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학교 교사들의 천문학적 거리에 대한 개념 연구
The Conceptions of Astronomical Dist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1 no.7, 2010년, pp.827 - 838  

정진우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한신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의 천문학적 거리 개념을 확인하고 천문학적 거리에 대한 편차 규모와 천문학적 거리를 점점 확대 시켰을 때 정확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교사 69명을 대상으로 천문학적 거리 관련 질문지를 배포하여 결과를 분석한 후 3명을 임의 추출하여 그들이 작성한 질문지를 바탕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들의 천문학적 거리 개념을 분석하였다. 많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지구와 달, 태양 사이의 거리를 과대 평가하였고, 항성 및 은하까지의 거리는 매우 과소평가하였으며, 천문학적 거리를 이론적(계산적) 척도와 직관적(심리적) 척도를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그들은 AU, 광년과 같은 단어를 익히 들어 잘 알고 있으나 그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사례도 있었으며, 지구에서 해왕성까지의 거리가 항성까지 거리 보다 더 멀다고 인식하는 사례도 있었다. 천문학적 거리를 추정할 때 상당한 변이성이 존재하며, 태양계 내에서 태양계 밖에 존재하는 천체로 거리를 늘려나갈수록 초등 교사들은 그 거리를 점점 더 과소평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variation scale about astronomical distance and its accuracy with distance increased. The astronomical distanc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69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n; three teachers w...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과 관련된 용어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공간은 우리 실생활과 분리될 수 없는 것으로, 오래전부터 많은 학자들로부터 관심을 받아왔다. 공간과 관련된 용어는 공간 능력, 공간 감각, 공간 지각, 공간 시각화, 공간 능력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김은선, 2010).
공간능력은 무엇인가? 공간능력이란 공간에 있는 대상에 가해진 어떠한 물리적인 변화를 인지하고 원래의 대상과 물리적 변화가 일어난 대상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한기완, 2001)으로, 자신이 인지한 공간 안에서 물체를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다루거나 바르게 인식하는 능력이다(이성미와 방정숙, 2007). 또는 공간능력은 인간에 대한 심리 측정적 연구 방법으로부터 나온 구인으로, 공간 속에 있는 내적 표상을 기호화하거나 기억하여 다른 사물 또는 공간 위치에 관련시키는 능력을 말한다(김상달 외, 2005).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의 천문학적 거리에 대해 어떤 개념에 관해 연구한 결과는 무엇인가? 첫째, 연구에 참여한 많은 초등학교 교사들은 지구와 달, 태양 사이의 거리를 과대 평가하였고, 항성 및 은하까지의 거리는 매우 과소평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달과 태양까지의 거리를 과대평가하고 있는 초등 교사들도 상당수 나타났다. 그 이유는 초등 교사들이 거리에 대한 개념 혹은 감이 없고 지구와 달, 태양, 항성, 은하까지의 거리를 아예 모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의 공간 지각 능력이 떨어지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초등 교사들은 천문학적 거리라는 용어를 생소한 개념으로 생각하였으며, 천문학적 거리를 이론적(계산적) 척도와 직관적(심리적) 척도를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그리고 AU, 광년과 같은 단어를 익히들어 잘 알고 있었으나 그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며, 지구에서 해왕성까지의 거리가 항성까지 거리 보다 더 멀다고 인식하는 사례도 있었다. 천문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교사는 자신이 외우고 있는 천체간 거리와 비례식을 활용하여 천체간 거리를 추정하였으나 큰 거리를 이해하는데 있어 자신이 암기하고 있는 지식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실제 천체 간 거리는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다. 천문 분야 지식이 부족한 교사들은 직관적으로 매우 큰 개념이라고 생각하고 직관적으로 거리를 추정하였으며, 이는 초등 교사들의 공간 능력이 부족한 것 때문일 것이다. 셋째, 초등 교사들이 천문학적 거리를 추정할 때 상당한 변이성(variability)이 존재하며, 태양계 내에서 태양계 밖에 존재하는 천체로 거리를 늘려나갈 수록 초등 교사들은 그 거리를 점점 더 과소 평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남균, 오은선, 2008, 초등학생의 공간 능력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11, 21-38. 

