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기능성 소재 의류제품 평가기준과 정보원 연구
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Evaluative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s of Functional Clothing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0 no.9, 2010년, pp.150 - 161  

조윤진 (진주산업대학교 텍스타일디자인학과) ,  최주현 (진주산업대학교 텍스타일디자인학과) ,  백현국 ((주)에코그린피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recent trends indicate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functional clothing marke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valuative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s of functional clothing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 total of 756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ANOVA, and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50대 여성들은 기능성과 소재 자체를 더 중요하게 여길 가능성이 크므로, 소재의 기능성을 부각시킨 제품 개발과 기능성 제품임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다른 연령대나 남성 집단에 비해 카탈로그를 활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카탈로그를 이용한 판촉 활동도 제안하는 바이다. 무엇보다 매장 판매원의 조언도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샵 매니저를 비롯해 판매원의 서비스 및 응대에 대한 훈련도 다른 집단에 비해 중요할 것이다.
  • 목표 시장 소비자가 많이 활용하는 정보원의 파악은 마케터가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능성 소재 의류 제품을 구매하는데 있어, 성별과 연령에 따라 중요시하는 평가기준에 차이가 있는지와 활용하는 정보원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직타겟 시장이 불명확한 기능성 소재 의류제품 잠재고객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전략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 소비자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능성 소재 의류제품 구매시 평가기준과 정보원 활용에 있어서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관련 마케팅 의사 결정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기능성 소재로 만들어진 일반적인 의류 제품에 대한 연구이다. 설문에는 "기능성 소재로 만들어진 의류제품으로 기능성 소재란 섬유에 특수한 기능을 부여한 소재로써 투습, 방수, 축열, 보온, 항균.
  • 반면, 기능성 소재를 사용한 일반 의류제품을 살펴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시장의 성장과 소비자 수요의 변화로 소비자들의 기능성 소재 의류제품 구매행동에 차이를 나타낼 것이고, 따라서 본 연구는 인구 통계적 특성 으로서 성 과 연 령 에 따른 구매행 동의 차이에 주목한다.
  • 연구문제 1: 성별과 연령에 따른 기능성 소재 의류 제품 평가기준의 차이를 살펴본다.
  • 연구문제 2: 성별과 연령에 따른 기능성 소재 의류 제품 정보원의 차이를 살펴본다.
  • 본 연구는 기능성 소재 의류 제품을 구매하는데 있어, 성별과 연령에 따라 중요시하는 평가기준에 차이가 있는지와 활용하는 정보원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직타겟 시장이 불명확한 기능성 소재 의류제품 잠재고객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전략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이나 연령에 따라 기능성 소재 의류제품 구매 시 중요하게 여기는 평가기준이 다른지를 살펴보고자 하며, 각 해당 시장에 유의미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기능성 의류 인기 (2001. 6. 11). 섬유의류연구정보센터. 자료검색일 2010. 3. 20, 자료출처 http://www.ricta.or.kr 

  2. 건강-천연소재 기능성 의류 봇물 (2006). 동아일보. 자료검색일 2010. 3. 20, 자료출처 http://www.donga.com 

  3. 성희원, 전양진, 박혜선 (2005). 자외선 차단 의복에 대한 소비자 조사: 아웃도어 스포츠웨어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8), pp. 1136-1145. 

  4. 진현정, 이은영 (2007). 아웃도어 스포츠웨어 소비자의 레저관여와 제품지식에 따른 의류브랜드와 소재브랜드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31(9-10), pp. 1333-1341. 

  5. 문지현, 전은경, 유화숙 (2008). 기능성 소재 스포츠웨어 구입시의 정보이용행태: 의복 및 스포츠 관심의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11). pp. 1814-1824. 

  6. 정인희 (2009a). 웰빙 라이프스타일과 기능성 섬유에 대한 지식이 고기능성 스포츠레저웨어의 중요도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3(9), pp. 1495-1505. 

  7. 정인희 (2009b). 고기능성 스포츠레저웨어의 프리미엄가격 지각에 대한 연구: 스포츠레저활동도, 웰빙 건강의식 및 인구통계적 특성과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3(9), pp. 1506-1518. 

  8. 최라윤, 전은경, 유화숙 (2009). 대학생의 기능성 소재에 대한 지식과 기대수준에 따른 행동 의도 차이.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2), pp. 262-270. 

  9. 홍경희, 최인려 (2009). 노년층 소비자의 기능성 소재 추구 혜택, 태도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7(1), pp. 149-161. 

