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년여성의 폐경기 적응과 양생실천 정도
Adaptation to Menopause and Use of Yangsaeng in Middle-aged Korean Women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6 no.1, 2010년, pp.1 - 9  

박혜숙 (동양대학교 간호학과) ,  김애정 (여주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addressed the adaption of middle- aged Korean women to menopause, including the use of Yangsaeng, a traditional health care regimen that incorporates specific principles and methods to promote health and prevent illness, with the aim of improving health and longevity of life. Met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문화에 맞게 개발된 측정도구들을 활용하여, 중년여성의 폐경기 적응과 양생실천 정도를 확인하고, 폐경기 적응과 양생실천 정도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서 중년여성의 폐경기 적응 중재방법으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건강관리방법인 양생법이 활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폐경기 적응과 양생실천 정도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한국 중년여성의 폐경기 적응과 양생실천 정도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만 45~59세의 중년여성 171명을 대상으로 폐경기 적응수준과 양생실천 정도를 알아보고, 두 변수 간의 관련성을 확인해봄으로서 동양의 전통적인 건강관리법인 양생을 폐경기 중년 여성의 건강관리를 위한 한국적 간호중재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년여성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중년여성의 폐경기 적응상태와 양생 실천 정도를 알아보고, 동양의 전통적인 건강관리방법인 양생법을 폐경기 중년여성의 간호중재 방법으로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09년 9월 1일부터 10월 4일까지 20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부실 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171명이 최종 연구대상이 되었다.
  • 따라서 동양의 전통적인 건강관리법인 양생이 한국 문화에 맞는 중년여성의 폐경기 적응을 도울 수 있는 간호중재법이라 할 수 있으며, 중년여성의 건강관리를 위한 한국적 간호중재 방법으로 양생법을 제시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생의 실천 정도가 높을수록 어떤 장점을 가지는가? 한국인의 양생측정도구는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Kim(2004-a)에 의해 개발되었고, 노인을 대상으로 양생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재검증한 바 있다(Jung, Kwon, Kim, Wang, & Lee, 2005). 양생측정도구를 활용한 선행연구결과,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양생의 실천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상태 인식, 건강상태 만족도와 신체적·정서적·사회적 기능이 좋으며(Kim, 2004-b), 삶의 질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Kim, 2008).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양생의 실천 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와 우울 정도가 낮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Park & Kim, 2008), 폐경기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찾아볼 수 없었다.
양생이란 무엇인가? 동양 문헌에서는 건강한 삶을 위한 건강관리방법으로 양생법을 제시하고 있다. 양생은 '생을 보양한다'는 의미로 건강하게 장수하는데 목적을 두고 일정한 원칙 하에서 일정한 방법으로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전통적인 건강관리방법이다(Kim, 2004-a; Lee, 1996). 양생은 단순히 병에 걸리지 않도록 힘쓰면서 건강을 증진하는 행위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생활양식이나 생활태도와도 깊은 관련을 맺고 있고, 주관적인 안녕의 의미를 포함하며 궁극적으로는 현대적인 의미의 삶의 질을 추구한다고 볼 수 있다(Kim, 2008).
폐경기 여성에게 신체, 정신, 사회, 문화적 적응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즉, 생산기에서 비생산기로 전환됨에 따라 호르몬 감소와 같은 생리적 변화뿐만 아니라 역할의 변화, 자아정체감의 변화와 함께 여러 가지 건강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신체적, 생리적 변화에 대한 위협감, 불안, 자녀독립에 따른 역할 갈등, 상실감으로 자아의식의 위기, 우울, 고립, 위축 등 정서적 문제를 일으키며 심하면 폐경기 우울증을 경험하기도 한다. 정신적, 사회적으로는 자녀독립에 따른 가정에서의 역할변화와 더불어 외적인 소유, 성공보다는 내적인 삶과 자신의 가치에 초점을 두어 지금까지의 삶을 평가하고 개인적인 관심사에 몰두하여 새로운 자유를 누리며 자신을 새롭게 설립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또한 이 시기에는 많은 생활사건, 스트레스, 노화과정의 시작과 함께 상황적 위기를 가져올 수 있으며, 사람들의 폐경에 대한 경험, 믿음, 태도, 관습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신체적, 정서적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폐경기 여성에게는 신체, 정신, 사회, 문화적 적응이 요구된다(Lee & Chang,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n, J. Y. (2006). A study of the impact on participation in the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on middle-ag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2. Bae, J. E. (2006). Instrument development for adaptation of women in the menopause peri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New Jersey Hove and Lond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 Choi, E. J., Kwon, S. H., Kim, A. J., Park, J. S., & Lee, K. N. (2005). Relationship between actual health and Yangsaeng of the elderly in Urbanites. Korean Academy of Medical Gi-Gong, 8(1), 96-114. 

  5. Donovan, J. C. (1951). The menopausal syndrome: A study of case histories.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62(6), 1281-1291. 

  6. Jang, J. I., Kim, C. H., Shin, H. C., Park, Y. W., Sung, E. J., Lee, E. J., et al.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isk appraisal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me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7(7), 534-539. 

  7. Jung, H. K., Kwon, S. H., Kim, A. J., Wang, M. J., & Lee, K. N. (2005). Reassessmen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ools for measuring Yangsaeng. Korean Journal of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9(1), 17-36. 

  8. Kam, I. W., Dennehy, C. E., & Tsourounis, C. (2002). Dietary supplement use among menopausal women attending a San Francisco Health Conference. Menopause, 9 , 72-78. 

  9. Kim, A. J. (2004-a).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tool in measuring Yangseang. 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0. Kim, A. J. (2004-b). The development of a tool in measuring Yangsae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9), 729-738. 

  11. Kim, A. J. (2008). QOL-BREF and Yangsaeng in Korean adult. Journal of East West Nursing Research, 14(2), 8-15. 

  12. Kim, J. W., Kwon, S. H., Kim, A. J., Seo, M. H., Park, J. S., & Lee, K. N. (2005). Level of Yangsaeng by certain elderly people in connection with their perception of healthfocused on the elderly people in Jeonbuk area. Korean Academy of Medical Gi-Gong, 8(1), 115-127. 

  13. Lee, K. H., & Chang, C. J. (1992). Korean urban woman's experience of menopause: New life. Korean Journal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Nursing, 2, 70-86. 

  14. Lee, K. N. (1996). I live centenarian too. Seoul: Youngrimsa. 

  15. Park, H. S. (2003). Effects of soybean foods intake on menopausal symptoms, serum hormones, serum lipids, and bone metabolism in middle-ag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Park, H. S., & Kim, A. J. (2008). Relationship of stress, depression and Yangsaeng in Korean college women.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11 (2), 149-15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