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가정전문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참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ticipation in Clinical Decision Making by Home Healthcare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6, 2010년, pp.892 - 902  

김세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participation by home healthcare nurses i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decision making.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68 home healthcare nurses in 22 hospital-based home healthcare services in Kore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는 임상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어느 정도 참여하는지를 조사하고, 가정전문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대상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가정전문간호사의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는 가정전문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참여도 증진 방안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향후 가정간호사업의 확대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전문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참여도와 임상적 의사결정 참여도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Choi (1997)의 연구에서 인용한 Hansen과 Thomas (1968)의 간호사 임상적 의사결정 과정 모형을 바탕으로 가정전문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참여도와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본 연구의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과정 모형은 의사결정자 변수를 연령, 임상경력, 교육수준, 지위,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 의사결정자 역할 인식 등으로, 상황적 변수를 과업의 속성으로, 환경적 변수를 지각된 분권화, 간호사-의사 관계, 임상지침서 활용 인식 등으로, 의사결정 과정 변수를 의사결정 단계별 의사결정 참여도로 조작화하였다(Figure 1).
  • 간호사의 의사결정에 관한 선행연구들에서 사용한 시나리오는 주로 임상에서 자주 발생하는 간호 상황이면서 해당 분야의 업무특성을 반영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는데, 의사결정의 정확도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정답이 분명한 의사결정 상황을 제시하였고, 의사결정의 참여도 및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상황 자체가 모호한 의사결정 상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참여도 및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상관관계분석 연구이기 때문에 불확실하고 모호한 임상적 의사결정 상황을 나타내는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면담내용의 의사결정 갈등상황을 정리하여 7개의 예비 시나리오를 개발하였으며, 일개 3차 종합병원 가정간호팀의 가정전문 간호사 5인으로 구성된 포커스그룹 회의를 통해 각 시나리오의 내용에 대한 외관타당도 검증을 시행하였다.
  • 가정전문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정도와 임상지침서의 관련성(Davies, 1997; Tingle, 1997)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각 시나리오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임상지침서의 유무를 질문하는 1문항과 임상지침서가 어느 정도 활용될 것인지에 대한 질문 1문항을 개발하여 조사하였다. 임상지침서의 활용은 5점 척도로써 점수가 높을수록 임상지침서의 활용 정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대부분의 병원에서 가정간호사업소에 최소 규정인 2인의 가정전문간호사를 배치하고 있는 현실에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전문간호사의 수가 많은 가정간호사업소를 우선적으로 연락하였고 설문참여에 동의한 22개 가정간호사업소의 가정전문간호사 85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에서 3개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임상적 의사결정 참여도를 조사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 가정전문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으로 일반화하는 데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가정 전문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이 대상자의 건강증진과 가정간호사업의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라는 가정하에 가정전문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참여도와 임상적 의사결정 영향 요인을 파악하였고 가정전문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증진방안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가정간호사업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참여도를 파악하고 의사결정 참여도의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가정전문간호사의 의사결정 참여도는 일반 간호사, 타 분야 전문간호사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의사결정 과정의 대안선택 단계에서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가정전문간호사의 의사결정 권한의 부족 때문이라고 해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문직 간호사의 역할에서 핵심적인 부분은? 아울러 최근 보건의료의 과학기술화, 전문화와 관련된 책임감의 증가는 간호사들이 효과적인 의사결정자가 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Boney & Baker, 1997). 전문직 간호사의 역할에서 임상적 의사결정은 핵심적인 부분이다(Bakalis, 2006).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은 환자 간호와 직접적으로 관련해서 환자의 문제 목록이나 진단을 작성하고 적절한 중재나 치료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지적 과정이며(dela Cruz, 1994), 그 특성상 간호사에 의해 주도되는 중재가 주요 대안이 되는 과업과 의사에 의해 주도되는 중재가 주요 대안으로 제시되는 과업을 모두 포함한다(Choi, 1997).
Simon(1977)은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을 어떤 단계로 구분하였는가?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이란 환자 간호와 직접적으로 관련해서 환자의 문제 목록이나 진단을 작성하고 적절한 중재나 치료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지적 과정을 의미한다(dela Cruz, 1994). Simon (1977)은 의사결정의 과정을 문제확인 (identification), 대안분석(design), 그리고 대안선택(selection) 단계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임상적 의사결정 참여도는 3개 시나리오에 대하여 가정전문간호사가 인식하는 의사결정 과정의 단계별 의사결정 참여도를 의미한다(Choi, 1997; Chun, 2005; Yi, 2001; Yu, 2007).
간호직은 어떠한 전문직인가? 간호직은 대부분의 경우 환자의 건강상태의 급격한 악화양상을 첫 번째로 관찰하는 전문직으로서 이에 따르는 행동을 결정 하는 데 간호사의 상황 판단이 매우 중요하다. 아울러 최근 보건의료의 과학기술화, 전문화와 관련된 책임감의 증가는 간호사들이 효과적인 의사결정자가 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Boney & Baker,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thony, M. K. (1995). The relationship between decentralization and expertise to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mong staff nurses working in acute care hospita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Cleveland, USA. 

