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철과 버스의 서비스권역 비교 및 이용자들의 도보거리 추정 - 부산시를 중심으로 -
Comparing the Service Coverages of Subways and Buses and Estimating the Walking Distances of Their Users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교통공학, 도로공학, 시공관리, 정보기술, 지역 및 도시계획, 철도공학,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공학, v.30 no.6D, 2010년, pp.541 - 552  

김경환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환경 및 지역발전연구소) ,  이덕환 (경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최종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오일성 (경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도시 주변 및 중규모도시에서 경전철을 중심으로 하는 대중교통정비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새로운 교통수단인 경전철의 서비스권역 설정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를 연구도시로 도시철도와 버스의 서비스권역을 동시에 조사하여 비교함으로써 양수단의 서비스권역의 특성을 파악하고 보행거리 추정 모형을 구축하여 장래 건설될 경전철의 서비스권역 설정에 이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 및 기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시공간 구조별로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이용행태가 서로 다른점을 반영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역세권을 도심형, 부도심형, 지역중심형의 세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서 1개의 역을 연구대상역으로 선정하였다. 각 수단별 도보거리 분석에서 누적분포 80% 도보거리는 지하철이 672m, 버스가 472m로 산정되었다. 지하철과 버스의 역세권 유형별 서비스권역은 지하철과 버스 모두 도심형을 제외한 부도심형, 지역중심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볼 수 있었다. 수단별 도보거리와 인적속성변수와의 관계 분석에서는 지하철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도보거리가 길며 월평균 수입과 연령이 많을수록 도보거리가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 이용자들의 주거유형에서는 아파트 거주자들이 단독주택 거주자 보다 적극적으로 지하철을 이용하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하철과 버스 이용자의 도보거리 추정모형은 도심형과 비도심형(부도심+지역중심형)으로 구분하고 두 교통수단 모두의 도보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자 수입을 독립변수로 한 1차 회귀식형태의 추정모형이 구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ight rail transit (LRT) having bus lines as subsystem is being constructed or planned in the suburban area of metropolitans and medium size cities. However, there is difficulty in establishing the service coverage (SC) of the LRT because the LRT is a completely new transit mode in Korea. The p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스서비스권역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버스정류장까지 도보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경우에 버스 정류장을 중심으로 합리적인 도보거리를 반영한 일정한 반경 내의 지역을 만들고, 이 지역 내에 있는 버스 이용자들은 버스 정류장까지 도보를 이용하여 접근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며 그 지역을 버스서비스권역(Bus Service Coverage Area)이라고 정의한다(김점산, 2005).
도시철도를 수송능력에 따라 분류하면? 도시 속 대중교통시스템은 그 수요의 질이나 양에 있어서 여러 가지가 있는데 도시철도는 수송능력에 따라 중량전철(HRT; Heavy Rail Transit), 경량전철(LRT; Light Rail Transit), 소형전철 및 궤도승용차(PRT; Personal Raipid Transit)로 구분된다. 국내의 도시철도가 건설된 서울, 인천, 대구, 부산 등에서는 중량전철 형태인 지하철로 건설하였다.
부산의 동부산권, 중부산권, 서부산권 3개의 권역은 어떠한 도시공간 구조를 가지는가? 본 연구의 조사지역인 부산광역시의 공간구조는 그림 1과 같이 크게 동부산권, 중부산권, 서부산권 3개의 권역으로 나뉘어 있다. 3개의 권역은 다시 서면과 광복동을 중심으로 하는 도심과 해운대, 동래, 구포, 사상, 하단의 부도심 그리고 기장, 정관, 금정, 대저, 가덕·녹산을 포함한 지역중심으로 총 1도심, 5부도심, 5지역중심 형태의 도시공간 구조를 가진다(부산시 도시기본계획 20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건설교통부(2006) 간선급행버스체계( BRT) 설계지침. 

  2. 건설교통부(2006) 대중교통기본계획(2007-2011). 

  3. 김경환. 유환희, 이상호(2008) 중.소도시 버스이용자의 한계도보 시간 추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4D호, pp. 451-457. 

  4. 김동찬, 임동민(1999) 역세권의 토지이용 및 이용행태 분석에 관한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4권 제4호, pp. 25-37. 

  5. 김대웅. 유영근, 최한규(2002) 지하철 도보역세권 설정방법과 적용에 관한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7권 제5호, pp. 177-186. 

