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두추출물을 처리한 조골세포 조건배양액은 RANKL에 의해 유도된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
Conditioned Medium of Soybean Extract Treated Osteoblasts Inhibits RANKL Induced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 2010년, pp.64 - 70  

박경호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주원철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여주홍 (농촌진흥청 농업생물부) ,  이광길 (농촌진흥청 농업생물부) ,  조윤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MC3T3-E1 조골 전구세포에 대두추출물을 처리 후 그 조건배양액에서 파골세포분화 관련 국소인자 중파골세포분화 촉진인자(IL-$\beta$, IL-6, RANKL, TNF-$\alpha$, M-CSF) 및 파골세포로의 분화억제에 관여하는 국소인자인 OPG의 발현변화를 조골세포 조건배양액에서 살펴보았으며, 이 조골세포 조건배양액을 RAW264.7 파골전구세포에 처리 시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정도를 TRAP 염색 및 관련 분화 지표의 발현을 통해 알아보았다. 대두추출물 처리한 조골세포 조건배양액에서 OPG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강력한 파골세포 분화촉진인자로 알려진 IL-1$\beta$의 발현 역시 고농도의 대두추출물 처리 시 현저히 증가하여 고농도의 대두추출물을 처리한 CM 처리 시 TRAP 염색된 일부 파골세포를 확인하였고, 파골세포분화 관련지표인 MMP-9의 발현 또한 저농도 대두 추출물을 처리한 CM 처리에 비해 증가하였다. 이는 저농도의 대두추출물이 고농도의 대두추출물에 비해 파골세포분화억제에 효과적임을 의미하나, 추후 파골세포수준에서 분화억제 관련 기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ybean is of particular interest as a food supplement of isoflavones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in postmenopausal woman. These beneficial effects of isoflavones are caused by functioning as partial agonists or antagonists of estrogen, of which anti-resorptive effect is mediated indirectly th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두추출물을 처리한 MC3T3-E1 조골세포 조건배양액에서 다양한 파골세포 분화관련인자의 발현변화를 확인하고, 그 조건배양액을 RAW264.7 파골전구세포에 처리 시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B: The signal intensities from multiple experiments of A were quantified and the integrated areas were first normalized to the corresponding value of β-actin and then to the signal observed in positive control cells (+C).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 항상성은 무엇에 의해 유지되는가? 골 항상성은 골 흡수에 관여하는 파골세포와 골 형성에 관여하는 조골세포의 긴밀한 상호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파골전구세포로부터 파골세포로의 분화과정에 조골세포가 관여함은 여러 보고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1).
파골세포분화는 무엇에 의해 시작되는가? 파골전구세포로부터 파골세포로의 분화과정에 조골세포가 관여함은 여러 보고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1). 파골세포분화는 조골세포에서 발현되는 파골세포 분화유도인자인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nad(RANKL)와 파골전구세포에서 발현되는 그 수용체 RANK의 결합에 의해 시작되며, 체내 여러 종류의 전신성 호르몬 및 조골세포에서 생성·분비되는 다양한 국소인자에 의해 조절된다(2,3). 특히, 여성의 골 대사 균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세포막 혹은 핵막에 존재하는 그 수용체(Estrogen Receptor: ER)와 결합 후 파골세포의 분화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4).
세포막 혹은 핵막에 존재하는 그 수용체(Estrogen Receptor: ER)와 결합 후 파골세포분화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는 것은 무엇인가? 파골세포분화는 조골세포에서 발현되는 파골세포 분화유도인자인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nad(RANKL)와 파골전구세포에서 발현되는 그 수용체 RANK의 결합에 의해 시작되며, 체내 여러 종류의 전신성 호르몬 및 조골세포에서 생성·분비되는 다양한 국소인자에 의해 조절된다(2,3). 특히, 여성의 골 대사 균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세포막 혹은 핵막에 존재하는 그 수용체(Estrogen Receptor: ER)와 결합 후 파골세포의 분화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4). 또한, 조골세포에서 분비되는 국소인자 중 monocyte-macrophage colony-stimuating factor(M-CSF), tumor necrosis factor(TNF)-α, interleukin(IL)-1 그리고 IL-6 등이 파골세포의 분화 조절에 관여하는데, 에스트로겐은 이들 인자의 발현감소를 유도하여 파골세포분화를 억제할 수 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Parfitt AM. 1994. Osteonal and hemi-osteonal remodeling: The spatial and temporal framework for signal traffic in adult human bone. J Cell Biochem 55: 273-286. 

  2. Udagawa N, Takakashi N, Akatsu T, Tanaka H, Sasaki T, Nishihara T. 1990. Origin of osteoclasts: mature monocytes and macrophages are capable of differentiating into osteoclasts under a suitable microenvironment prepared by bone marrow-derived stromal cells. Proc Natl Acad Sci USA 87: 7260-7264. 

  3. Kong YY, Boyle WJ, Penninger JM. 2001. Osteoprotegerin and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in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Rheum 44: 253-259. 

  4. Milsicek RJ. 1994. Interaction of naturally occurring nonsteroidal estrogen with expressed recombinant human estrogen receptor. J Steroid Biochem Mol Biol 49: 153-160. 

