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건조에 따른 채소류 중의 이산화황함량 분석
Study of Sulfur Dioxide Contents in Various Fresh Vegetables During the Drying Proces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5 no.4, 2010년, pp.303 - 309  

하성용 (경인지방식푹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  김현정 (경인지방식푹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  우성민 (경인지방식푹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  이준배 (경인지방식푹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  조유진 (경인지방식푹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  김양선 (경인지방식푹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  반경녀 (경인지방식푹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  박종석 (경인지방식푹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  김희연 (경인지방식푹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  장영미 (경인지방식푹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  김미혜 (경인지방식푹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선채소류의 건조전 후의 이산화황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여 건조채소류에 이산화황사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행하였다. 신선채소류 6품목 182건을 수거하여 열풍건조하였고, 건조온도는 50~60도에서 최종수분함량이 10%정도 되도록 건조하였다. 건조전 신선채소류의 측정값은 발표된 문헌과 유사하였고, 건조후 측정값은 파, 양파, 양배추, 마늘, 무잎, 그리고 무에서 각각 평균적으로 104.6, 75.4, 129.1, 197.6, 23.0, 52.4 mg/kg 검출되었다. 국내 유통중인 건조채소류 41건을 분석한 결과 실험실에서 전처리 없이 건조한 시료들보다는 적은 값이 검출되었고, 아황산처리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건조에 따른 이산화황함량 변화를 검토한 결과 이산화황함량은 수분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증가량은 수분감소량을 고려한 예측값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 주었고, 그 형태는 품목마다 몇가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무, 양파, 파 등은 측정값이 예측값보다 적게 검출되었고, 무잎은 다른 시료에 비해 매우 낮은 값을 보여주었으며, 양배추는 유사한 값으로 검출되었다. 마늘의 경우는 측정값이 예측값 보다 높은 경우도 있었으며, 일관성있는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이것은 건조채소류에서 검출되는 이산화황함량은 단순하게 수분함량의 변화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곧, 시료내에 이산화황함량에 영향을 주는 성분들이 건조과정중에 휘산 또는 효소반응등의 물리 화학적 변화가 수반되며, 수분의 감소가 시료내 이산화황함량의 증가에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그 외에 함유 성분의 특성이나 건조조건 그리고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성분들의 변화등도 의미있는 영향을 미칠 것임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수입 또는 유통중인 건조채소류에 대한 아황산염류 관리를 위해서는 각 품목별 특정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와 같이 지속적으로 자연발생 이산화황함량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뿐 아니라 나아가 선택성있는 분석법의 검토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건조채소류의 아황산염류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자료로서 활용되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lanned to monitor the change in the content of sulfur dioxide during the drying process of fresh vegetables. The analysis of sulfur dioxide was conducted by the Optimized Monier-Williams Method based on the Korea Food Code. The samples were kinds of vegetables which consisted of natu...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선채소류의 건조전 • 후의 이산화황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여 건조채소류에 이산화황사용여부를 판단하 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행하였다. 신선채소류 6품목 182건을 수거하여 열풍건조하였고, 건조온도는 50~60도에 서 최총수분함량이 10%정도 되도록 건조하였다.
  • 오늘날 건조채소류는 인스턴트 식품산업의 발달과 운송의 편이성으로 인하여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고, 건조시 표백과 보존의 목적으로 아황산처리를 할 가능성이 높지만 건조채소류의 자연 발생량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국민 식생활의 안전한 관리를 위하여 건조채소류의 이산화황함량 자료는 시급히 필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 다소비 농산물 중 자연적으로 이산화황이 검출될 가능성이 있는 채소류를 대상으로 건조시 나타나는 변화와 이산화황 함량을 조사하여 건조채소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수입식품과 유통중인 건조채소류에 대한 안전한 관리를 위한 자료로서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 C. ROBERTS. and D. J. McWEENY: The uses of sulphur dioxide in the food industry. J. Fd Technol, 7, pp221-238 (1972). 

  2. JOSLYN MA, and BRAVERMAN JB.: The Chemistry and Technology of the Pretreatment and Preservation of Fruit and Vegetable Products with Sulfur Dioxide and Sulfites. Adv Food Res, 5, pp97-160 (1954). 

  3. Feng, C., Tollin, G. and Enemark, J.H.: Sulfite oxidizing enzymes. Biochim Biophys Acta, 1774, pp527-539 (2007).4. 

  4. Taylor, S.L., Higley, N.A. and Bush, R.K.: Sulfite in foods. Advances in Food Research, 30, pp1-76 (1986). 

  5. Daniels DH, Joe FL Jr, Warner CR, Longfellow SD, Fazio T, and Diachenko GW.: Survey of sulphites determined in a variety of foods by the optimized Monier-Williams method. Food Addit Contam, 9(4), pp283-289 (1992). 

  6. V. Craige Trenerry.: The determination of the sulphite content of some foods and beverages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Food Chemistry, 55(3), pp299-303 (1996). 

  7. Perfetti GA, Diachenko GW.: Determination of Sulfite in Dried Garlic by Reversed-Phase Ion-Pairing Liquid Chromatography with Post-Column Detection. J AOAC Int, 86(3), pp544-550 (2003). 

  8. Korean Food Code.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5). 

  9. Kang, K.J., Oh, G.S., Kim, H.I. and Choi, Y.H.: Naturally Occurring of Sulfur Dioxide in Medicinal Herbs (Crude Drug Materials) and Its Orig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3(5), pp514-520 (2001). 

  10. Eric. Block, Sriram. Naganathan, David. Putman and Shu Hai. Zhao.: Allium chemistry : HPLC analysis of thiosulfinates from onion, garlic, wild garlic(Ramsons), Leek, scallion, shallot, elephant (great-headed) garlic, chive, and Chinese chive. J. Agric. Food Chem, 40(12), pp2418-2430 (1992). 

  11. Mun, T.J. and Kim, K.J.: A study on contents of sulfites in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Preserv, 13(4), pp432- 437 (2006). 

  12. Hwang, K.T. and Rhim, J.W.: Effect of Various Pretreatments and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Drie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6), pp805-813 (1994). 

  13. Chung, S.K., Seog, H.M. and Choi, J.U.: Changes in Volatile Sulfur Compounds of Garlic (Allium sativum L.) under Various Drying Tempera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6), pp679-682 (1994). 

  14. R. Troncoso, C. Espinoza, A. Sanchez-Estrada, M.E. Tiznado and Hugo S. Garcia.: Analysis of the isothiocyanates present in cabbage leaves extract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 to control Alternaria rot in bell peppers.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8, pp701-708 (2005). 

  15. Stoll A, and Seebeck E.: Chemical investigation on alliin, the specific principle of garlic. Adv. Enzymol, 11, pp377-400 (1951). 

  16. 식품성분표 제7개정판,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6). 

  17. Kim, H.Y., Lee, Y.J., Hong, K.H., Kwon, Y.K., Ko, H.S., Lee, Y.K. and Lee, C.W.: Studies on the contents of Naturally Occurring of Sulfite i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3), pp544-549 (2000). 

  18. Kim, M.H. and Park, S.B.: Determination of natural contents of total Sulfites in fruits and vegetables by Ion chromatography.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pp218-222 (1989). 

  19. Shin, J.H., Ju, J.C., Kwen, O.C., Yang, S.M. and Lee, S.J.: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Korean J. Food & Nutr, 17(3), pp237-245 (2004). 

  20. Lee, Y.K., Sin, H.M., Woo, K.S., Hwang, I.G., Kang, T. and Jeong, H.: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Quality of Garlic and Soil compos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0(1), pp31-35 (2008).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