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특성 및 감소방안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The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Reduction Methods of Elderly Pedestrian in Accordance with the Advent of the Aging Society -Focused on Jeju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4, 2015년, pp.197 - 207  

김경범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보행중 교통사고 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감소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노인보행자의 사망사고 특성(시간과 장소 별)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노인보행자의 교통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앙에 보행 안전섬을 설치하여 횡단대기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둘째, 횡단보도 방지 가드레일과 잔여시간표시기 설치해야하며, 셋째, 보행자 작동 신호기를 확대 설치하고, 넷째, 야간 조명시설을 설치가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노인보호구역을 지정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안이 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노인을 위한 교통안전정책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Check the problems through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while the elderly walking. Propose a way to reduce elderly traffic accidents. Therefore,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by time and place etc) in order to reduce the traffic accident in the elderly pedestrian. Proposed the f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이 혼재되어 있는 제주지역의 노인 보행자 사망사고 추세와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교통사고 감소방안과 정책 방향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 교통사고 증가 이유 중 가장 큰 원인은? 즉 보행자 교통사망사고 중 절반 이상이 65세 이상의 노인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이 노인 교통사고 증가는 노인 인구의 급속한 증가가 가장 큰 원인이겠지만, 노인 인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노인 교통사고에 대한 대책 마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이기도 하다[2]
제주지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제주지역의 폐쇄적인 지역적 특성, 도시와 농촌이 혼재되어있는 지역이라는 특성을 감안하고 노인교통사고 감소를 위해 노인 교통사고의 원인을 분석하여 노인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보행자의 교통사고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은? 따라서 노인보행자의 사망사고 특성(시간과 장소 별)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노인보행자의 교통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앙에 보행 안전섬을 설치하여 횡단대기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둘째, 횡단보도 방지 가드레일과 잔여시간표시기 설치해야하며, 셋째, 보행자 작동 신호기를 확대 설치하고, 넷째, 야간 조명시설을 설치가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노인보호구역을 지정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안이 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노인을 위한 교통안전정책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경기개발연구원, 노인 교통안전 개선방안, 2009. 

  2. 도로교통공단, 2011 지역별 도로교통사고 통계, 2012. 

  3. 소광섭, "도농복합도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 활만족도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8권, pp.7-30, 2007. 

  4. Y. Mori and M. Mizohata, "Characteristics of older road users and their effect on road safety,"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27, No.3, pp.391-404, 1995. 

  5. 이재식, 정은광, 조규태, "고령보행자의 도로횡단 보행안정성 개선방안 연구", 도로, 제8권, 제2호, pp.18-26, 2006. 

  6. A. Yoshida, "Planning roads and facilities for the elderly people," ATSS Review, Vol.9, pp.320-328, 1983 

  7. 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연구원, 노년층 보행자의 보행환경 개선방안 연구, 2006. 

  8. 최동호, "Haddon Matrix 개념을 활용한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대책", 한국노년학, 제26권, 제4호, pp.859-876, 2006. 

  9. S. L. Amosun, T. Burgess, L. Groeneveldt, and T. Hodgson, "Are elderly pedestrians allowed enough time at pedestrian crossing in Cape Town, South Africa?," Physiotherapy Theory and Practice, Vol.23, No.6, pp.325-332, 2007. 

  10. 박용진, 박종규, 손한철, 김종태, "보행자 신호체계에 대한 새로운 제안",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3호, pp.7-19, 2001. 

  11. 설재훈, 장애인?노약자의 복지교통 서비스 개선방안, 교통개발연구원, 2004. 

  12. 박상선,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사상자 감소방안에 관한 연구 :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3. 황덕수, 오영태, 이상수, 김태호, "교통약자를 고려한 보행신호시간 산정모형에 관한 연구", 대학교통학회지, 제26권, 제4호, pp.181-190, 2008. 

  14. 오주석, 김인식, 이순철, "고령보행자의 행동특성과 보행사망사고의 관계", 사회문제, 제16권, 제1호, pp.1-18, 2010. 

  15. R. Job, T. Prabhaker, S. Lee, J. Haynes, and J. Quach, Elderly pedestrians behaviour and drive attitude and knowledge survey and regarding pedestrian, Department of Psychology and Soames Job & Associates, University of Sydney Press, 1994. 

  16. S. Rosenbloom, The mobility needs of the elderly, Washington, D.C.: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988. 

  17. 지우석,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원인분석 및 대책", 한국노년학, 제30권, 제3호, pp.843-853, 2010. 

  18. 원제무, 최재성, 교통공학, 박영사, 1998. 

  19. 김경범, "고령사회를 대비한 노인운전자 교통사고 특성 및 저감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151-160, 2014. 

  20. 김근홍, "노인과 교통정책," 사회복지정책, 제12집, pp.125-151,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