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산전 및 주산기 합병증
Prenatal, Perinatal and Infancy History of Autism Spectrum Disorder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1 no.3, 2010년, pp.153 - 160  

남보라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유희정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조인희 (가천의과대학병원 정신과) ,  박태원 (충북대학교병원 정신과) ,  손정우 (전북대학교병원 정신과) ,  정운선 (경북대학교병원 정신과) ,  신민섭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김붕년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김재원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양영희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강제욱 (인제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송숙형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조수철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natal, perinatal, and infancy history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s compared to unaffected siblings (SIB)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C). Methods: Subjects with ASD, their SIB, and TC were recruited. All subj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ASD를 가진 환아들의 태아기, 주산기, 영아기의 병력과 발달력을 분석하고, 이것이 ASD의 위험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환자군(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장애에 이환 되지 않은 생물학적 형제군(unaffected siblings, SIB), 정상 대조군(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C)을 분석 대상으로 함으로써 유전적인 배경을 통제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세 군을 모두 한국어판 자폐증 진단 면담(Korean version of Autism Diagnostic Interview-Revised, K-ADI-R)과 한국어판 자폐증 관찰 스케줄(Korean version of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 K-ADOS)을 사용하여 진단 혹은 배제 진단 함으로써 세 군의 진단적 변별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ASD를 가진 환아들의 태아기, 주산기, 영아기의 병력과 발달력을 분석하고, 이것이 ASD의 위험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환자군(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장애에 이환 되지 않은 생물학적 형제군(unaffected siblings, SIB), 정상 대조군(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C)을 분석 대상으로 함으로써 유전적인 배경을 통제하고자 시도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ASD의 태생기, 주산기, 영아기 병력에 관해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강점은 첫째로 KADOS 및 K-ADI-R 등 표준화된 진단 도구를 이용하여 ASD를 정확히 진단하고자 한 것이며, 둘째는 정상 대조군과 생물학적 형제군을 모두 비교대상에 포함 시켜 세 군간의 차이를 비교했다는 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폐 장애는 무엇인가? 자폐 장애는 사회성과 의사 소통의 질적 장애 및 제한된 관심 범위, 상동증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 장애이다.1)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또는 전반적 발달 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는 자폐 장애, 레트 장애, 아동기 붕괴성 장애, 아스퍼거 씨 장애, 기타 전반적 발달 장애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ASD의 일란성 쌍생아 일치율은 얼마인가? 1)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또는 전반적 발달 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는 자폐 장애, 레트 장애, 아동기 붕괴성 장애, 아스퍼거 씨 장애, 기타 전반적 발달 장애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기존 연구에서 ASD의 일란성 쌍생아 일치율은 60% 전후로 보고되고 있으며 광의의 자폐 표현형(broader autistic spectrum)으로 범위를 확대했을 때는 90%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2) ASD는 강력한 유전적 원인론의 영향 하에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일치율이 100%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환경적 요인 또한 관련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ASD의 유병률은 1966년에 10,000명당 4명이었던 것이3) 최근 연구에서는 10,000명당 30~60명으로 증가하였는데4) 이러한 증가 추세는 진단 기준의 확장과 정확성의 증가에 기인한 바도 있지만 환경적 요인을 시사하는 또 다른 근거가 될 수 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유병률은 얼마인가? 기존 연구에서 ASD의 일란성 쌍생아 일치율은 60% 전후로 보고되고 있으며 광의의 자폐 표현형(broader autistic spectrum)으로 범위를 확대했을 때는 90%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2) ASD는 강력한 유전적 원인론의 영향 하에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일치율이 100%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환경적 요인 또한 관련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ASD의 유병률은 1966년에 10,000명당 4명이었던 것이3) 최근 연구에서는 10,000명당 30~60명으로 증가하였는데4) 이러한 증가 추세는 진단 기준의 확장과 정확성의 증가에 기인한 바도 있지만 환경적 요인을 시사하는 또 다른 근거가 될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ssociation AP.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 

  2. Volkmar FR, Lord C, Bailey A, Schultz RT. Klin A.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4;45:135-170. 

  3. Lotter V. Epidemiology of autistic conditions in young children.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1967;1:124-135. 

  4. Fombonne E. Epidemiological surveys of autism and other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an update. J Autism Dev Disord 2003;33:365-382. 

