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학생의 식생활 실태 및 전통 식생활교육에 대한 인식
Meal practice and Perceptions of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5 no.5, 2010년, pp.558 - 567  

윤선주 (오산초등학교) ,  김희섭 (수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in social, econom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ffect the meal practices of children.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presents not only a well-balanced diet but also contributes to shaping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기도 오산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남·여 학생을 대상으로 식사 관련 행동을 조사하고 전통식생활 교육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전통식생활 교육의 현황과 태도를 파하고 그를 토대로 교육의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오산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남·여 학생을 대상으로 식사 행동을 조사하고 전통식생활교육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전통식생활 교육의 현황과 관심도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전통 식생활 교육방향을 설정 하는데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전통음식은 무엇인가? 한국전통음식은 우리의 자연환경과 사회적 환경에 의해 형성되고, 전통문화와 함께 계승·발전된 우리 민족 특유의 음식을 말한다(Kim 2002).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리의 전통음식을 건강음식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국내의 외국인들까지 우리 한국 전통음식을 건강한 음식으로 인식 하고 있다(Kim 2008).
한국 전통식생활 교육의 일차적 목적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한국 전통식생활 교육은 우리의 음식을 체계적으로 전승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으며, 그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소속감과 정체성을 확인 시켜주고 전통음식문화에 내포된 우리 사회의 규범이나 가치, 도덕관념을 자연스럽게 전해줄 수도 있다(Jang 2004). 더 나아가서는 아동들로 하여금 우리의 음식과 의미를 이해하고, 무차별적으로 유입되어 범람하고 있는 외래음식들 사이에서 올바른 식품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기 위한 것이다(Cha 등 2007).
올바른 식생활 태도에 대한 교육에 있어서 학교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령기에 형성된 올바른 식생활 태도는 아동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평생 동안 식품 선택과 식습관에 영향을 준다(Gang & Chyun 2006). 그러나 핵가족화와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가정 내에서의 식사예절 및 식습관에 관한 교육이 소홀해져 학교에서의 역할이 증대되고 학교 교육의 필요성이 심화되고 있다(Lee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ea HJ. 2007. Research of reality of school food service and the level of nutritional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gricultural and fishing areas of Ulsan city. Masters degree thesis. Daegu Haany Univesity. pp 32-44 

  2. Cha JA, Yang IS, Lee SJ, Chung LN. 2007. Effect-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ers Korean J. Dietary Culture. 22(4): 383-392 

  3. Cho HJ. 2000. A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in Socheon area. Masters degree thesis . Kunsan National University. pp 1-15 

  4. Jang EJ. Lee YK, Lee HJ. 1996. The study for consciousness, dietary life behaviors on Korean traditional food. Korean J. Dietary Culture, 11(2):179-206 

  5. Jang JY. 2004.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s nutrition classes on the knowledge, eating habits, and intake of condi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thesis. Kosin University. pp 1-20 

  6. Kang JH, Lee KA. 2008. The perception, preferences and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23(5):543-555 

  7. Gang MS, Chyun JH.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the knowledge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 in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of Incheon. Korean J. Dietary Culture. 21(2):107-115 

  8. Kim JS. 2008. The study of recognization and preference investigation by age of Korean traditional food. Masters degree thesis. Kosin University. pp 5-39 

  9. Kim KA. 2002. A study on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asters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p 77-79 

  10. Kim YJ. 2008. A comparative study of dietary life by different environments of hom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thesis. Yeungnam University 

  11. Ku BJ, Lee KA. 2000. A stud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15(3): 201-203 

  12. Lee WY. 2008 .A study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eating attitudes, fast food in Chunan area. Masters degree thesis. Choongnam University 

  13. Park MJ, Park WJ. 2003. A study of food habit, nutrition knowledge and health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buk. J East Asian Soc Deitary life. 13(6):568-576 

  14. Seo GJ. 2007.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thesis.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p 24-37 

  15. Yang IS, Chung HK, Jang MJ, Cha JA, Lee SJ, Chung L, Park SH, Cha SM. 2006.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for the elementary students. J Korean Dietetic Assoc. 12(2):127-145 

  16. Yu OK, Park SH, Cha YS. 2007. Eating habits,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onju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22(6):665-6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