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욕후기 산모의 산후우울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between 4 to 6 Weeks after Childbirth in the Postpartum Women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5 no.3, 2009년, pp.216 - 223  

송주은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among parturient women between 4 to 6 weeks after childbirth.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46 healthy postpartum women who delivered at three women's health hospitals in Chungnam province in 20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욕후기 산모의 신후우울 정도와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출산 후 삼칠일 간의 적극적 인 산후조리 기간이 끝난 이후인 산후 4주에서 6주에 속한 146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산후 우울 정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 었으며, 연구결과 양육스트레스와 산후조리 만족, 주관적 건강 상태가 산후우울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로부터 양육스트레스와 함께 한국의 산후조리 문화적 특성과 산모의 산후조리 경험이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검증되었으며, 산욕기 산모의 산후우울 연구에서 산후조리 관련 특성을 고려할 필요성이 설명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출산 후 4주에서 6주 이내의 산욕기에 속한 여성을 의미한다.
  • 산후 삼칠일(3주) 이후의 산욕기 산모를 대상.으로 산후 우울 정도가 어떠한지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며, 특히 선행연구에서 설명된 산후우울 예측요인 뿐 아니라, 삼칠일간의 산후조리 경험에 대한 만족도를 함께 포함하여분석함으로서 , 한국적 상황에서 산후우울을 예방 및 중재할 수 있는 차별화된 간호중재 마련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S. (2005).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Korean traditional 

  2. Bates, J., Freeland, C., & Lounsbury, M. (1979). Measurement of 

  3. Cheon, J. A. (1990). The effect of postpartum stress and social network 

  4. Chon, K. K., & Rhee, M. K. (1992). Preliminary development of 

  5. Cutrona, C. E. (1984). Social support and stress in the transition 

  6. Ferrini, A. F., & Ferrini, P. L. (2000). Health in the later years (3rd 

  7. Honey, K. L., Bennett, P., & Morgan, M. (2003). Predicting postnatal 

  8. Huang, C. M., Carter, P. A., & Guo, J. L. (2004). A comparison 

  9. Hung, C. H. (2005). Women's postpartum stress, social support, 

  10. Jang, E. J. (2007). Psychosocial and obstetric factors associated with 

  11. Jung, M. H., & Kim, J. I.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12. Kim, J. W., Kim, J. H., Eun, D. W., & Kim, H. (2005). Psychosocial 

  13. Kim, J. Y., & Kim, J. G. (2008). Psycho-social predictors model 

  14. Kwon, M., Kim, H., Kim, N., & Jang, J. (2006). Postpartum depression 

  15. Lee, H. K. (1992). A structural model of maternal role attainment of 

  16. Lee, Y. H. (1993). Patterns of infant-father attachment in the strange 

  17. Lee, K. H., & Lee, Y. S. (2004). The women's health nursing. Seoul: 

  18. Leung S., Martinson, I., & Arthur, D. (2005). Postpartum depression 

  19. Logsdon, M. G., Wisner, K. L., & Pinto-Foltz, M. D. (2006). The 

  20. McGrath, J. M., Records, K., & Rice, M. (2008). Maternal depression 

  21. Milligan, R. A. (1989). Maternal fatigue during the first three 

  22.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23. Park, Y. H. (1991). Transition to motherhood of primipara in postpartum 

  24. Park, Y. J., Shin, H. J., Ryu, H. S., Cheon, S. H., & Moon, S. H. 

  25.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26. Ryu, J. M. (2008).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predictors at 1 to 6 

  27. Song, J. E. (2007). Predictors of postpartum fatigue between early 

  28. Taylor, P. M., Taylor, F. H., Cambell, S. B., Malino, J. A., & 

  29. Troy, N. W. (1999). A comparison of fatigue and energy levels 

  30. Webb, D. A., Bloch, J. R., Coyne, J. C., Chung, E. K., Bennett, I. 

  31. Yeo, J. H. (2006).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predictors at 

  32. Yoo, E. K. (1993). Health promoting behavior for women's 

  33. Yoo, E. K. (1999). A study on functional status sfter childbirth under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