  6. 김성희, 이창무, 안건혁 (2002) 대중교통으로의 보행거리가 통행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6권 제7호, pp. 297-307. 

  7. 김점산. 권용석 (2005) 이용자 속성을 고려한 버스서비스권역 결정 모형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3호, pp. 149-159. 

  8. 김재홍, 이승일, 이신해 (2007) 명시선호실험과 현시선호자료를 이용한 대도시권 지하철역세권 설정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52권, pp. 131-148. 

  9. 김재준, 이승일 (2007) 지하철역 접근시간 산정모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정기학술발표논문집,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 283-290. 

  10. 김태호, 이용택, 황의표, 원제무(2008) CART분석을 이용한 신도시지역의 지하철 역세권 설정에 관한연구, 한국철도학회논문집, 한국철도학회, 제11권 제3호, pp. 216-224. 

  11.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 http://www.subway.busan.kr/korea/main/ 

  12.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http://www.busan.go.kr/00_main/ 

  13. 부산시 도시기본계획 2020년. 

  14. 성현곤, 김태현(2005) 서울시 역세권의 유형화에 관한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8호, pp. 19-29. 

  15. 손정렬 (1993) 지하철 연계역세권 설정의 준거로서 통행시간 구성요소들의 유의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6. 송홍수 외(1995) 도시 상업시설 분포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0권 4호. 

  17. 양병화(1999)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18. 여운승(2000) 사회과학과 마케팅을 위한 다변량행동조사, 민영사 

  19. 이금숙(1998) 지하철 접근성 증가의 공간적 파급효과 산출모형개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한국경제지리학회, 제1권 1호, pp. 137-149. 

  20. 이재영, 송태수(2004) 수도권 신도시의 역세권과 지하철 이용행태 변화분석,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9권 제4호, pp. 93-103. 

  21. 이상국, 김율성, 이원규(2007) 부산 지하철 역세권 잠재이용승객에 관한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22. 이승일, 장세진(2008) 지하철 통근통행시간이 역세권의 공간범위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1D호, pp. 119-127. 

  23. 이학식, 임지훈(2005) SPSS 12.0 매뉴얼 통계분석 및 해설, 법문사. 

  24. 임정희 (1998) 서울시 지하철 환승역세권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5. 임희지 (2007) 서울시 대중교통 역중심 생활권 형성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6. 임주호(2006) 도시철도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역세권 토지이용특성,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7. 윤대식, 고재정 (2006) 대구지하철 역세권의 공간적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학회지, 한국지역학회, 제22권 제2호, pp. 251-274. 

  28. 정헌영, 최치국(2004) 지하철 이용 활성회를 위한 환승체계의 정책대안 평가,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2권 제2호, pp. 27-39 

  29. 최창식, 윤혁렬(2004) 지하철 건설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공간적 영향분석 : 서울 지하철 7호선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제5권 제4호, pp. 25-37. 

  30. 최치국, 권인영(2003) 부산지하철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정책대안평가 및 적용에 관한연구, 부산발전연구원. 

  31. 최창환, 이동본 지가의 공간분포 분석을 통한 부산시 도시공간구조해석에 관한연구, 한국부동산학회지, 한국부동산학회, 제25권, pp. 205-218. 

  32. 통계청(2006) 장래인구추계. 

  33. 한봉림(1991) 지하철 건설에 따른 주변지역의 지가변화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개발연구, 제16권 제1호, pp. 177-198. 

  34. Kim, K. W. and Lee, D. W. (2008) A model to estimate the marginal walking time of bus Llsers by using adaptive neuro-fuzzy inference system.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12, No. 3, pp. 197-204. 

  35. Kim, K. W., Lee, D. W., and Chun, Y. H. (2010)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rvice coverages of subways and buse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14, No. 3, pp. 915-922. 

  36. Lazar N. Spasovic, Maria P. Boile, and Athanassios K. Bladikas (1994) Bus transit service coverage for maximum probit and social welfar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51. 

  37. Lazar N. Spasovic, Maria P. Boile, and Athanassios K. Bladikas (1993)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optimizing bus transit service coverag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02. 

  38. Ortuzar, J. D. and Willumsen, L. G. (2001) Modelling Tramsport-3rd edition, John Wiley & Sons. LTD, pp. 106. 

  39. Peter Calthorpe (1993) The Next American Metropolis: Ecology, Community, and American Dream.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4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03)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2nd edition. TCRP Report 100, Washington, D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