  10. 홍경희, 이윤정 (2006). 혁신제품으로서의 기능성 소재 유아복의 채택 단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제품 특성, 소비자 특성,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1), pp. 146-156. 

  11. 박나리, 김명옥, 문영옥, 서문숙, 서민정, 이규혜 (2007). 니트의류제품 구매행동과 평가기준. 한국의류학회지, 31(7), pp. 1064-1074. 

  12. 전경숙 (2000). 남자 중, 고등학생의 유행선도력과 정보원 활용 및 의류구매행동과의 관계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4(5), pp. 675-685. 

  13. 이영선 (1991). 소비자의 의복관여와 외적 정보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하명근 섬산련 부회장 "PIS展 세계 섬유산업 허브 육성"(2009. 9. 2). EBN 산업뉴스. 자료검색일 2010. 3. 20, 자료출처 http://ebn.co.kr 

  15. 홍희숙, 고애란 (2009). 웰빙 의류상품 구매의도에 의복 추구혜택이 미치는 영향: 친환경의류상품 및 건강 기능성 의류상품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3 (11), pp. 1839-1852. 

  16. 친환경 기능성 섬유 눈길 (2009. 9. 4).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10. 3. 20, 자료출처 http://mbn.mk.co.kr 

  17. 국내 패션시장 기능성 소재 현황 (2007). 패션채널. 2007년 9월호, pp. 98-100. 

  18. 권오경, 고재운 (2002). 고기능섬유와 스포츠웨어.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5), pp. 421-431. 

  19. 김은애, 김혜경, 나영주, 신윤숙, 오경화, 유혜경, 전양진, 홍경희 (2000). 패션소재기획과 정보. 교문사, p.193. 

  20. Blackwell, R. D., Miniard, P. W., & Engel, J. F. (2001). Consumer behavior (9th ed). Ohio: South- Western, p. 80. 

  21.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2006). 소비자행동-마케팅전략적 접근 (제4판). 법문사, p. 88. 

  22. 박은주 (1991). 의복구매 상황과 의복평가 기준과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2), pp. 163-171. 

  23. 남미우, 고애란 (2004). 도시 주부의 케이블TV홈쇼핑을 통한 의복구매시 지각된 위험과 의복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복식, 54(6), pp. 1-13. 

  24. Abraham, M. L., & Littrell, M. A. (1995). Consumer's conceptualization of apparel attribut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3(2), pp. 65-74. 

  25. Glock. R. E., & Kunz. G. I. (1999). Apparel manufacturing: Sewn product analysis (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6. 김미영(1991). 의복평가기준의 이론적 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3), pp. 321-334. 

  27. 김미영, 이은영 (1988). 의류상품의 유형별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I). 한국의류학회지, 12(2), pp. 249-257. 

  28. 김민수, 김문숙 (2003).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품질평가기준. 복식문화연구, 11(1), pp. 47-65. 

  29. 홍병숙, 이은진, 김계연 (2002). 20-30대 여성의 니트웨어 구매행동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6(7), pp. 1055-1065. 

  30. 이경훈 (2001).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소비자 관여에 따른 의류제품 및 웹 서비스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권유진, 홍병숙 (2006). 대형할인점 점포속성 및 의류 제품평가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0(7), pp. 1066-1077. 

  32. Kotler, P., Armstrong, G., Ang, S. H., Leong, S. M., Tan, C. T., & Yau, oliver, H-M. (2009). Principle of marketing: A global perspective. Prentice Hall, p. 131. 

  33. Cox, D. F. (1967). Risk handling in consumer behavior: An intentive study of two cases. Boston: Harvard University, pp. 34-40. 

  34. Solomon, M. R., & Rabolt N. J. (2004). Consumer behavior in fashion (1st ed). 이승희, 김미숙, 황진숙 역 (2007). 패션과 소비자행동. 서울: 시그마프레스, p. 470. 

  35. 정명선 (1992). 패션정보원 활용에 따른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3), pp. 257-269. 

  36. 김경희, 김미숙 (1997). 유행선도력에 따른 여고생의 구매 전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3), pp. 487-501. 

  37. Polegato, R, & Wall, M. (1980). Information seeking by fashion leaders and followers.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8(May), pp. 327-338. 

  38. 전경숙 (2002). 의복관여와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여자 중.고교생을 중심으로. 복식, 52(4), pp. 75-85. 

  39. 이진화, 김칠순 (2007).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중.노년기 여성 세분시장의 구매기준 및 패션정보원 비교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5(5), pp. 39-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