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약자의 보행 교통사고 특성과 보행 횡단요소 분석 (여수시를 사례로)
Walking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Walking Factors for Road Crossing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the Case of Yeosu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6, 2016년, pp.439 - 448  

김상구 (전남대학교 물류교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4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은 전체인구의 12.7%로서 우리나라는 조만간에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되고 노인 등 교통약자들도 다양한 사회경제적 활동으로 일반인과 동등하게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교통약자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인 보행은 일반인과 다른 보행특성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보행 관련 시설 및 운영은 이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융복합 시대를 맞이하여 교통약자(노인)의 보행 관련 교통사고 특성을 살펴보고 여수시를 사례로 횡단보도에서 노인의 보행실태와 보행횡단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2014년 기준 교통사고 자료에 의하면, 노인 교통사고는 전체 교통사고의 9.9%로 발생하고 있으나 노인사망자수는 전체의 40.3%를 차지하고 있고 노인 사망자수의 47.4%가 차대보행자 사고로 기인한다. 또한 전체 보행자 중 노인 보행자 발생은 18.7%이나 노인 보행자 사망자 비율은 49.3%에 해당하는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노인보행자 치사율이 3.03명으로 전체보행자 치사율보다 3배정도 높게 나타난다. 교통약자(노인) 횡단 보행요소인 반응시간과 보행속도를 조사한 결과, 노인 신체능력 하위 15%-tile에 해당하는 반응시간은 4.56초와 보행속도는 초당 0.76m가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조사지점의 횡단보행 신호운영을 평가한 결과 보행안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어 개선된 보행신호 운영이 요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pulation over 65 years old is 12.7% of total population in 2014 and Korea is going to be an aged society in the near future.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cluding the aged should be guaranteed in walking mobility under safe and comfortable environment for their socio-economic activities.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노인)의 보행 관련 교통사고 특성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보행안전시설물인 도로 횡단시설(횡단보도)에서 보행실태와 보행횡단 요소를 여수시 사례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가장 대표적인 교통약자인 장애인과 노인 중에서 사회경제적으로 활동과 이동권 욕구가 더 왕성하고 도로보행과 도로횡단의 기회를 더 많이 요구되는 65세 이상의 고령자(노인)를 대상으로 하였고 특히 노인운전자가 아닌 65세 이상 노인보행자가 주 연구대상이다.
  • 교통약자는 인간으로서 기본적인 권리가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이동권을 통한 사회참여와 복지증진을 충분하게 이룰 수 없는 계층이고 가장 대표적인 그룹이 노인과 장애인에 해당된다. 현재 교통약자 중 가장 높은 구성비를 차지하고 있고 고령화사회를 맞이하여 증가율도 가장 높은 노인(고령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통약자(노인)의 증가하는 인구추세에 맞추어 노인 교통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교통약자(노인) 관련 교통사고 발생은 전체 교통사고 발생과 비교하여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고 특히 전체 사망자수의 절반정도가 65세 이상 노인에 해당되는 현실이다. 노인보행자의 경우도 교통사고의 발생률은 증가추세이고 사망자수 비율도 전체의 50% 정도에 도달하여 있는 상황이다. 여수시의 사례를 통해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발생건수와 사망자수가 전라남도에서 가장 많은 도시로 분석되어 여수시의 노인 보행환경 개선과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교통약자의 보행환경은 무슨 의미를 갖는가? 교통약자의 보행환경은 인간이 영위할 수 있는 이동권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으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도로의 보도를 이용하는 경우와 더불어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접근하는 도로횡단시설의 보행환경은 교통안전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교통약자란 무엇인가? 교통약자란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를 동반한 사람, 어린이 등 일상생활에서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을 말하는데(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제2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애인은 지체장애인,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등의 이용자를 말하며, 고령자는 65세 이상의 이용자, 그리고 일시적인 장애인이란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 무거운 짐을 가지고 이동하는 자, 어린이는 5-9세의 이용자를 말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orea Parliament, "Act on Promotion of the Transportation Convenience of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Act No. 9868, 2009. 12. 29, Partial Amendment", Enforcement Date 28. Jan, 2015). 

  2. J. H. Noh, B. K. Kang, K. C. Seong, K. J. Park, and S. W. Kim,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nvestigation about Barrier-Free in Railroad Facilities",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Journal, Vol. 17 No. 3, pp 43-51, 2011 

  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Second Promotion Plan of the Transportation Convenience of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2012. 

  4. S. G. Kim and H. J. Cho, "A Study on the Operation and Utilization Status of the Special Transport System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Vol. 55, No. 3, pp. 185-212, 2012. 

  5. K. O. Kim,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ausal Analysis of Elderly Pedestrians' Road Crossing Accidents", 28th Proceedings of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996. 

  6. Y. J. Park, H. C. Son, J. G. Park, and J. T. Kim, "A New Proposal of Pedestrian Signal Tim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19, No. 3, pp. 7-18, 2001. 

  7. D. S. Hwang, Y. T. Oh, S. S. Lee, and T. H. Kim, "Development of Pedestrian Signal Timing Model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Weak Pedestria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6, No. 1, pp. 181-190, 2008. 

  8. B. H. Park, J. M. Yang, and B. C. In, "Relationship between Traffic Accidents of Elderly Pedestrians and Barrier-Free Facilities in the Case of Cheongju",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7, No. 2, pp. 189-197, 2009. 

  9. J. T. Park, B. B. Choi, and S. B. Lee,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for the Elderly Pedestrians on Rural Highway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8, No. 5, pp. 155-162, 2010. 

  10. N. S. Lee, "The Measures Decreasing Traffic Accident for the Elderly", Thesis, KOROAD, 2014. 

  11. J. S. Oh, E. Y. Lee, J. B. Ryu, and W. Y. Lee, "An Analysis for Main Vulnerable Situations and Human Errors of Elderly Drivers' Traffic Accidents",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Vol. 22. No. 4, pp. 57-75, 2015. 

  12. M. J. Kim and Y. W. Lee, "A Study on the Road Facilities Us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by AHP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3, No. 3, pp. 276-283, 2015. 

  13.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Manual on Traffic Signal Device Installment and Management", 2005. 

  14.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Manual on Traffic Signal Device Installment and Management", 2011. 

  15. Statistics Korea: KOSIS http://kosis.kr/, 2016.3. 

  16. KoRoad, "Sourcebook on Traffic Accident Analysis", 2015. 

  17. KOROAD, TAAS http://taas.koroad.or.kr/index.jsp, 2016.2. 

  18. S. Y. Oh, "A Interval Distance Calculation and Forward Collision Warning Algorithm for Vehicle Safety Communications on a Highwa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10, pp. 295-300, 2012. 

  19. J. H. Jeon, "A Study on the Public Traffic Policy in Information Age: Focused on the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8. No. 4, pp. 19-33, 2010. 

  20. S. Y. Oh, "A Traffic Hazard Prediction Algorithm for Vehicle Safety Communications on a highwa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9, pp. 319-324, 2012. 

  21. D. W. Lee, "A Case Study on Foreig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6, pp. 259-264, 2014. 

  22. Y. S. Chung, R. K. Park, and J. M. Kim, "Study on predictive modeling of incidence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weather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5, No. 1, pp. 9-15, 2014. 

  23. B. J. Song and H. J. Ahn,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Network Diagnostic Assessments and Monitoring Service to promote Eco-driving Behaviors for Truck Driv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2, No. 4, pp. 15-19,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