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뽕잎발효차 제조에 따른 유효성분 분석과 품질특성
Analyses of Active Componen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Manufacturing of Fermented Mulberry Leaf (Morus alba) T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6, 2010년, pp.859 - 863  

배만종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약리학과) ,  예은주 ((재)경북테크노파크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명자원특화센터 효능검증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 개발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새로운 제품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의 유효성분을 분석하고 제품의 품질특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뽕잎발효차가 4,022.82 mg/100 g, 뽕잎차가 3,932.32 mg/100 g으로 두 시료의 함량은 비슷하였고 녹차 및 황차에 함유된 양과 비슷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타민 C는 두 시료 모두 미량으로 분석되었다. 카페인의 함량은 뽕잎차가 5.68 mg/100 g, 뽕잎발효차가 21.11 mg/100 g으로 두 시료 모두 미량으로 분석되었다.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의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 색도 측정 시 a(적색도)값은 시료 간에 차이가 미미하였고, b(황색도)값은 뽕잎차가 뽕잎발효차보다 높았으며, L(명도)값은 뽕잎발효차가 뽕잎차보다 낮았다.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두 시료 모두 쓴맛과 떫은맛이 적었으며 뽕잎발효차가 구수한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발효를 통한 생리 활성 물질의 변화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제품개발에 응용하고 대중적인 면을 좀 더 개선한다면 새로운 기능성소재 및 제품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mulberry leaf tea (MLT) and fermented mulberry leaf tea (FMLT). The concentrations of polyphenols were approximate in FMLT and MLT, with measurements of 4,022.82 mg/100 g and 3,932.32 mg/100 g, resp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카페인은 커피, 차 음료, 의약품 등에 광범위하게 함유되어 있는 xanthine계 화합물로서(27,28),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를 자극하는 작용이 있어 적당량을 섭취하면 신경활동이 활발해지고 피로가 경감하는 효과가 있으나 과잉으로 섭취하면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신경과민, 흥분, 불면 등을 유발하고 내분비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27).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뽕잎차와 뽕잎발효차의 카페인 함량을 분석하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기호식품의 카페인 함량과 비교해 보았다. 카페인 함량은 Table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뽕잎차는 5.
  •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 개발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새로운 제품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의 유효성분을 분석하고 제품의 품질특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뽕잎발효차가 4,022.
  • 그 외 혈액 유동성 향상, 중금속의 흡착과 해독효과, 암 발생 억제, 노화억제(14) 및 뽕잎의 항산화효과 관련 연구결과가 보고(15)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차와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의 유용성분을 분석하고 품질평가를 통하여 기능성 소재 및 새로운 제품 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뽕나무의 어떤 부산물이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가? 이러한 뽕나무(Morus alba L.)는(1) 전통적으로 뽕잎뿐만 아니라, 뿌리, 글피, 어린가지, 글피의 액즙, 잎의 흰 액즙 및 열매와 같은 부산물이 사용되고 뽕잎, 상백피, 오디의 생리활성은 이미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뽕잎에는 25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의 함량이 많아서 숙취를 없애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뽕잎에 존재하는 성분 중 휘발성 성분은? 뽕잎에는 25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의 함량이 많아서 숙취를 없애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뽕잎에 존재하는 성분은 크게 휘발성 성분과 비휘발성 성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휘발성 성분으로는 guaiacol, eugenol, methy salicylate, benzaldehyde 및 phenylacetaldehyde(3) 등이 있으며, 비휘발성 성분은 rutin(4), quercetin(5), isoquercetin(6) 등의 flavonoid 화합물들이 있다. 이중 rutin은 인체 내 모세혈관 강화작용과 수축작용을 나타내는 순환계 질환 치료제(7)와 항당뇨 활성제(8) 및 혈압 강하제(9)로 이용되고 있다.
뽕잎에 존재하는 성분 중 rutin은 어떤 것으로 이용되고 있는가? 뽕잎에 존재하는 성분은 크게 휘발성 성분과 비휘발성 성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휘발성 성분으로는 guaiacol, eugenol, methy salicylate, benzaldehyde 및 phenylacetaldehyde(3) 등이 있으며, 비휘발성 성분은 rutin(4), quercetin(5), isoquercetin(6) 등의 flavonoid 화합물들이 있다. 이중 rutin은 인체 내 모세혈관 강화작용과 수축작용을 나타내는 순환계 질환 치료제(7)와 항당뇨 활성제(8) 및 혈압 강하제(9)로 이용되고 있다. 뽕잎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piperidin계 alkaloid 화합물의 분리, 대표적인 지표물질의 구조규명[1-deoxynojirimycin(DNJ), N-methyl-1-deoxynojirimycin 등]과 γ-aminobutyric acid(GABA)(10) 및 flavonoid 화합물(11)의 혈압강하 효과에 관한 것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ong UI. 2000. Medicinal Plant Experiment Station of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in Gyeongbuk, Korea. Illustrated Book of Medicinal Plants. Dongamunhwasa, Seoul, Korea. p 120. 

