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초등학생에 있어 성별에 따른 식사 예절, 영양 지식 및 식습관 차이에 관한 연구
Differences in Table Attitudes, Eating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in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3 no.4, 2010년, pp.623 - 632  

김주현 (동서울대학 관광정보처리학부 호텔외식조리) ,  하애화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강남이 (을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able attitudes(or table manners), nutrition knowledge, eating/snacking habits, and BMI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the study, 350 [4~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were recruited and surveyed. Each response for 10 ques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초등학생들의 식사 예절에 관한 설문 조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Jung & Lee 2007).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 4~6학년의 성별에 따른 식사 예절, 식습관, 간식 선호도, 영양 지식의 정도를 조사하고 비만과의 관련성도 조사하여 영양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영양 지식 및 식사 예절과 대상자들의 식습관, 체질량지수, 성별과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Table 10). 본 연구 결과, 영양 지식 점수가 낮을수록 식사 예절 점수도 낮게 나타났고, 페스트푸드 섭취 빈도는 높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동기는 어떤 시기이며 어떤 점에서 중요한가? 학동기는 식습관이 형성되는 가장 중요한 시기이며, 이때 형성된 식습관은 지속성이 있어 성인으로 이어지며, 평생의 건강을 좌우한다. 그러나 학동기는 또한 바람직하지 못한 식생활을 개선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이다.
기존의 여성과 남성의 식생활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여성과 남성은 어려서부터 건강과 영양 및 식품 섭취에 대한 다르게 받아들이고 행동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Trrell 1997). 기존의 연구에서 여성의 경우 건강한 식생활 태도 또는 균형 있는 영양 섭취에 대한 순응도가 남성보다 높게 보고됐다(Trrell 1997; McConaghy 1989). 특히 한국의 경우, 부모님은 딸한테는 어려서부터 식사 예절의 중요성을 강조 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남아에게는 식사 예절에 대해 관대한 경향이 있다.
초등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식사 예절, 영향 지식 및 식습관 차이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식사 예절 및 영양 지식 정도가 낮았고, 육식을 좋아하고 김치나 채소를 좋아하지 않는 식습관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변수들과 비만과는 유의적인 상관성이 없었지만 남학생의 이러한 문제점들이 지속되면 비만을 비롯한 건강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학교에서의 성별 등 대상에 따른 적합한 영양 교육시스템 개발 등을 통해 아동 식행동의 수정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 WK, Park HO, Kim SM. 2002. A study on breakfast patterns an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Inchon area. Korean J Food Nutr 15:50-5 

  2. Epstein LH, Gordy CC, Raynor HA, Beddome M, Kilanowski CK, Paluch R. 2001. Increasing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decreasing fat and sugar intake in families at risk for childhood obesity. Obesity Research 9:171-178 

  3. Ha AW, Bae SJ, Urrutia-Rojas X, Singh KP. 2005. Eating and physical activity practices in the risk of overweight and overweight children. Nutrition Research 25:905-913 

  4. Ha AW. 2007. Obesity and its association with diets and sedentary life style among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 Compliance with dietary references intakes for Koreans food guides.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1:212-217 

  5. Heald FP. 1992. Fast food and snack food: beneficial or deleterious. J Adolescent Health 13:380-383 

  6. Heo YH, Choi MJ. 2006. A study on the weight control and food habit in obese and normal weight elementary childre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272-280 

  7.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2000. Report on the Asia - 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its treatment.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Sydney, Australia. pp12-25. 

  8. Jeung NY, Kim KW. 2009.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55-66 

  9. Ji HJ, Nam ES, Park SI. 2008. A survey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imchi. Korean J Food Nutr 21:572-582 

  10. Jung KA. 2008. A study on the trends of researches on problems related to ea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Practical Arts Education 22:161-196 

  11. Jung SA, Lee KA. 2007.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using children's book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od preferences and eating behavio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161-1171 

  12. Kang HW, Ree SS. 2006. A study on weight control and dietary lif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food frequency. Korean J Nutrition 39:817-831 

  13. Kim MJ, Kim YH. 2010. Dietary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f the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Ulsan area by sex and skipping breakfas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209-217 

  14.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The Third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15.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s Intake for Koreans, 1st edition. 

  16. Ku BI, Lee KA. 2000. A surve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Korean J Diet Culture 15:201-213 

  17. Lee DH. 2005. A study on eating behavior, recognition of body image, weight control method of nutritional status and blood parameters of obese children in Iksan ci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663-674 

  18. Lee JE, Jung IK. 2005. A survey on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erception on the nutrition education in curriculum.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17:79-93 

  19. Lee MS. 2008. Nutrition and Diet. p.252. Gyomunsa Inc 

  20. Lee YM, Lee MJ, Kim SY. 2005.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J Kor Dietetic Assoc 11:331-340 

  21. Lee YN, HA AW. 2007. The family history of chronic disease, food group intakes, and physical activity practices among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644-652 

  22. McConaghy J. 1989. Adults beliefs about the determinants of successful dietary changes. Comm Health Study 13:492-502 

  23. Nam JH, Kim SK, Kim HJ. 2009. A pilot study of the effects of an 8-week school-based weight loss program on obesity, shape satisfaction, and shape esteem in obese children. Korean J Food & Nutr 22:286-292 

  24. Nam JH, Lee MY. 2006. The study of food habits according to obesity index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Yangju city, Gyeonggi province. Korean J Food & Nutr 19:153-160 

  25. Nicklas TA, Baranowski T, Cullen KW, Berenson G. 2001. Eating patterns, dietary quality and obesity. J Am College Nutr 6:599-608 

  26. Park HO. 2002. The evaluation of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Gyoonggi area Yonsei Univeristy Master's Thesis pp.51-57 

  27. Park MJ, Park GS, Park WJ. 2003. A study of food habit nutrition, knowledge and health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buk.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568-576 

  28. Trrell G. 1997. Determinants of gender differences in dietary behavior. Nutr Research 17:1105-1120 

  29. Yon MY, Han YH, Hyun TS. 2008. Dietary habits, food frequency and dietary attitudes by gender and nutrition knowledge level in upper grade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42:256-2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