson, J. W. op, cit.. pp. 411-435 

  65. 정찬진, 박재옥 (1998). 패션시장에서 모상표에 대한 지식이 확장상표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2(3), pp. 407-416 

  66. 박은아, 허연주, 유홍구 (2005). 공익연계광고에서 브랜드-공익 관련성과 소비자 참여방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방송학보. 19.(1), pp. 286-325 

  67. 김자경, 김정현. 앞의 책, p. 48 

  68. Lafferty, et al. op. cit.. pp. 509-531 

  69. Pringle, H. & Thomson, M. op. cit.. p. 202 

  70. Lafferty, Barbara A., and Goldsmith, Ronald E. (2005). Cause-brand alliances: does the cause help the brand or does the brand help the caus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8. pp. 423-429 

  71. Brink, D. D.. Schroder, G. O.. & Pauwels, P. op. cit.. pp. 15-25 

  72. 이은영. 앞의 책, p. 133 

  73. 김자경, 김정현. 앞의 책, p. 43 

  74. Lafferty, B. A., & Goldsmith, R. E. op. cit.. p. 427-428 

  75. Lafferty, B. A. op. cit.. p. 4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