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초균을 이용한 재조합 인간 골 형성 단백질-7의 발현과 정제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7 (rhBMP-7) in Bacillus subtilis 원문보기

KSBB Journal, v.25 no.3, 2010년, pp.257 - 264  

김춘광 (전남대학교 물질.생물화학공학과) ,  오성덕 (전남대학교 바이오광사업단) ,  이종일 (전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one morphogenetic protein-7 (BMP-7) is one of important growth factors for skeletal development and bone growth. In this work, BMP-7 was efficiently expressed in recombinant Bacillus subtilis. The mature BMP-7 protein indicated molecular weight of 15.4 kDa by Western blot assay and was secreted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초균을 rhBMP-7 유전자의 발현 시스템으로 사용하여 rhBMP-7의 발현과 생산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그리고, 생산된 rhBMP-7을 정제하고 MC3T3-E1 세포에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활성도 (alkaline phophatase activity, ALP activity)를 측정함으로써 rhBMP-7의 생물학적 활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고초균을 rhBMP-7 유전자의 발현 시스템으로 사용하여 rhBMP-7의 발현과 생산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그리고, 생산된 rhBMP-7을 정제하고 MC3T3-E1 세포에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활성도 (alkaline phophatase activity, ALP activity)를 측정함으로써 rhBMP-7의 생물학적 활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 형태 형성 단백질이란 무엇인가? 골 형태 형성 단백질 (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s)은 β형 전환 성장인자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TGF-β) 슈퍼패밀리 (superfamily)에 속하는 펩타이드 성장 인자이다. BMPs는 포유동물에서 조직 줄기세포 (stem cell)에 작용하여 골 세포 및 연골 세포로 분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골 형태 형성 단백질의 역할은 무엇인가? 골 형태 형성 단백질 (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s)은 β형 전환 성장인자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TGF-β) 슈퍼패밀리 (superfamily)에 속하는 펩타이드 성장 인자이다. BMPs는 포유동물에서 조직 줄기세포 (stem cell)에 작용하여 골 세포 및 연골 세포로 분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그리고 BMPs가 속해있는 β형 전환 성장인자 슈퍼패밀리의 특징은 성숙한 부분 (mature region)에 7개의 시스테인이 매듭을 형성하여 이중합체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2].
BMPs가 속해있는 β형 전환 성장인자 슈퍼패밀리의 특징은 무엇인가? BMPs는 포유동물에서 조직 줄기세포 (stem cell)에 작용하여 골 세포 및 연골 세포로 분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그리고 BMPs가 속해있는 β형 전환 성장인자 슈퍼패밀리의 특징은 성숙한 부분 (mature region)에 7개의 시스테인이 매듭을 형성하여 이중합체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2]. 1965년 Urist가 여러 종류의 산성용액으로 탈회한 골 기질을 근육과 피하에 이식하였을 때 이소성 연골이나 골의 분화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처음 밝혔으며 [3], 태생기 또는 그 이후에 미분화 골 형성 전구세포를 분화시키는 물질을 발견하여 BMP라 명명하였다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Wozney, J. M., V. Rosen, A. J. Celeste, J. M. Mitsock, M. J. Whitters, R. W. Kriz, R. M. Hewick, and E. A. Wang (1988) Novel regulators of bone formation: molecular clones and activities. Science 242: 1528-1534. 

  2. Kingsley, D. M. (1994) The TGF-beta superfamily: new members, new receptors, and new genetic tests of function in different organisms. Genes Dev. 8: 133-146. 

  3. Urist, M. R. (1965) Bone formation by autoinduction. Science 150: 893-899. 

  4. Urist, M. R. and B. S. Strates (1971) Bone morphogenetic protein. J. Dent. Res. 50: 1392-1406. 

  5. Wang, E. A., V. Rosen, and P. Cordes (1988)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ther distinct bone inducing factors. Proc. Natl. Acad. Sci. USA. 85: 9484-9488. 

  6. Luyten, F. P., N. S. Cunningham, and S. Ma (1989) Purification and partial amino acid sequence of osteogenin a protein in initiating bone differentiation. J. Biol. Chem. 264: 13377-13380. 

  7. Wozney, J. M., V. Rosen, and A. J. Celeste (1988) Novel regulatiors of bone formation: Molecular clones and activities. Science 242: 1528-1534. 

  8. Daluiski, A., T. Engstrand, and M. E. Bahamonde (2001) Bone morphogenetic protein-3 is a negative regulator of bone density. Nat. Genet. 27: 84-88. 

  9. Gazit, D., G. Turgeman, and P. Kelley (1999) Engineered pluripotent mesenchymal cells integrate and differentiate in regenerating bone: a novel cellmediated gene therapy. J. Gene. Med. 1: 121-133. 

