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생효모의 분리, 동정과 이를 이용한 오미자 발효주의 이화학 및 관능 특성의 비교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Wild Yeasts from Schizandra (Schizandra chinensis) for Wine Production and Its Characterization fo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2, 2010년, pp.1860 - 1866  

이시형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기술기획실) ,  박혜경 (영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명희 (영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미자로부터 야생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S. cerevisiae) SH8094와 S. cerevisiae SH2855를 분리, 동정하였으며, 이 효모를 이용하여 오미자 발효주를 제조하였다. 야생효모 S. cerevisiae SH8094와 S. cerevisiae SH2855를 이용한 오미자 발효주와 시판효모 Lalvin 1118을 이용한 오미자 발효주의 이화학 특징과 관능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야생효모 S. cerevisiae SH8094로 제조한 오미자 발효주가 pH 2.8, 산도 1.1%, 당도 14.5oBrix, 알코올 함량 9%를 나타냈으며, 목넘김, 종합적 기호도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또한 오미자로부터 분리된 야생효모 S. cerevisiae SH8094와 S. cerevisiae SH2855를 이용하여 만든 오미자 발효주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오미자 발효주의 관능 특성을 비교한 결과, 생오미자에서 분리된 야생효모 S. cerevisiae SH8094로 제조한 오미자 발효주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오미자주보다 향, 색, 종합적 기호도에 있어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로써 오미자로부터 분리한 효모 S. cerevisiae SH8094를 이용한 우수한 오미자 발효주 제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haracteriz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schizandra wines fermented by the yeasts, Sacchromyces cerevisiae SH8094 (S. cerevisiae SH8094) and Sacchromyces cerevisiae SH2855 (S. cerevisiae SH2855) isolated from schizandra fruits and stem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erevisiae SH8094로 제조한 오미자 발효주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오미자주보다 향, 색, 종합적 기호도에 있어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로써 오미자로부터 분리한 효모 S. cerevisiae SH8094를 이용한 우수한 오미자 발효주 제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이와 같이 과실 발효주 효모의 중요성을 파악한 연구와 전보(26)의 제조방법을 달리한 오미자주의 이화학 특성과 관능 특성에 대한 연구 보고를 이용하여 오미자로부터 야생 효모를 분리, 이를 이용한 오미자 발효주의 이화학 특징과 관능 특성을 검토한 후 시판 발효주와 관능 특성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야생효모를 이용한 오미자 발효주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판되고 있는 누룩을 이용하여 제조한 오미자주의 단점은 무엇인가? 오미자 전통 발효주는 단순히 소주 등과 같은 술에 오미자 열매를 담근 상태에서 다섯 가지 맛을 침출시켜 제조한 침출주로 오미자 그 과실자체에 발효성 당이 거의 없어(15) 효모 영양원의 부족으로 다른 과실 발효주에 비해 개발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시판되고 있는 오미자주는 주로 누룩을 이용하여 주정을 만들고 오미자즙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누룩 고유의 냄새로 인하여 오미자 특유의 맛을 살릴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16).
오미자란 무엇인가?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는 목련과(Magnoliaceae)에 속하는 자생목(1)으로 우리나라 중북부 지방에 주로 분포되어 있고 전 세계적으로 10여종이 존재하고 있으며, 오미자의 피육은 달고도 시며, 핵중은 맵고도 떫으며 또한 써서 합하면 오미라고 하여 그 명칭이 유래되었다(2). 오미자는 붉은 색을 띈 과실로, 예로부터 식품과 기호음료(3)로 이용되어 왔고, 한방과 민간에서는 약재로서 거담, 자양, 강장제 등으로 널리 통용되고 있다.
오미자주가 다른 과실 발효주에 비해 개발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오미자 전통 발효주는 단순히 소주 등과 같은 술에 오미자 열매를 담근 상태에서 다섯 가지 맛을 침출시켜 제조한 침출주로 오미자 그 과실자체에 발효성 당이 거의 없어(15) 효모 영양원의 부족으로 다른 과실 발효주에 비해 개발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시판되고 있는 오미자주는 주로 누룩을 이용하여 주정을 만들고 오미자즙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누룩 고유의 냄새로 인하여 오미자 특유의 맛을 살릴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im JS. 1995. New Chinese Medicine. You Su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65-266. 

  2. Lee JS, Lee MG, Lee SW. 1989. A study on the general components and mineral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Dietary Culture 4: 173-176. 

  3. Kang KC, Park JH, Baek SB, Jhin HS, Rhee KS. 1992. Optimization of beverage preparation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74-81. 

