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예측요인
Predictors of Clinical Competence in New Graduate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6 no.1, 2010년, pp.37 - 47  

신연화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이해정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임연정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clinical competence in new graduate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8 nurses at 13 general hospitals who have had less than 12 months of nursing experience. The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대부분 경력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접근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개념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인식함으로써 추후 임상수행능력 증진을 위한 전략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개월 이상 12개월 미만의 신규간호사들의 임상수행능력 예측요인을 파악하고 추후 간호학생 임상실습 교육과정 개발과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전략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한 조사연구이다. 총 13개 병원의 신규간호사 238명을 대상으로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 근무 환경 측정도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특성이 포함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 하였다.
  •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은 대상자에게 안전하고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전문직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필수요건이며 병원의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평가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임상수행능력 예측 요인을 파악하고 추후 임상수행능력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한 조사연구로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과 관련된 예측인자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하는 조사연구이다.

가설 설정

  • 첫째, D와 B도시 소재 총 28개 종합병원 중 13개의 병원이 자료수집요청에 응하였고, 13개 병원의 제한된 수의 신규간호사를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선정된 대상병원 중 일부병원만이 전체 신규간호사 명단을 제공하여 전수조사가 불가능하여 연구대상자 선정에 있어서 간호부의 편의 추출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확대 해석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한다. 둘째, 임상수행능력 점수에 대한 객관성 결여이다. 신규간호사의 자가 평가에 의해 임상수행능력이 측정되었으므로 신중한 해석이 필요하며 추후 보다 객관적인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규간호사는 어떤 능력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가? 임상수행능력은 임상실무에 필요한 간호기술과 문제해결능력, 의사결정능력으로(Rane-Szostak & Robertson, 1996), 신규간호사는 병원이라는 새로운 조직문화에 융화되어 사회인으로서 독자성을 형성하고(Yoo, 2000) 전문직 간호사로 성장하기 위해 실무 적응에 필요한 임상수행능력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신규간호사를 담당하는 프리셉터들은 정신운동기술(psychomotor skills), 환자사정기술, 비판적 사고, 시간분배, 의사소통, 팀워크 등에서 신규간호사들의 능력이 부족하다고 보고한다(Hickey, 2009).
임상수행능력이란 무엇인가? 임상수행능력은 임상실무에 필요한 간호기술과 문제해결능력, 의사결정능력으로(Rane-Szostak & Robertson, 1996), 신규간호사는 병원이라는 새로운 조직문화에 융화되어 사회인으로서 독자성을 형성하고(Yoo, 2000) 전문직 간호사로 성장하기 위해 실무 적응에 필요한 임상수행능력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신규간호사를 담당하는 프리셉터들은 정신운동기술(psychomotor skills), 환자사정기술, 비판적 사고, 시간분배, 의사소통, 팀워크 등에서 신규간호사들의 능력이 부족하다고 보고한다(Hickey, 2009).
신규간호사에게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소수의 간호 관리자들만이 신규간호사가 간호현장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평가하여(Berkow, Virkstis, Stewart, & Conway, 2009) 신규간호사들의 임상수행능력이 간호 서비스 요구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결여로 인한 간호현장 부적응은 직무만족도와 간호정체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직을 초래하기도 한다(Byeon et al., 2003; Son, Koh, Kim, & Moon, 2001). 신규간호사의 이직은 의료기관의 인력관리의 비용 손실을 초래하며(Anderson, Linden, Allen, & Gibbs, 2009), 재직간호사의 업무과중과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숙련된 간호 인력으로부터 양질의 간호를 제공받고자 하는 간호대상자의 요구에도 부응할 수 없게 한다. 그러므로 신규간호사에게 임상수행능력은 전문직 간호사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요건으로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iken, L. H., & Patrician, P. A. (2000). Measuring organizational traits of hospitals: The revised nursing work index. Nurs Res, 49(3), 146-153. 

  2. Anderson, T., Linden, L., Allen, M., & Gibbs, E. (2009). New graduate RN work satisfaction after completing an interactive nurse residency. J Nurs Adm, 39(4), 165-169. 

