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케팅자극과 충동구매행동 간의 관계에서 플로우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자기행동통제와 감각추구성향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FLOW between Marketing Stimulation and Impulsive Buying Behavior : The Moderating Role of Self Behavior Control and Sensation Seeking Tendenc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1 no.1, 2010년, pp.278 - 286  

오종철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  권홍규 (남서울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홍상진 (경기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새로운 유통환경인 인터넷환경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충동구매에서의 마케팅 자극, 플로우, 자기행동통제 및 감각추구성향간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동구매 동기요인을 기존의 연구들에서 제시된 마케팅자극을 이용하였다. 구매자의 마케팅자극으로 디지털 콘텐츠 구매자들이 받게 되는 제품자극, 가격자극, 촉진자극으로 구분하여 구매자의 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때 구매행위 전에 자신이 받은 자극에 대해 플로우를 경험하는 과정이 나타날 것이다. 플로우(FLOW)는 구매행위자가 받은 자극을 보다 강화시키는 충동구매행위의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이처럼 인터넷 환경에서는 기존의 충동구매 과정과는 달리 충동구매자극 이후에 더 많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쉽고 빠르게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마케팅자극이외에 구매자의 심리적인 측면이나 성향등이 충동구매행동에 있어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행위에 대한 자신의 능력 및 통제 가능성인 자기행동 통제에 따라서 충동구매행동이 다르게 나타나게 될 것이다. 또한 구매자들이 가지고 있는 구매자들의 성향 중에 감각 추구성향은 충동구매를 하는데 조절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충동구매와 관련된 학문적인 시사점과 더불어 디지털 콘텐츠 마케터들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til now, most of the studies about the impulse buying have focused mainly on the product of off-line shop, while there have relatively been very few studies about the product in internet shopping mall.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Impulse Buying Behavior(IBB) for digital contents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콘텐츠 구매자들의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자극요인이 충동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플로우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또한 충동구매행동과정에 있어서 자기행동통제와 감각추구성향에 따라 행동과정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본연구의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디지털 콘텐츠 충동구매의 마케팅자극이 이용자들의 충동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충동구매에서의 플로우, 자기행동통제 및 감각추구성향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다음의 [그림 1]과 같이 마케팅자극과 충동구매행동의 관계에서 플로우가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부분매개모형과 [그림 2]와 같이 플로우와 마케팅자극이 모두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친다는 경쟁모형의 비교를 통해 충동구매과정에서 플로우의 매개역할을 검정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콘텐츠 구매자들의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자극요인이 충동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플로우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또한 충동구매행동과정에 있어서 자기행동통제와 감각추구성향에 따라 행동과정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 둘째, 마케팅자극요인과 충동구매행동간의 관계에서 개인이 지각한 플로우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정하였다. 셋째, 디지털 콘텐츠 구매 시의 충동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이고 개인적인 변수들인 자기행동통제와 감각추구성향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검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충동구매와 관련된 학문적인 시사점과 더불어 디지털 콘텐츠 마케터들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셋째, 디지털 콘텐츠 구매 시의 충동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이고 개인적인 변수들인 자기행동통제와 감각추구성향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검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충동구매와 관련된 학문적인 시사점과 더불어 디지털 콘텐츠 마케터들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충동구매 영향요인에 따른 충동구매형태의 유형에는 무엇이 있는가? 첫째, 암시충동구매로 어떤 제품에 관한 사전지식을 가지지 못한 구매자가 새로운 상품을 보고 욕구를 인식할 때 발생하는 구매행동이다. 둘째, 계획충동구매로 구매자가 판매상황 등의 자극에 영향을 받아 가격에 따라 구입 가능한 것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 제품을 구매하게 되는 형태를 말한다. 셋째, 상기충동구매로 구매자가 어떤 제품을 보고 나서 재고 보충의 필요성을 상기하게 되거나 그 제품에 대한 광고나 다른 정보를 회상하여 이전에 그 제품을 구입하려 했던 기억을 상기해 낼 때 발생한다. 넷째, 순수충동구매로 구매자가 진기한 제품을 발견하고 흥미를 느껴서 사게 되는 구매행동으로 내적 충동에 의해 정상적인 구매패턴에서 벗어나는 독특한 제품이나 상표를 선호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Stern(1962)이 구분한 충동구매유형 중 암시충동, 계획충동, 상기충동 등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자극상황 요인은 무엇인가?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소비자 특성, 일반적 구매행동 특성, 제품특성, 마케팅자극 요인 등을 들 수 있다. 마케팅자극과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고선영(1993)은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요인의 하나로서 저가, 가격인하, 점포/전시, 재고고갈 가능성, 판매원의 권유 등의 마케팅자극상황을 제시하였다. 박준규(2002)는 가격 촉진요인이 직접적, 간접적으로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인터넷에서 플로우의 경험이란 무엇인가? 플로우는 최적의 경험과정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인터넷에서 플로우의 경험은 소비자가 인터넷 탐색을 통해 기계적 상호작용성에 의하여 유발된 중단없는 반응과 내재적인 즐거움, 자아의식 및 자기강화의 상태를 경험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김종호와 신용섭,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고선영, "의류제품의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2. 김영숙, "사이버 마아켓에서의 소비자 충동구매성향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제38권 제12호, pp. 112-129, 2000. 