  4. Jang EH, Pyo YH, Ahn MS. 1996. Antiradiant effect of omija (Schiznadra chinesis Baillon)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12: 372-376. 

  5. Kim HG, Kim YU, Do JJ, Lee YC, Lee BY. 1995. Antiradiant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85. 

  6. Park UY, Chang DS, Cho HR. 1992.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21: 91-96. 

  7. Lee SH, Lim YS. 1997.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against Listeria minocytogene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442-447. 

  8. Lee SH. 1997.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mechanism of the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PhD Dissertation. Chung Ang University, Seoul, Korea. 

  9. Kim KI, Nam JH, Kwon TW. 1973.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organic acids and anthocyanin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Sci Technol 5: 178-185. 

  10. Lee JS, Lee SW. 1989. A study on the compositions of free sugars, lipids, and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Dietary Culture 4: 177-179. 

  11. Lee JS, Lee SW. 1989.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total amino acids and free amino acid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Dietary Culture 4: 181-184. 

  12. Kim OC, Jang HJ. 1994. Volatile compon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gric Chem Biotechnol 37: 30-36. 

  13. Chun HJ. 1995. Influence of carrageenan addition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omija extract jelly. Korean J Soc Food Sci 11: 33-36. 

  14. Lyu HJ, Oh M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omija jelly prepared with various starches. Korean J Food Cookery Sci 18: 534-542. 

  15. Hyun HK, Kim HJ, Jeong HC. 2002. A study on determining chemical compositions of Schizandra chinensis. Korean J Plant Res 15: 1-7. 

  16. No WS, Lee SH. 2004. Zymurgy. Baek-san publishing Co., 

  17. Kim JI, Lee NK, Hahm YT. 200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wild yeast and its use for the production of grape wine. Korean J Microbiol 43: 217-221. 

  18. Lee JH, Park HD. 199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cohol fermentation yeasts from persimmon.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266-270. 

  19. Moon YJ, Lee MS, Sung CK. 2005.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aspberry wine using active dry yeast strains. Korean J Food Nutr 18: 302-308. 

  20. Jung ST, Rhim JW, Kim DH. 1999.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honey wine by Saccharomyces bayan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044-1049. 

  21. Jeong EJ, Kim YS, Jeong DY, Shin DH. 2006. Yeast selection and comparison of sterilization method for making strawberry wine and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during its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42-647. 

  22. Jang EJ. 1985.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omija wine.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p 1-39. 

  23. Park YS, Baek YH, Lee YB, Park GJ, Oh JH, Jang EJ, Kim YB. 1990. Method of omija wine. Korean Patent 90-003705. 

  24. Jang SG, Jung MJ, Lee HY. 2006. Method of omijaju. Korean Patent 10-0566939. 

  25. Ko YH, Kim JH, Koh JS, Kim CJ. 1997.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the yeasts for orange wine and their citric acid decompos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88-594. 

  26. Lee S, Kim M. 2009.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omija wines made by different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82-187. 

  27. Cletus PK, Christie JR. 1998. Identification and phylogeny of ascomycetous yeasts from analysis of nuclear large subunit (26S) ribosomal DNA partial sequences. Antonie Van Leeuwenhoke 73: 331-371. 

  28. Baleiras Couto MM, Reizinho RG, Duarte FL. 2005. Partial 26S rDNA restriction analysis as a tool to characterize non-Saccharomyces yeast present during red wine fermentations. Int J Food Microbiol 102: 49-56. 

  29.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30. NTSTSI. 2008. Official Analysis Methods of NTSTSI.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Seoul, Korea. p 37-115. 

  31. KFDA. 2006. Food Code. Korean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689. 

  32. Park MH, Lee JO, Kim EJ, Kim JW, Lee HH, Kim HH, Lee SI, Kim YH, Ryu CH. 2008. Establishment of tannin enhancement conditions for development of high quality wild grape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7. 

  33. Cho KM, Lee JB, Kahng GG, Seo WT. 2006. A study on the making of sweet persimmon (Diospyros kaki T)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85-792. 

  34. Kang TS, Woo KS, Lee JS, Jeong HS. 2006.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ine using fresh jujube. Food Eng Prog 10: 164-171. 

  35. Hwang Y, Lee KK, Jung GT, Ko BR, Choi DC, Choi YG, Eun JB. 2004. Manufacturing of wine with watermel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0-57. 

  36. Kim JO, Jang K, Cho NC. 2001. Studies on manufacture of kiwi fruit-wine. J Korean Soc Ind Food Technol 5: 99-1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