  3. Berkow, S., Virkstis, K., Stewart, J., & Conway, L. (2009). Assessing new graduate nurse performance. Nurse Educ, 34(1), 17-22. 

  4. Bowles, K.(2000). The relationship of critical-thinking skills and the clinical judgment skills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 Nurs Educ, 39(8), 373-376. 

  5. Byeon, Y. S. (1998).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new graduates' ability of clinical performance. Nurs Sci, 10(1), 31-42. 

  6. Byeon, Y. S., Lim, N. Y., Kang, K. S., Sung, M. S., Won, J. S., & Ko, I. S., et al. (2003). Clinical nursing competency for new graduate nurses: A grounded theory approach. J Korean Acad of Fundam Nurs, 10(1), 47-56. 

  7. Cho, E. H. (2009, July).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nurse retention in Korea. In L. H. (Chair), Global evidence in support of improving hospital work environments. Symposium conducted at the meeting of the 2009 ICN Conference, Durban, South Africa. 

  8. Cho, H. S. (2005).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11(2), 222-231. 

  9. Cho, M. H., & Kwon, I. S. (2007).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13(2), 143-154. 

  10. Chun-Heung, L., & French, P. (1997). Education in the practicum: A study of the ward learning climate in Hong Kong. J Adv Nurs, 26(3), 455-462. 

  11. Hickey, M. T. (2009). Preceptor perceptions of new graduate nurse readiness for practice. J Nurses Staff Dev, 25(1), 35-41. 

  12. Ji, E. O. (2009). A study on field adaptation of new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 Jung, M. S. (2008).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new graduate nurses' OSCE results, self-efficacy and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4. Kang, S. Y., Um, Y. R., & Han, S. S. (2005). A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its impact on nurses' task motivation. J Korean Acad Nurs, 35(2), 353-361. 

  15. Kim, H. S. (1995). A study of nursing activities practiced by new graduated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6. Kim, Y. O. (2006). Perceive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RNs in the ICU.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7. Kwon, I. S., Lee, G. E., Kim, G. D., Kim, Y. H., Park, K. M., & Park, H. S., et al. (2006). Development of 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Nurs, 36(6), 950-958. 

  18. Lee, J. D., & Lee, C. S. (2006). The effects of preceptorship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clinica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J Korean Acad Nurs Admin, 12(3), 434-443. 

  19.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McGraw-Hill. 

  20. Park, J. A. (2008).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general hospit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21. Rane-Szostak, D., & Robertson, J. F. (1996). Issues in measuring critical thinking: Meeting the challenge. J Nurs Educ, 35(1), 5-11. 

  22. Shin, K. R. (1996). A study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associate and baccalaurate degree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Nurs, 26(1), 43-52. 

  23. Shin, K. R., Ha, J. Y., & Kim, K. H., (2005). A longitudinal stud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 critical thinking skill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Nurs, 35(2), 382-389. 

  24. Snow, J. L. (2002). Enhancing work climate to improve performance and retain valued employees. J Nurs Adm, 32(7/8), 393-397. 

  25. Son, H. M., Koh, M. H., Kim, C. M., & Moon, J. H. (2001). The clinical experiences of adaptation as a new nursing staff. J Korean Acad Nurs, 31(6), 988-997. 

  26. Son, J. T., Park, M. H., Kim, H. R., Lee, W. S., & Oh, K. S. (2007). Analysis of RN-BSN students' clinical nursing competency. J Korean Acad Nurs, 37(5), 655-664. 

  27. Yoo, K. H., Um, Y. R., Suh, Y. O., Song, R. Y., June, K. J., & Cho, N. O. (2000). The comparison between comparis graduates' performance and clinical nurses' performance of clinical competency. J Korean Acad Soc Nurs Edu, 6(1), 147-159. 

  28. Yoo, O. I. (2000). Study on the stress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orientation program of new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9. Yoon, S. H. (2002). A study on new graduate nurses' clinical experience of adaptation. JKANA, 8(1), 55-72. 

  30. Wangensteen, S., Johansson, I. S., & Nordstrom, G. (2008). The first year as a graduate nurse - an experience of growth and development. J Clin Nurs, 17(14), 1877-18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