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0, 2021년, pp.668 - 678  

김미정 (동강대학교 간호학과) ,  김문옥 (동강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2021년 3월 24일부터 4월 27일까지 G시와 J도 소재의 종합병원 간호사 17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은 연령, 결혼상태,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임상수행능력은 간호전문직관(r=.600, p<.001), 비판적 사고성향(r=.568, p<.001), 의사소통능력(r=.658, p<.001), 간호근무환경(r=.353,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의 영향요인은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 비판적 사고성향, 연령으로 나타났고, 이들 설명력은 54.0%였다. 임상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의사소통능력과 간호전문직관,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고 간호사들이 간호실무에 장기간 근무할 수 있도록 기관 및 국가적 차원의 방안마련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linical competence of nurses, using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ig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170 nurses working in a general hospital in Gwangju city and Jeollanam-do province from March 24 to May 2...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을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임상수행능력은 간호전문직관,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 능력, 근무환경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의사소통 능력, 간호전문직관, 연령, 비판적 사고 성향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의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전문직관,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 근무환경이 임상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일반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 간호 근무환경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임상 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장인실, 이경숙, "비판적 사고와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7권, 제2호, pp.255-264, 2019. 

  2. 김수현, 박희옥, "종합병원 간호사의 자아탄력성, 간호전문직관 및 공감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6권, 제2호, pp.101-110, 2020. 

  3. 신연화, 이해정, 임연정,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예측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16권, 제1권, pp.37-41, 2010. 

  4. 이선화, 이은자, "중소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셀프리더십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제24권, 제3호, pp.2287-3694, 2018. 

  5. 성미혜, 엄옥봉,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수행능력 및 직무만족도," 간호행정학회지, 제15권, 제1호, pp.26-36, 2009. 

  6. K. Hallin and E. Danielson, "Registered Nurses' perceptions of their work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1, No.1, pp.62-70, 2008. 

  7. 한상숙, 김명희, 윤은경,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4권, 제1호, pp.73-79, 2008. 

  8. 박광옥, 박성애, 박성희, 이은희, 김명애, 곽원희, "일반간호사 인사고과도구 수정 및 신뢰도, 타당도 검증," 임상간호연구, 제17권, 제1호, pp.70-80, 2011. 

  9. D. Adams and B. K. Miller, "Professionalism in nursing behaviors of nurse practitioners," Journal Professional Nursing, Vol.7, No.4, pp.203-210, 2001. 

  10. 박진아, 김복자, "종합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6호, pp.840-850, 2009. 

  11. B. A. May, B. Edell, S. Butell, J. Doughty, and C. Langford,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competence: A study of their relationship in BS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38, pp.100-110, 1999. 

  12. S. Trenholm and A. Jens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6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3. 이순희, 정승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340-349, 2014. 

  14. 장소은, 김소영, 박남희,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의사소통능력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5권, 제4호, pp.448-458, 2019. 

  15. 이애경, 여지영, 정성원, 변상석,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299-308, 2013. 

  16. 전민경, 한미영, 김익지, 김영숙,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눈치, 임상실습교육환경, 임상수행능력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5호, pp.85-94, 2021. 

  17. 김양신,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제11권, 제3호, pp.125-136, 2020. 

  18. 강소영, 엄영란, 한성숙, "전문간호실무를 위한 조직환경과 간호사의 근무의욕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제35권, 제2호, pp.353-361, 2005. 

  19. J. L. Snow, "Enhancing work climate to improve performance and retain valued employee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32, No.7/8, pp.393-397, 2002. 

  20. 신경미, 권정옥, 김은영,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과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3호, pp.292-301, 2014. 

  21. 윤은자, 권영미, 안옥희,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회지, 제35권, 제6호, pp.1091-1100, 2005. 

  22. 윤진,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 개발: 간호학을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3. R. B. Rubin, M. M. Martin, S. S. Bruning, and D. E. Powe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development and test of a self-efficacy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Communication Association, Atlanta, GA, 1991. 

  24.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지, 제47권, 제6호, pp.380-408, 2003. 

  25. E. T. Lake,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25, No.3, pp.176-188, 2002. 

  26. 조은희, 최모나, 김은영, 유일영, 이남주, "한국어판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3호, pp.325-332, 2011. 

  27. 이지윤, 박소영, "지방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45-153, 2014. 

  28. 최은주, 황지현, 장인실,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자아존중감이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61-169, 2017. 

  29. 강윤지, 정귀임, "중소병원에서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감성지능,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종양간호연구, 제19권, 제4호, pp.233-241, 2019. 

  30. 박정화, 정수경, "대학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회복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236-244, 2016. 

  31. 송기현, 안귀여루, "직장인의 의사소통능과 의사소통만족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치료학회지, 제5권, 제2호, pp.117-129, 2013. 

  32. 손정훈,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3. 조정아, 정경희, "중소병원 간호단위 관리자의 서번트리더십이 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5권, 제2호, pp.37-48, 2015. 

  34. 김윤화, 최윤숙, 전혜영, 김명자, "SBAR프로그램이 암 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명확성, 임상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재활간호학회지, 제19권, 제1호, pp.20-29, 2016. 

  35. 이현숙, 김종경, "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의사소통 유형, 조직몰입 간의 관계," 한국간호과학회지, 제16권, 제4호, pp.488-496, 2010. 

  36. 김경임, 김수진, 김보영,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자기주장행동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 pp.487-495, 2018. 

  37. 권정옥, 김은영, "중소병원 간호단위의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8권, 제4호, pp.414-423, 2012.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