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심장협회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술기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효과
The Effects and Retention of the AHA's BLS Training on Knowledge and Skill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6 no.2, 2010년, pp.222 - 228  

권말숙 (대구과학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s and retention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s basic cardiac life support (BLS) training on knowledge and skill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 The study was a one 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The sample included 41 j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미국심장협회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술기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미국심장협회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술기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효과를 파악하여 적절한 재교육 시점을 결정하는데 객관적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이 연구는 미국심장협회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술기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된 단일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K병원의 AHA BLS course for healthcare provider에 참여한 D대학 간호과 3학년 41명으로 하였고, 자료 수집은 2010년 1월 18일부터 6월 7일까지 이루어졌다.
  • 따라서 대한심폐소생협회(KACPR)나 전국의 BLS TS에서는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BLS instructors와 faculty들이 주축이 되어 교육생들의 교육 후 자료 분석과 추적조사를 통해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와 적절한 재교육 시점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 활동들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본다. 이에 이 연구자는 기본심폐소생술 교육과정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 4개월 후 교육효과가 감소한다고 한 오수일과 한상숙(2008)의 연구결과에 대한 재검증과 동시에 보다 적절한 재교육 시점을 결정하는데 객관적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에서는 성인의 몇 %가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는가? 이처럼 심혈관계 질환이 심정지의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인식되면서 심폐소생술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성인의 90%가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고 있으며(Hazinski et al., 2004), 심폐소생술에 대한 다양한 교육방법과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심폐소생술 교육방법으로 활용되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가? 현재 심폐소생술 교육방법으로 비디오 시청, 포스터 사용, 전화를 통한 교육, 마네킹을 사용한 자가 학습법,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방법, 시뮬레이션 기법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Hamilton, 2005). 엄동춘, 전명희, 황지영 및 최지예(2008)도 최근 뉴미디어 시대를 맞이하여 드라마, 영화, UCC(User Created Contents), 인터넷, 동영상 등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학습매체를 적극 활용하여 심폐소생술 교육방법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미국심장협회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술기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효과를 분석한 결과 중, 교육 4개월 후의 지식 정도는 어떠했는가? 그러나 교육 4개월 후 지식정도는 교육직후 16.24점에서 14.37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 4개월 후의 지식점수가 교육 2개월 후보다 유의하게 낮아졌다고 보고한 김수홍 등(2007)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이며,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폐소생술 교육효과에서 교육 직후에 비해 3개월 후 지식점수가 유의하게 낮아졌다고 한 백미례와 이인수(2001)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경희 (2001). 현장응급처치자의 심폐소생술 지식과 기술보유에 관한 연구. 가천길대학 논문집, 29, 381-389. 

  2. 고종현 (2007). 시뮬레이션 교육이 보건계열 학생의 기본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3. 권말숙 (2009). 기본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수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0(12), 3925-3930. 

  4. 김수홍, 김상희, 심정신 (2007). 간호 대학생의 심폐소생술 교육효과 및 교육효과 지속에 대한 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18(6), 496-502. 

  5. 박요섭, 김영민, 이원재, 김한준, 김용범, 정원중, 김석환, 김윤희 (2006). 임상실습과정 의과대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와 강의식 재교육이 그에 미치는 영향, 대한응급의학회지, 17(1), 45-50. 

  6. 박종우, 성창민, 조영순, 최영환, 박인철, 김승호 (2006). 의대생 대상의 심폐소생술 재교육 효과와 지속성. 대한응급의학회지, 17(1), 8-12. 

  7. 백미례, 이인수 (2001).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효과 지속에 관한 연구.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집, 5(5), 63-71. 

  8. 안재윤, 서강석, 박정배, 정제명, 류현욱, 강성원, 최규일, 김윤정 (2009). 임상전 의학전문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후 지식 및 술기 수행능력의 6개월 전후비교. 대한응급의학회지, 20(5), 496-504. 