  5. Kurolouchi K, Kambe F, Yasukawa K, Izumi R, Ishiguro N, Iwata H. 1998. TNF- $\alpha$ increases expression of IL-6 and ICAM-1 genes through activation of NK- ${\kappa}B$ in osteoblast-like ROS17/2.8 cells. J Bone Miner Res 13: 1290-1299. 

  6. Jilka RL. 1998. Cytokines, bone remodeling, and estrogen deficiency: a 1998 update. Bone 23: 75-81. 

  7. Lorenz CH, Armin EH. 1997. Osteoprotegerin: a novel local player in bone metabolism. Eur J Endocrinol 137: 345-346. 

  8. Rogers J. 1967. Estrogens in the menopause and postmenopause. N Engl J Med 280: 364-367. 

  9. Baker VL, Leitman D, Jaffe RB. 2000.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in reproductive medicine and biology. Obstet Gynecol Surv 55: 21-47. 

  10. Aldercreutz H, Mazur W. 1996. Phyto-oestrogens in relation to cancer and other human health risks. Proc Nutr Soc 55: 399-417. 

  11. Anderson JJB, Garner SC. 1998. Phytoestrogens and bone. Baillieres Best T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12: 543-557. 

  12. Setchell KDR, Cassidy A. 1999. Dietary isoflavones: Biological effects and relevance to human health. J Nutr 129: 758-767. 

  13. Um SJ, Kang IS, Cho Y. 2005. Study on role of estrogen receptor-alpha in yak-kong and soybean induced proliferation of MG-63 human osteoblastic cells. Korean J Nutrition 34: 905-911. 

  14. Sugimoto E, Yamaguchi M. 2000. Anabolic effect of genistein in osteoblastic MC3T3-E1 cells. Int J Mol Med 5: 515-520. 

  15. Chambers TJ. 2000. Regulation of the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of osteoclasts. J Pathol 192: 4-13. 

  16. Hotokejaka H, Sakai E, Kanaoka K, Saito K, Matsuo KI, Kitaura H, Yoshida N, Nakayama K. 2002. U0126 and PD98059, specific inhibition of MEK, accelerate differentiation of RAW264.7 cells into osteoclast-like cells. J Biol Chem 277: 47366-47372. 

  17. Kang SA, Jang KH, Cho YH, Hong KH, Kong SH, Choue RW. 2001.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isoflavones in soybean and blackbean. J Arahe 8:44-48. 

  18. Kameda T, Mano H, Yuasa T, Mori Y, Miyazawa K, Shiokawa M, Nakamaru Y, Hiroi E, Hiura K, Kameda A, Yang NN, Hakeda Y, Kumegawa M. 1997. Estrogen inhibits bone resorption by directly inducing apoptosis of the bone-resorbing osteoclasts. J Exp Med 186: 489-495. 

  19. Luo XH, Liao EY. 2003. Effects of estriol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osteoblastic MG-63 cells. Endocr Res 29: 343-351. 

  20. Srivastava S, Toraldo G, Weitzmann MN, Cenci S, Ross FP, Pacifici R. 2001. Estrogen decreases osteoclast formation by down-regulating receptor activator of NF-kappa B ligand (RANKL)-induced JNK activation. J Biol Chem 276: 8836-8840. 

  21. Sanae K, Seishiro H, Fujio K. 2004. Effects of the phytoestrogen coumesterol on RANK-ligand-induced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s. Toxicology 203: 211-220. 

  22. Thomas C, Spelsberg M, Subramaniam B, Lawrence R, Sundeep K. 2005. The actions and interactions of sex steroids and growth factors/cytokines on the skeleton. Mol Endo 13: 819-828. 

  23. Khosla S. 2001. Minireview: the OPG/RANKL/RANK system. Endocrinology 142: 5050-5055. 

  24. Gowen M, Wood D, Ihrie EJ, McGuire KB, Russell RG. 1983. An interleukin 1 like factor stimulates bone resorption in vitro. Nature 306: 378-380. 

  25. Arnett TR. 1990. Update on bone cell biology. Eur J Orthod 12: 81-90. 

  26. Kameda T, Mano H, Yuasa T, Mori Y, Miyazawa K, Shiokawa M, Nakamaru Y, Hiroi E, Hiura K, Kameda A, Yang NN, Hakeda Y, Kumegawa M. 1997. Estrogen inhibits bone resorption by directly inducing apoptosis of the bone resorbing osteoclasts. J Exp Med 186: 489-495. 

  27. Mok SK, Shin LLS. 1996. The effects of prostaglandine and dibutylryl cAMP on osteoblastic cell activity and osteoclast generation. J Wonkwang Dental Res Int 6: 43-62. 

  28. Kim J, Um SJ, Woo J, Kim JY, Kim HA, Jang KH, Kang SA, Lim BO, Kang I, Choue RW, Cho Y. 2005. Comparative effect of seeds of Rhynchosia volubilis and soybean on MG-63 human osteoblastic cell proliferation and estrogenicity. Life Sci 78: 30-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