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Monochloropropane-1,2-diol(3-MCPD) 저감화를 위한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조건
Preparation Conditions of Hydrolyzed Vegetable Protein Soy Sauce for the Reduction of 3-Monochloropropane-1,2-Diol (3-MCPD)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5 = no.207, 2009년, pp.522 - 527  

정용일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지수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현규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3-MCPD의 함량을 신뢰할 수 있는 결과값의 도출을 위하여 HFBI 유도체화 방법을 이용하였다. 3-MCPD가 검출되지 않은 양조간장에 3-MCPD를 0.020과 $0.200{\mu}g/mL$의 농도로 spiking하여 그 결과 값을 측정한 결과, 회수율이 95% 이상으로 우수하였으며 분석의 재현성 및 정밀성 또한 우수하였다.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 조건 중 3-MCPD의 함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는 조건 즉, 알칼리 처리시의 pH와 온도, 그리고 유지 시의 온도와 시간을 다양하게 하여 시료를 제조 한 후, 3-MCPD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처리시의 pH와 온도가 높고, 유지 온도와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3-MCPD의 함량이 감소되는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알칼리 처리 온도와 유지 온도에 대한 영향보다는 알칼리 처리시의 pH가 3-MCPD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특히 pH 10.0 이상에서 알칼리 처리를 하였을 경우는 알칼리 처리 온도나 유지시간 및 유지온도 등의 다른 조건들에 상관없이 3-MCPD의 함량이 $0.020{\mu}g/g$ 이하로 현저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일반적인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 공정 조건에 변화를 줌으로써 실질적으로 생성되는 3-MCPD의 함량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아미노산 간장의 3-MCPD 저감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various manufacturing conditions of soy sauce containing hydrolyzed vegetable protein (HVP) (HVP-soy sauce) on 3-monochloropropane-1,2-diol (3-MCPD) contents. Various HVP soy sauces were prepar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alkal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amlet과 Sadd(14), 그리고 Brown 등(15)에 의해 3-MCPD가 pH와 온도에 매우 민감하여 이들 조건의 변화에 의해 저감화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공정상에서 3-MCPD의 함량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는 산분해 이후 공정들의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3-MCPD의 저감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즉,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과정 중, 알칼리 처리시의 pH와 온도, 그리고 알칼리처리 이후 유지되는 온도와 시간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3-MCPD 함량 변화에 대한 각 제조조건들에 의한 영향을 파악하여 제조공정 개선에 의한 3-MCPD의 저감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공정상에서 3-MCPD의 함량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는 산분해 이후 공정들의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3-MCPD의 저감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즉,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과정 중, 알칼리 처리시의 pH와 온도, 그리고 알칼리처리 이후 유지되는 온도와 시간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3-MCPD 함량 변화에 대한 각 제조조건들에 의한 영향을 파악하여 제조공정 개선에 의한 3-MCPD의 저감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a-fMeans within a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조간장은 무엇을 필요로하는가? 간장은 한국을 비롯한 여러 아시아 국가들의 식생활에 필수적인 전통 조미식품으로, 일반적으로 제조방법에 따라 양조간장과 아미노산 간장(산분해 간장)으로 구별되고 있다. 양조간장은 맛과 향 등의 관능적 특성은 우수하지만, 발효에 소요되는 긴 시간과 설비로 인해 많은 제조비용을 필요로 한다. 반면, 아미노산 간장은 양조간장에 비해 관능적 특성은 우수하지 못하지만 제조 기간을 7-10일 정도로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경제적인 측면에서 훨씬 유리한 제품이라 할 수 있다(1).
간장이란? 간장은 한국을 비롯한 여러 아시아 국가들의 식생활에 필수적인 전통 조미식품으로, 일반적으로 제조방법에 따라 양조간장과 아미노산 간장(산분해 간장)으로 구별되고 있다. 양조간장은 맛과 향 등의 관능적 특성은 우수하지만, 발효에 소요되는 긴 시간과 설비로 인해 많은 제조비용을 필요로 한다.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공정 중 산분해공정 과정에서는 무엇이 생선된다는 것으로 보고되어왔는가?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공정 중, 산분해공정은 제조기간의 단축을 위해 필수적인 동시에 관능적 특성을 좌우하는 주요한 공정의 하나이다. 이 과정에서 클로로프로판올류(chloropropanols)의 일종인 3-monochloropropane-1,2-diol(3-MCPD, C3H7O2Cl)이 탈지대두의 산분해 부산물로써 생성된다는 것이 보고되어왔다(2-4). 즉, 염산에 의해 식물성가수분해단백질(hydrolyzed vegetable protein, HVP) 생성 시 잔존하는 지방이 지방산과 글리세린으로 분해되고, 글리세린은 염산과 반응하여 대두 내에 함유된 triglyceride의 구조내의 지방산에 염산의 염소기가 치환되어 생성되는 물질이 3-MCPD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Yoon BK, Park JS, Park CH, Choi YJ, Jun MJ. Changes of MCPD and chemical components in soy sauce made of acidhydrolyzate of defatted soy protein by fermenting the soy sauce koji.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419-424 (1998) 