  2. 김상달, 이용섭, 이상균, 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 26, 461-468. 

  3. 김은선, 2010, 공간능력을 활성화하는 과학 활동이 초등학생의 공간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논문, 82 p. 

  4. 김은주, 이효녕, 윤일희, 강천덕, 2008, 창의적 사고 계발을 위한 고등학교 학습 프로그램 개발: 태양계 축소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 29, 290-340. 

  5. 이성미, 방정숙, 2007, 초등학생들의 공간감각 이해능력 실태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46, 273-292. 

  6. 임청환, 정진우, 1993, 국민학교 자연과 천문분야 내용 분석과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 247-256. 

  7. 한기완, 2001, 공간감각의 개념 분석 및 교수-학습 방안 탐색. 초등수학교육, 5, 57-69. 

  8. AAAS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Washington, USA, 272 p. 

  9. Baroody, A.J. and Coslick, R.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An investigative approach to k-8 mathematics instruc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NJ, USA, 632 p. 

  10. Brewer, W.F., 2008, Naive theories of observational astronomy: Review, analysis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In Vosniadou, S. (ed.),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on conceptual change. Routledge, NY, USA, 155-204. 

  11. Carlsen, W.S., 1999, Domains of teacher knowledge. In Gess-Newsome, J. and Lederman, N.G.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Netherlands, 133-144. 

  12. Carly, S., 1985, Conceptual change in childhood. MIT press, Cambridge, MA, USA, 240 p. 

  13. Childs, A. and McNicholl, J., 2007,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practice through the analysis of classroom dis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 1629-1653. 

  14. Del Grande, J., 1990, Spatial sense. The Arithmetic Teacher, 37, 14-20. 

  15. Driver, R., Guesne, E., and Tiberghien, A. (eds.), 1985, Children's ideas in science. Open University Press, Milton Keynes, UK, 208 p. 

  16. Driver, R. and Oldham, V., 1986,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scienc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13, 105-122. 

  17. Kennedy, L.M. and Tipps, S., 2000, Guiding childres's learning of mathematics (9th ed.). Wadsworth/Thomson Learning, Belmont, CA, USA, 576 p. 

  18. Linn, M.C. and Peterson, A.C., 1985, Emergence and characterization of sex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y: A metaanalysis. Child Development, 56, 1479-1498. 

  19. McGee, M.G., 1979, Human spatial abilities: Psychometric studies and environmental, genetic, hormonal and heurological influence. Psychological Bulletin, 86, 889-918. 

  20. Miller, B.W. and Brewer, W.F., 2010, Misconceptions of astronomical dista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 1549-1560. 

  2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Reston, VA, USA, 258 p. 

  22. Ritger, S.D. and Cummins, R.H., 1991, Using student-created metaphors to comprehend geologic time.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9, 9-11. 

  23. Sadler, P.M., 1992, The initial knowledge state of high school astronomy students. Ph.D.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US, USA, 123 p. 

  24. Shamos, M., 1996, The myth of scientific literacy. Rutgers University Press, NJ, USA, 288 p. 

  25. Shore, L.S. and Kilburn, R., 1993, The effect of astronomy teaching experience on the astronomy interest and con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seminar on Misconceptions and Educational Strateg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Ithaca, NY, USA, 1-30. 

  26. Summers, M. and Mant, J., 1995, A survey of British prim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Earth's place in the universe. Educational Research, 37, 3-19. 

  27. Trend, R.D., 2001, Deep time framework: A preliminary study of UK primary teachers' conceptions of geological time and perceptions of geo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 191-221. 

  28. Trumper, R., 2001, Assessing students' basic astronomy conceptions from junior high school through university.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41, 21-3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