  10. Groeneveld, E. H. and E. H. Burger (2000) Bone morphogentic proteins in human bone regenration. Eur. J. Endocrinol. 142: 9-21. 

  11. Geesink, R. G. T., N. H. M. Hoefnagels, and S. K. Bulstra (1999) Osteogenic activity of OP-1 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7) in a human fibular defect. J. Bone Joint. Surg. 81-B: 710-718. 

  12. Yamagiwa, H., N. Endo, K. Tokunaga, T. Hayami, H. Hatano, and H. E. Takahashi (2001) In vivo boneforming capacity of human bone marrow-derived stromal cells is stimulated by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tic protein-2. J. Bone Miner Metab. 19: 20-28. 

  13. Gentry, L. E., N. R. Webb, G. J. Lim, A. M. Brunner, J. E. Ranchalis, D. R. Twardzik, M. N. Lioubin, H. Marquardt, and A. F. Purchio (1987) Type I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amplified expression and secretion of mature and precursor polypeptides in Chinese hamster ovary cells. Mol. Cell Biol. 7: 3418-3427. 

  14. Wang, E. A., V. Rosen, J. S. D_Alessandro, M. Bauduy, P. Cordes, T. Harada, D. I. Israel, R. M. Hewick, K. M. Kerns, P. LaPan, D. P. Luxenberg, D. Mcqaid, J. K. Moutsatsos, J. Nove, and J. M. Wozney (1990)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 induces bone formation. Proc. Natl. Acad. Sci. USA 87: 2220-2224. 

  15. Ruppert, R., E. Hoffmann, and W. Sebald (1996)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contains a heparin-binding site which modifies its biological activity. Eur. J. Biochem. 237: 295-302. 

  16. Vallejo, L. F., M. Brokelmann, S. Marten, S. Trappe, J. Cabrera-Crespo, A. Hoffmann, G. Gross, H. A. Weich, and U. Rinas (2002) Renaturation and purification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2 produced as inclusion bodies in high-cell-density cultures of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J. Biotech. 94: 185-194. 

  17. Baneyx, F. (1999) Recombinant protein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Curr. Opin. Biotechnol. 10: 411-421. 

  18. Wely, K. H. M., J. Swaving, R. Freudl, and A. J. M. Driessen (2001) Translocation of proteins across the cell envelope of Gram-positive bacteria, FEMS Microbiol. Rev. 25: 437-454. 

  19. Schallmey, M., A. Singh, and O. P. Ward (2004) Developments in the use of Bacillus species for industrial production. Can. J. Microbiol. 50: 1-17. 

  20. Hakamada, Y., K. Koike, T. Yoshimatsu, H. Mori, T. Kobayashi, and S. Ito (1997) Thermostable alkaline cellulase from an alkaliphilic isolate, Bacillus sp. KSM-S237. Extremophiles 1: 151-156. 

  21. Sumitomo, N., K. Ozaki, S. Kawai, and S. Ito (1992) Nucleotide sequence of the gene for an alkaline endoglucanase from an alkalophilic Bacillus and its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subtilis. Biosci. Biotechnol. Biochem. 56: 872-877. 

  22. Sumitomo, N., K. Ozaki, J. Hitomi, S. Kawaminami, T. Kobayashi, S. Kawai, and S. Ito (1995) Application of the upstream region of a Bacillus endoglucanase gene to high-level expression of foreign genes in Bacillus subtilis. Biosci. Biotechnol. Biochem. 59: 2172-2175. 

  23. Hakamada, Y., Y. Hatada, K. Koike, T. Yoshimatsu, S. Kawai, T. Kobayashi, and S. Ito (2000) Deduced amino acid sequence and possible catalytic residues of a thermostable, alkaline cellulase from an alkaliphilic Bacillus strain. Biosci. Biotechnol. Biochem. 64: 2281-2289. 

  24. Hanahan, D. (1983) Studies on transformation of Escherichia coli with plasmids. J. Mol. Biol. 166: 557-580. 

  25. Chang, S. and S. N. Cohen (1979) High frequency transformation of Bacillus subtilis. Mol. Gen. Genet. 168: 111-115. 

  26. Ito, M. and M. Nagane (2001) Improvement of the electro-transformation efficiency of facultatively alkaliphlic Bacillus pseudofirmus OF4 by high osmolarity and glycine treatment. Biosci Biotechnol Biochem. 65: 2773-2775. 

  27. Lowry, O. H., N. J. Rosebrough, A. L. Farr, and R. J. Randall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e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28. Bethany, S.-U., J. K. Mills, J. Vennarini, K. Boakye, J. Luo, S. Pomerantz, M. R. Cunningham, F. X. Farrell, M. F. Naso, B. Amegadzie (2008)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human BMP-7 variant with improved biochemical properties. Protein Expr. Purif. 57: 312-3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