  2. Lee JR, Hah YJ, Lee JW, Song YM, Jin SK, Kim IS, HahKH, Kwak SJ. 200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emulsified sausages containing mulberry and persimmon leaf powde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330-336. 

  3. Kim HB, Kim AJ, Kim SY. 2003. The analysis of functional materials in mulberry fruit and feed product development trends. Food Sci Industry 36: 49-60. 

  4. Naitoh K. 1968. Studies on the micro constituent in mulberry leaves part 2. Isolation of rutin and quercetin from mulberry leaves. Nippon Nogei Kagaku Kaishi 42: 422-425. 

  5. Kim JS, Kang SS, Lee MW, Kim OK. 1995. Isolation of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Aralia concinentails. KoreanJ Phamacign 26: 239-243. 

  6. Onogi A, Osawa K, Yasuda H, Sakai A, Morita H, TokawaH. 1993. Flavonol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Morus alba. Shoyakugaku Zasshi 47: 423-425. 

  7. Makam KR. 1989. Methods in plant biochemistry in flavone. Flavonols and Their Glycosides 1: 197-235. 

  8. Hong ND, Rho YS, Won DH, Kim NJ, Cho BS. 1987. Studies on the anti-diabetic activity of Eucommia ulmoides oliver.Korean J Pharmacogn 18: 112-117. 

  9. Hong ND, Kim JW, Won DH, Kim NJ, Cho BS. 1988. Studies on the general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Eucommia ulmoides oliver. Korean J Pharmacogn 19: 84. 

  10. Bang HS, Lee WC, Chon HR, Choi YC, Kim HB. 1998.Varietal comparison of γ-aminobutyric acid content in mulberryroot bark. Korean J Seric Sci 40: 13-16. 

  11. Kim SY, Gao JJ, Lee WC, Ryu KS, Lee KR, Kim YC. 1999.Antioxidative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Morus alba.Arch Pharm Res 22: 81-85. 

  12. Omori M, Yano T, Okamoto J, Tsushida T, Murai T, HiguchiM. 1987. Effect of anaerobically treated tea (Gabaron tea) on blood pressure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Nippon Nigeikagaki Kaishi 61: 1449-1451. 

  13. Tews JK. 1981. Dietary GABA decreases body weight of genetically obese mice. Life Sci 29: 2535-2542. 

  14. Kimura M, Chen F, Nakashimqa N, Kimura I, Asano N,Koya S. 1995. Anti hyperglycemic effect of N-containing sugars delivered from mulberry leav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J Tradit Med 12: 214-219. 

  15. Yen GC, Wu SC, Duh PD. 1996.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nents from the leaves of mulberry (Morus alba L.). J Biol Chem 261: 12879-12882. 

  16.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7. 한국식품공업협회. 2008. 식품공전. 문영사, 서울, 한국. p959-960. 

  18. Yoon MH, Lee MJ, Hwang SI, Moon SK. 2001. A evaluation of the caffeine contents in commercial foods. J Fd HygSafety 16: 295-299. 

  19. Park BH, Back KY, Lee SI, Kim SD. 2008. Quality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Cudrania ticuspidata leaves tea. Korean J Food Preserv 15: 461-468. 

  20. Bae KS, Sohn KH, Moon SJ. 1984. Structure and textural property of Mook.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185-191. 

  21.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test. Biometics11: 1-42. 

  22. Choi HD, Hoh YJ, Kim YS, Choi IW, Cha DS. 2007.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leaves by roasting treatment.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15-520. 

  23. Jo KH, Pae YR, Yang EJ, Park EJ, Ma SJ, Park SP, ChungDO, Jung ST. 2006. Major constituents and bioactivities of tea products by various manufacturing. Korean J FoodPreserv 13: 596-602. 

  24. Lim MJ. 2005. Physiological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orus alba leaf tea. MS Thesis. Jinju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p 11-24. 

  25. Chung YH, Shin MK. 2005. A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eas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18: 94-101. 

  26. Choi OJ, Choi KH. 2003.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wild tea (green tea, semi fermented tea, and black tea)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J Korean SocFood Sci Nutr 32: 356-362. 

  27. Tonychou MD. 1992. Wake up and smell the coffee-caffeine, coffee and the medical consequence. West J Med 157: 544-553. 

  28. Lelo A, Niner JO, Robson R, Birkett DJ. 1986. Assesment of caffeine exposure: caffeine content of beverages, caffeine intake,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methylxanthines. Clin Pharmacol Ther 39: 54-59. 

  29. Hong JG, Yang CS. 2006. Effect of purified green tea catechins on cytosolic phospholipase A2 and arachidonic acid release in human gastrointestinal cancer cell lines. Food Sci Biotechnol 15: 799-804. 

  30. Cho EJ, Hwang CH, Tang MO. 2007. Change in free amino acids and sensory evaluation of fermented tea (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rmentation.J East Asian Dietary Life 17: 911-9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