  5. Rutter M. Incid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Changes over time and their meaning. Acta Paediatr 2005;94:2-15. 

  6. Kolevzon A, Gross R, Reichenberg A. Prenatal and Perinatal Risk Factors for Autism: A Review and Integration of Findings. Arch Pediatr Adolesc Med 2007;161:326-333. 

  7. Larsson HJ, Eaton WW, Madsen KM, Vestergaard M, Olesen AV, Agerbo E, et al. Risk factors for autism: perinatal factors, parental psychiatric history, and socioeconomic status. Am J Epidemiol 2005;161:916-925; discussion 926-918. 

  8. Kim SK, Kim OK. Korean Vineland Social Maturity Scale. Seoul: ChungAng Jeokseong Press;2002. 

  9. Kim JH, Shin MS. A study of reliability and validility for the Korean version of Asperger Syndrome Diagnostic Scale. Kor J Child Adolesc Psychiatry 2005;16:98-105. 

  10. Yoo HJ. Korean Version of Autism Diagnostic Interview-Revised (ADI-R). Seoul: Hakjisa;2007. 

  11. Yoo HJ, Kwak Y. Korean version of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 (ADOS). Seoul: Hakjisa;2007. 

  12. Park KS, Yoon JY, Park HJ, Kwon KO.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al Institute-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KEDI-WISC).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1992. 

  13. Roid GH, Miller LJ, Leiter RG. Leiter International Performance Scale-Revised: examiners manual. Wood Dale: Stoelting; 1997. 

  14. Lee YJ, Lee JS, Yang OS. Research on Development of the Adaptive Behavior Scales for Young Children. Kor Soc Early Child Educ 1988;8:87-105. 

  15. Seo SJ. A Study of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Requestive Strategies, and Maternal Socialization Beliefs and Strategies. J Kor Open Assoc Early Child Educ 2006;11:287-310. 

  16. Kim YT, Kim KH, Yun HR, Kim HS.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oul: Special education Press;2003. 

  17. Kim YT, Seong TJ, Lee YK.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003. 

  18. Bea SY, Lim SS, Lee JH. Test of Problem Solving.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2000. 

  19. Bae SY, Lim SS, Lee JH, Chang HS. Manual for KOSECT.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2004. 

  20. Juul-Dam N, Townsend J, Courchesne E. Prenatal, perinatal, and neonatal factors in autism,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not otherwise specified, and the general population. Pediatrics 2001;107:e63. 

  21. Bolton PF, Murphy M, Macdonald H, Whitlock B, Pickles A. Rutter M. Obstetric complications in autism: consequences or causes of the condition?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7;36:272-281. 

  22. Maimburg RD, Vaeth M, Schendel DE, Bech BH, Olsen J, Thorsen P. Neonatal jaundice: a risk factor for infantile autism? Paediatr Perinat Epidemiol 2008;22:562-568. 

  23. Geier DA, Geier MR. A two-phased population epidemiological study of the safety of thimerosal-containing vaccines: a followup analysis. Med Sci Monit 2005;11:CR160-CR170. 

  24. Geier DA, Geier MR. An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himerosal on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reported following DTP and Hib vaccines in comparison to DTPH vaccine in the United States. J Toxicol Environ Health A 2006;69:1481-1495. 

  25. Glickman G. Circadian rhythms and sleep in children with autism. Neurosci Biobehav Rev;2009. 

  26. Richdale AL, Schreck KA. Sleep problem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prevalence, nature, & possible biopsychosocial aetiologies. Sleep Med Rev 2009;13:403-411. 

  27. Leonard H, de Klerk N, Bourke J, Bower C. Maternal health in pregnancy and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offspring: a population-based study. Ann Epidemiol 2006;16:448-454. 

  28. Hattori R, Desimaru M, Nagayama I, Inoue K. Autistic and developmental disorders after general anaesthetic delivery. Lancet 1991;337:1357-1358. 

  29. Rowlatt RJ. Effect of maternal diazepam on the newborn. Br Med J 1978;1:985. 

  30. Satomoto M, Satoh Y, Terui K, Miyao H, Takishima K, Ito M, et al. Neonatal exposure to sevoflurane induces abnormal social behaviors and deficits in fear conditioning in mice. Anesthesiology 2009;110:628-6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