  9. 오수일, 한상숙 (2008). 심폐소생술 재교육이 간호사의 지식과 기술에 미치는 지속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8(3). 383-392. 

  10. 오윤희, 김복자 (2005). 비의료인에게 실시한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2), 278-286. 

  11. 엄동춘, 전명희, 황지영, 최지예 (2008). 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경험에 따른 지식: 일 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138-146. 

  12. 이문희 (2005). 심폐소생술 교육이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광주. 

  13. 이인수, 백미례 (2001). 일부 경찰공무원에게 실시한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집, 5(5), 53-61. 

  14. 한정석, 고일선, 강규숙, 송인자, 문성미, 김선희 (1999). 간호학생에게 실시한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6(3), 493-506. 

  15. 홍정석, 안력, 김선휴, 김우연, 김수옥, 홍은석 (2009). 미국심폐소생협회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간호대학생의술기수행능력 유지 정도. 대한응급의학회지, 20(6), 609-614. 

  16. 황성오, 임경수 (2006). 심폐소생술과 전문심장구조술. 서울: 군자출판사. 

  17. Berden H. J., Willems F. F., Hendrick J. M., Pijls N. H., & Knape J. T. (1993). How frequently should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be repeated to maintain adequate skills?. Br Med J, 306, 1576-1577. 

  18. Bond W., Kostenbader M., & McCarthy J. (2001). Prehospital and hospital-based health care providers' experience with a human patient simulator. Prehosp Emerg Care, 5(3), 284-287. 

  19. Carter W. B., Eisenberg M. S., Hallstrom A. P., & Schaeffer S. (1984).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mergency CPR instruction via telephone. Ann Emerg Med, 13(1), 695-700. 

  20. Chamberlain D., Smith A., Woollard M., Colquhoun M., Handley A. J., Leaves S., & Kern K. B. (2002). Trials of teaching methods in basic life support(3): Comparison of simulated CPR performance after first training and at 6 months, with a note on the value of re-training. Resuscitation, 53(2), 179-187. 

  21. Fossel M., Kiskaddon R. T., & Sternbach G. L. (1983). Reten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kills by medical students. J Med Educ, 58(7), 568-575. 

  22. Hamilton R. (2005). Nurses' knowledge and skill retention follow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Adv Nurs, 51(3), 288-297. 

  23. Hazinski M. F., Markenson D., Neish S., Gerardi M., Hootman J., Nichol G., Taras H., Hickey R., O'Connor R., Potts J., Elise van der Jagt, Berger S., Schexnayder S., Garson A., Doherty A., & Smith S. (2004). Response to cardiac arrest and selected life-threatening medical emergencies: The medical emergency response plan for schools. a statement for healthcare providers, policymakers, school administrators, and community leaders. Pediatrics, 113(1), 155-168. 

  24. Martin, W. J., Loomis, J. H. Jr, & Lloyd, C. W. (1983). CPR skills: Achievement and retention under stringent and relaxed criteria. Am J Public Health, 73(11), 1310-1312. 

  25. Platz E., Scheatzle M. D., Pepe P. E., & Dearwater S. R. (2000). Attitudes towards CPR training and performance in family members of patients with heart disease. Resucitation, 47(3), 273-280. 

  26. Smith K. K., Gilcreast D., & Pierce K. (2008). Evaluation of staff's retention of ACLS and BLS skills. Resucitation, 78(1), 59-65. 

  27. Spooner B. B., Fallaha J. F., Kocierz L., Smith C. M., Smith S. C. L., & Perkins G. D. (2007). An evaluation of objective feedback in basic life support (BLS) training. Resucitation, 73(3), 417-424. 

  28. Vanderschmidt H., Burnap T. K., & Thwaites J. K. (1975). Evaluation of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urse for secondary schools. Med Care, 13, 763-764. 

  29. Wadas T. M. (1999). Role rehearsal: A mock code program. DCCN, 18(6), 36-3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