  2. Bakalis, N. (2006). Clinical decision-making in cardiac nurs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ing Standard, 21(12), 39-46. 

  3. Bakalis, N., & Watson, R. (2005). Nurses's decision-making in clinical practice. Nursing Standard, 19(23), 33-39. 

  4. Boney, J., & Baker, J. (1997). Strategies for teaching clinical decision- making. Nurse Education Today, 17, 16-21. 

  5. Bucknall, T., & Thomas, S. (1997). Nurses' reflections on problems associated with decision making in critical care setting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 229-237. 

  6. Caputo, L., & Mior, S. (1998). The role of clinical experience and knowledge in clinical decision making. Topics in Clinical Chiropractic, 5(2), 10-18. 

  7. Chi, S. A., & Yoo, H. S. (2000). Concept analysis of professional nurse autonom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781-792. 

  8. Choi, H. J. (1997). A study on nurse's decision making process and related factors for patient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9. Chun, M. H. (2005). A study o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eongsang University, Jinju. 

  10. Davies, N. (1997). Nurse-initiated extubation following cardiac surger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13, 77-79. 

  11. dela Cruz, F. A. (1994). Clinical decision-making styles of home healthcare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6, 222-226. 

  12. Hansen, A. C., & Thomas, D. B. (1968). A conceptualization of decision making: Its application to a study of role and situationrelated difference in priority decisions. Nursing Research, 17, 436-443. 

  13. Illinois General Assembly. (2009, April). Illinois Compiled Statutes. (225 ILCS 65/) Nurse Practice Act. Retrieved December 17, 2010 from http://ilga.gov/legislation/ilcs/ilcs5.asp?ActID1312&ChapterID24 

  14. Jenkins, H. M. (1985). A research tool for measuring perceptions of clinical decision making.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 221-229. 

  15. Kim, H. Y. (2008, November). The alternatives for vitalization of home healthcare. In Y. S. Kim (Chair), Home Healthcare Symposium. Symposium conduc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Homecare Nurses Association and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es, Seoul, Korea. 

  16. Kim, S. J., Yi, M. S., Eun, Y., Ko, M. H., Kim, J. H., Kim, D. O., et al. (2006). Role-identity of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103-113. 

  17. Kim, S. Y., & Park, S. A. (2009). A study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community-based home care services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 673-683. 

  18. Kim, T. S., Choi, M. K., & Lee, M. H. (1997). The relationships of decentralization, expertise and decision-making perceived by clinical nurses. Chungnam Medical Journal, 24, 89-100. 

  19. Krairiksh, M., & Anthony, M. (2001). Benefit and outcome of staff nurse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1, 16-23. 

  20. O'Neil, E. (1996). An exploratory study of clinical decision making in home healthcare nursing. Home Healthcare Nurse, 14, 362-368. 

  21. Park, M. S. (2006). The level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ies of advanced practice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22. Shu, M. J., Kim, S. S., Shin, K. R., Kang, H. S., Kim, K. S., Park, H. R., et al. (1997). A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s of home 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84-97. 

  23. Simon, H. A. (1977). The new science of management decision (Rev. ed.).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 Hall. 

  24. Tingle, J. (1997). Clinical guidelines and the law. In Wilson J. (Ed). Integrated care management: The path to success? Butterworth Heinemann, Oxford, 70-71. 

  25. Yang, B. M. (1997). Mobilizing visiting nurse program in Korea.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34, 110-116. 

  26. Yi, Y. J. (2001). The caus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to decisionmaking of clinical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7. Yu, M. (2007). A study of nurse manager's decision-making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 82-97.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