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 서지정보의 한중일 로마자표기법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연구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with CJK Romanization in the OCLC WorldCat System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27 no.2 = no.76, 2010년, pp.95 - 115  

하유진 (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at Clar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이용자가 한중일 언어의 음역 표기된 도서관 서지정보를 어떻게 이해하고 평가하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용자조사와 실험이 각각 실행되었고, OCLC의 WorldCat시스템이 실험도구로 사용되었다. 조사결과 로마법표기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어 이용자가 음역화된 문장을 이해하기가 어려웠던 것으로 분석되었고, 심지어 음역서지목록에 익숙한 이용자도 자국어의 목록임에도 불구하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나타냈다. 실험결과 또한 이러한 조사 결과를 입증했다. 이용자가 음역화된 자국언어로 된 자료를 찾을 경우보다 영어로 기술된 자료를 찾을 때 더 나은 검색 결과와 만족도를 보였다. 향후 번역된 서지정보와 음역화된 서지정보 중 이용자가 어느것을 더 선호하는지 비교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한중일 로마법 표기의 서지정보에 영어번역을 병렬하는 것을 고려해야 함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individuals assess Chinese, Japanese, and Korean (CJK) transliterated bibliographic information on current library catalogs. Two separate studies, a survey and an experiment, were conducted using the WorldCat system. Users noted that Romanization has m...

주제어

참고문헌 (20)

  1. Arsenault, Clement. 2002. “Pinyin romanization for OPAC retrieval ? Is everyone being serv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21(2): 45-50. 

  2. Bossmeyer, Cristine, Willian R. H. Koops, and Stephen W. Massil. Ed. 1987. Automated Systems for Access to Multilingual and Multiscript Library Materials: Problems and Solutions. Paper presented at the Pre-Conference held at Nihon Daigaku Kaikan, IFLA, August 21-22, 1986, in Tokyo, Japan. 

  3. Gao, Mobo C. F. 2000. Mandarin Chinese: An Introduction. Victoria: Oxford University Press 

  4. Ha, YooJin. 2008. Accessing and Using Multilanguage Information by Users Searching in Different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Ph. D. diss., Rutgers University. 

  5. Jeong, Wooseob. 1998. “A pilot study of OCLC CJK plus as OPAC.”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0(3): 271-292. 

  6. Kim, Kyongsok. 1999. “Standardizing romanization of korean hangeul and hanmal.” Computer Standards Interfaces, 21(5): 441-459. 

  7. Kudo, Yoko. 2010. “A study of romanization practice for japanese language titles in oclc world- cat record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8(4): 279-302. 

  8. Linden, Krister. 2006. “Multilingual modeling of cross-lingual spelling variants.” Information Retrieval, 9(3): 295-310. 

  9. Oard, Douglas W. and Anne R. Diekema. 1998. “Cross language information retrieval.” In Annual Review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RIST), 33: 223-256. 

  10. Oh, Jong-Hoon, Key-Sun Choi, and Hitoshi Isahara. 2006. “A comparison of different machine transliteration models.” Journ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27: 119-151. 

  11. Park, Jung-ran. 2001. “Information retrieval of Korean materials using the CJK bibliographic system: Issues and problems.” In Proceedings of the Second KSAABiennial Conference: Korean Studies at the Dawn of the Millennium, 245-255. 

  12. Shaker, A. K. 2002. Bibliographic Access to Non-Roman Scripts in Library OPACs: A Study of Selected ARL Academic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Ph. D. diss., University of Pittsburgh. 

  13. Shin, Hee-sook. 2003. “Quality of Korean cataloging records in shared database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6(1): 55-90. 

  14.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Taylor, Insup, and M. Martin Taylor. 1995. Writing and Literacy in Chinese, Korean and Japanese. Philadelphia: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6. Wang, Andrew H. 2007. OCLC update. OCLC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Inc. [cited May 10, 2008] . 

  17. Zeng, Lei. 1992. An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Chinese-Language Records in the OCLC OLUC Database and the Study of a Rule-Based Data Validation System for Online Chinese Cataloging. Ph. D. diss., University of Pittsburgh. 

  18. Zeng, Lei. 1991. “Automation of bibliographic control for Chinese materials in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Library Review, 23: 299-319. 

  19. Zhang, Foster and Marcia Lei Zeng. 1998. “Multiscript information processing on crossroads: Demands for shifting from diverse character code sets to the UnicodeTM Standard in library applications.” IFLA Journal, 25(3): 162-167. 

  20. Zhu, Xiaojin. 2001. “Chinese languages: Mandarin.” In Garry, J. and C. Rubino (Eds.). Facts about the World’s Languages: An Encyclopedia of the World’s Major Languages, Past and Present. 146-150. New York: H.W. Wilson Compan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