  3. 김영미, "인터넷 쇼핑과 TV홈쇼핑간의 충동구매와 지각위험에 관한 비교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 김종호,신용섭,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플로우와 전형성이 밀착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저널, 제6권, 제1호, pp. 17-42, 2004. 

  5. 김명소, "인터넷 항해과정의 flow 모형 및 flow-구매의도 모형에서의 성차연구", 심리학회지, 제4권, 제1호, pp. 27-40, 1999. 

  6. 박성희,홍병숙, "케이블 TV홈쇼핑 패션상품의 충동구매 영향요인", 한국의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pp. 23-44, 2003. 

  7. 서문식,김상희, "인터넷상에서 경험하는 감정적 반응의 상호작용효과가 고객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객의 감각추구성향을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제18권, 제1호, pp. 77-111, 2003. 

  8. 서창적,전희준,임충혁, "서비스보증이 서비스품질과 서비스가치에 미치는 영향: 택배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제5권, 제1호, pp. 51-76, 2004. 

  9. 설진표,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소비자 지각위험에 대한 실증적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0. 이시훈, "플로우(flow)의 경험집단과 인터넷 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1권, 제4호, pp. 135-164, 2000. 

  11. 임종원,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연암출판사, 1996. 

  12. 장현철, "의류제품충동구매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3.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콘텐츠 및 소프트웨어편; 콘텐츠", 정보통신 산업동향, 2005. 

  14. 조재영, "소비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충동구매경험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32권, 제1호, pp. 151-172, 1996. 

  15. 최동성,박성준,김진우,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게임의 중요 요소에 대한 Lisrel 모델 분석", 경영정보학연구, 제11권, 제3호, pp. 1-21, 2001. 

  16. 한상린,박천교, "플로우개념을 이용한 인터넷 환경에서 소비자 구매 의도 결정요인분석", 마케팅연구, 제15권, 제1호, pp. 187-204, 2000. 

  17.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 No.1, pp. 179-211, 1991. 

  18. Fiske, D. W. and S. R. Maddi, Functions of Varied Experience, Dorsey Homewood, IL, 1961. 

  19. Grossbat, L., B. Muehling, and S. Stolman, "The Impact of Comparative Adversting on Levels Of Message Involvement," Journal of Advertising, Vol.19, No.4, pp. 41-50, 1975. 

  20. Hoch, S. J. and G. F. Loewenstein, "Time-inconsistent Preferences and Consumer Self-Control,"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7, No.1, pp. 492-507, 1991. 

  21. Hoffman, L. D and P. T. Novak,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Conceptual Founda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66, No.3, pp. 50-68, 1996. 

  22. Mentzer, J. T., Stephen M. Runter and K. Matsuno, "Application of the Means-End Value Hierarchy Model to understanding Logistics Service Value",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 Logistics Management, Vol.27, No.9, pp. 630-643, 1997. 

  23. Stern, H., "The Significance of Impulse Buying Today," Journal of Marketing, Vol.26, No.2, pp. 59-74, 1962. 

  24. Taylor, S. and P. Todd,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est of Computing Model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6, No.2, pp. 144-176, 1995. 

  25. Weinberg, P. and W. Gottwald, "Impulsive Consumer Buying as a Result of Emo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10, No.1, pp. 43-57, 1982. 

  26. Vohs, K. D. and R. J. Faber, "Self-Regulatory Resource Availability Affects Impulse Buy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33, No.4, pp. 537-547,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