  2. Collier D, Cromie DD, Davis AP. Mechanism of formation of chloropropanols present in protein hydrolysates. J. Am. Oil Chem. Soc. 68: 785-790 (1991) 

  3. Velisek J, Ledahudcova K, Hajslova J, Pech P, Kubelka V, Viden I. New 3-chloro-1,2-propanediol derived dihydroxypropylamines in hydrolyzed vegetable proteins. J. Agr. Food Chem. 40: 1389-1392 (1992) 

  4. Velisek J, Davidek T, Davidek J, Hamburg, A. 3-chloro-1,2-propanediol derived amino alcohol in protein hydrolysates. J. Food Sci. 56: 136-138 (1991) 

  5. Kim MG, Kim YS, Lee MJ, Kim JK, Kim KA, Park EM, Ko HU, Son JS. Survey of Contaminants of 3-MCPD and 1,3-DCP in soy sauce using GC/MSD. J. Food Hyg. Safety 21: 153-158 (2006) 

  6. Lee BM. Safety and risk assessment of 3-monochloro-1,2-propanediaol (3-MCPD). J. Toxicol. Pub. Health 18: 1-11 (2002) 

  7. Coppola JA. An extragonadal male antifertility agent. Life Sci. 8:43-48 (1969) 

  8. Pez GF, Homonnai ZT. A direct effect of $\alpha$ -chlorohydrin on ratepididymal spermatozoa. Int. J. Androl. 5: 308-316 (1982) 

  9. Ban Y, Asanabe U, Inagaki S, Sasaki M, Nakatsuka T, Matsumoto H. Effect of alpha-chlorohysrin on rat sperm motions in relation to male reproductive functions. J. Toxicol. Sci. 24: 407-413 (1999) 

  10.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 food code (2005) 

  11. European Commission. Commission Regulation (EC) No 466. Setting maximum levels for certain contaminants in foodstuffs. (2001) 

  12.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3-MCPD (3-monochloro-1,2- propanediol).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index.html. Accessed May 28, 2008. 

  13. Song HS, Lee BM. Analysis of 3-monochloro-1,2-propanediol (3-MCPD) in soy sauce products in Korea. J. Toxicol. Pub. Health 18: 191-194 (2002) 

  14. Hamlet CG, Sadd PA. Kinetics of 3-chloropropane-1,2-diol (3-MCPD) degradation in high temperature model systems Eur.Food Res. Technol. 215: 46-50 (2002) 

  15. Brown DA, van Meeteren HW, Simmons JD. Process for preparing improved hydrolysed protein. Eur. patent 0.310,595 B1 (1989) 

  16. Hamlet CG, Sutton PG. Determination of the chloropropanols 3-chloro-1,2-propanediol and 2-chloro-1,3-propanediol in hydrolysed vegetable protein and seasonings by gas chromatography ion trap tandem mass spectrometry. Rapid Commun. Mass Sp. 11: 1417-1424 (1997) 

  17. Hamlet CG. Analytical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3-chloro- 1,2-propanediol and 2-chloro-1,3-propanediol in hydrolysed vegetable protein, seasonings and food products using gas chromatography/ ion trap tandem mass spectometry. Food Addit. Contam. 15: 451-465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