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부 도로 고령 보행자 사고 특성분석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for the Elderly Pedestrians on Rural Highway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8 no.5, 2010년, pp.155 - 162  

박준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최병부 (경찰청 교통안전담당관실)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통사망사고중, 고령자 교통사고가 3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해마다 증가추세인 고령 노인교통사고와 관련,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현실을 반영하여, 향후 특단의 대책을 수립해야할 필요성이 절박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고령자들이 주로 지방도시 지역의 지방부도로 주변에 밀집거주 및 이동하는 현실을 착안하여 지방부도로 고령보행자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사고심각도 모형을 개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경찰청 교통사고자료를 720건 입수하여, 경상 중상 사망등 가중치를 반영한 사고심각도 모형을 중회귀분석에 의해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사고심각도에 가장 영향력이 큰 독립변수는 역시 과속차량임을 통계적으로 입증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derly pedestrians account for more than 30% of all deaths in traffic accident and the number of elderly-related traffic accidents are increasing every year. Considering Korea's quickly aging society, drastic measures must henceforth be taken. Taking notice of the elderly living in and moving aro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방부 도로 사고데이터 기초통계를 바탕으로 고령자 및 비고령자 사고심각도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정책제안을 위한 ‘연구의 틀’을 제공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는 기존 고령보행자의 심리적, 신체적 특성이 비고령자와 다르게 나타남을 인지하고 기존 미흡한 사고당시의 사고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이 고령자와 비고령자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지방부도로에서 발생하는 횡단사고(차-보행자)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변수를 규명하기 위해 도로선형자료 및 교통환경자료, 인적요인자료를 구축하였다. 횡단사고시 사고심각도는 경상, 중상, 사망으로 구분이 되며 수집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통계분석 방법인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지방부도로 보행자 사고심각도 분석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 최근 노인 연령층 증가로 인한 고령사회에로 진입하는 우리나라 여건을 반영, 노인교통사고 감소가 우선적인 저출산 고령화 사회대비 주요 정부정책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각종 정부부처 및 민간 단체등의 다양한 교통안전 대책 추진 노력과 관련, 보다 과학적인 정책 대안 도출을 위한 사고모형 구축을 하고자 함이었으며, 특히, 국내외 고령보행사고 추세를 각종 연구문헌을 통해 확인 하였다.

가설 설정

  • 두 집단의 모분산이 같은지 알아보기 위해 F-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F-검정의 귀무가설(두 집단의 모분산은 같다)의 유의수준이 0.05(5%)라 할때, 검정통계량의 p-값, 즉 유의확률은 0.490으로 이는 유의수준보다 크므로 귀무가설을 채택한다. 즉, 두 집단의 모집단이 같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통사망사고에서 고령자 사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교통사망사고중, 고령자 교통사고가 3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해마다 증가추세인 고령 노인교통사고와 관련,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현실을 반영하여, 향후 특단의 대책을 수립해야할 필요성이 절박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고령자들이 주로 지방도시 지역의 지방부도로 주변에 밀집거주 및 이동하는 현실을 착안하여 지방부도로 고령보행자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사고심각도 모형을 개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고령화 추세는 어떠한가? 고령화 추세는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데, 총인구 중에서 65세이상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지난 1997년 6.4%, 2006년 9.5%, 2010년 11.0%, 2020년 15.6% 등 점차 증가폭이 확대되어가는 추세1)를 보이고 있다.
이순철의 고령보행자들의 사고 연구 중 도로환경요인에 대한 분석은 어떠한가? 이순철(2009)의 연구에서는 보행자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계절은 가을철로 고령보행자들의 사고도 이 시기에 집중되며, 가을철 고령 보행자 사고가 국도나 시도, 지방도 등의 지방부 외곽도로상에서 많이 발생하는 특정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로환경요인과 관련한 분석에 따르면, 고령보행자들은 주로 교차로나 횡단보도와 같이 교통통행량이 많은 곳에서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으며, 복잡한 도로에서 횡단행동을 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임평남(1995), "한국의 노인교통사고 피해와 안전대책", 교통안전연구논집, 제14집, 도로교통안전협회. 

  2. 유현상.송수식.이상연.백주희(1996), "교통사고 다발자의 성격경향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3. 신용균.이건호.박지영(1998), "노년층 운전자의 시지각 및 운전행동, 교통안전연구논집", 제17집, 도로교통안전협회. 

  4. 경기개발연구원(2002), "고령자 운전특성에 관한 연구". 

  5. 교통개발연구원(2001), "고령운전자의 운전행태 고찰 및 안전운전대책 연구". 

  6. 강지혜(2005), "고령운전자의 행동특성을 고려한 교통안전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7. 김정현.오영태.손영태.박우신(2002), "보행자 시설 서비스 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149-156. 

  8. 이수일.원제무.김태호.김용식(2002), "보행 잔여신호기 도입에 따른 보행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9권 1호, pp.263-272. 

  9. 김경옥(1996),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노출 및 행동특성에 관한 연구", 도로교통안전공단. 

  10. 김진경(2006), "교통사고 건당 EPDO를 이용한 교통사고 특성분석", 전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경찰청(2006), "2006년 노인교통사고분석". 

  12. 이상두(2000), "교통사고처리요령". 

  13. Slataper, F.J.(1950), "Age norms of refraction and vision, Archieves of Ophthalmology", Vol.43. 

  14. Strehler, L. Bernard(1962), "Time, cells, and aging", Academic press. 

  15. Weale, R.A.(1963), "The aging eye, New york : Hoeber Medical Division", Harper & Row. 

  16. Burg, A.(1968), "Vision test score and driving record : Additional findings", Department of Engineering, UCLA. 

  17. Mihal, W.L., Mihal, G.V. Barrett(1976),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ceptu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ir relation to automobile accident involv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1, pp.229-23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