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자의 위험요인 인식 및 관련요인
The Awareness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Its Correlate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2 no.5, 2010년, pp.499 - 508  

양인숙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과) ,  최동훈 (연세대학교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 ,  강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Cardiovascular risk factor modification is important for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to prevent poor progression of the disease. Without an understanding and an awareness of risk factors,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re not able to reduce their risk by the lifestyle mo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의 위험요인 인식을규명하고, 위험요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대상자 중심의 체계적인 관상동맥질환 대상자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 20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위험요인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99로 나타났다(Cohen, 1988). 따라서 본 연구의 표본크기는 연구변수들 간의 실질적인 관계를 통계적으로 확인하는데 충분하며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뒷받침한다.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위험요인 인식과 위험요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내 소재하고 있는 3개 대학병원의 외래에서 추후관리를 받고 있는 관상동맥질환자 21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의 위험요인 인식과 위험요인인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설계를 활용한 탐색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관상동맥질환자의 위험요인 인식을 규명하고, 위험요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늘날 관상동맥질환이 증가하는 배경은 무엇인가? 오늘날 의학과 건강과학의 급진적인 발달에도 불구하고서구화된 생활양식의 변화, 스트레스의 증가 및 만성적인운동 부족 등의 건강 관련 요인으로 관상동맥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 관상동맥질환의 치료법으로 관상동맥중재술이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 시술의 성공여부는 위험요인의 수정에 의해 결정된다(Fer-nandez, Salamonson, Griffiths, Juergens, & Davidson, 2008).
관상동맥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은 무엇인가? 관상동맥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가족력, 흡연, 고지혈증, 고혈압, 운동부족, 비만, 당뇨병이 있으며 스트레스, 음주, 식습관 역시 관상동맥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7; 2009). 대상자가 자신의 가역적인 위험요인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체중감소, 식습관의 변화, 규칙적인운동, 금연 및 꾸준한 약물복용과 같은 생활양식 변화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안다면 지속적인 건강행위가 가능하며(Sol, van der Graaf, van der Bijl, Goessens, & Visseren, 2008) 이는 관상동맥질환의 발병, 회복, 재발 및 건강유지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Yusuf et al.
관상동맥질환자의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또한 국내에서 관상동맥질환자의 위험요인과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위험요인의 차이(Jam, Kim, & Lee, 2008), 직무 스트레스와 위험요인과의 관계(Cho, Kim, & Byun, 2006), 위험요인과 질병지식 및 건강행위 이행과의 관계(Jeong, 2001)에 대한 연구로 그쳐 관상동맥질환자자신의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정도를 확인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국외 몇몇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연령, 인종, 교육정도, 가족형태, 흡연, 규칙적이고 적절한 운동 등과 같은 인구학적, 질병 관련 특성이 대상자의 위험요인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Khan et al., 2006; Saeed et al., 2009) 국내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위험요인과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대상자 특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규명한 결과를 바탕으로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 감소를 위한 맞춤형 교육적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7). Know the Facts, Get the Stats 2007. Retrieved March 16, 2010,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Web site: http://www.americanheart.org/downloadable/heart/116861545709855-1041%20KnowTheFactsStats07_loRes.pdf 

  2.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9). Risk Factors and Coronary Heart Disease. Retrieved March 16, 2010,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Web site: http://www.americanheart.org/presenter.jhtml?identifier4726 

  3. Canter, D. L., Atkins, M. D., McNeal, C. J., & Bush, R. L. (2009). Risk factor treatment in veteran women at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e Journal of Surgical Research, 157(2), 175-180. 

  4. Charlson, M. E., Pompei, P., Ales, K. L., & MacKenzie, C. R. (1987). A new method of classifying prognostic comorbidity in longitudinal studi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hronic Disease, 40 (5), 373-383. 

  5. Cho, J. J., Kim J. Y., & Byun, J. S. (2006). Occupational stress on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s and metabolic syndrome.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Medicine, 18 (3), 209-220. 

  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7. Feizi, A., Kazemnejad, A., Babaee, G., Parsayekta, Z., & Monjamed, Z. (2010). Public awareness of risk factors for cancer and its determinants in an Iranian population. Asia-Pacific Journal of Public Health, 22 (1), 76-88. 

  8. Fernandez, R. S., Salamonson, Y., Griffiths, R., Juergens, C., & Davidson, P. (2008). Awareness of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following interventional cardiology procedures: A key concern for nursing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4 (6), 435-442. 

  9. Fleury, J., & Sedikides, C. (2007). Wellness motivation in cardiac rehabilitation: The role of self-knowledge in cardiovascular risk modificatio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0 (4), 373-384. 

  10. Geiss, L. S., James, C., Gregg, E. W., Albright, A., Williamson, D. F., & Cowie, C. C. (2010). Diabetes risk reduction behaviors among U.S. adults with prediabete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8 (4), 403-409. 

  11. Jafary, F. H., Aslam, F., Mahmud, H., Waheed, A., Shakir, M., Afzal, A., et al. (2005). Cardiovascular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in patient attendants at four tertiary care hospitals in Pakistan-a cause for concern. BMC Public Health, 25 (5), 124-132. 

  12. Jam, O. K., Kim, B. J., & Lee, Y. A. (2008).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ccording to socioeconomic factors among low-income midlife women.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2 (1), 27-38. 

  13. Jeong, H. S. (2001). Disease-related knowledge level and compliance of health behavior in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According to the atherosclerotic risk facto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3 (4), 529-538. 

  14. Karthik, S., Tahir, N., Thakur, B., & Nair, U. (2006). Risk factor awareness and secondary prevention of coronary artery disease: Are we doing enough? Interactive CardioVascular and Thoracic Surgery, 5 (3), 268-271. 

  15. Karimi, A., Ahmadi, H., Davoodi, S., Movahedi, N., Marzban, M., Abbasi, K., et al. (2008). Factors affecting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in isolated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Surgical Today, 38 (10), 890-898. 

  16. Khan, M. S., Jafary, F. H., Jafar, T. H., Faruqui, A. M., Rasool, S. I., Hatcher, J., et al. (2006). Knowledge of modifiable risk factors of heart disease among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Karachi, Pakistan: A cross sectional study. BMC Cardiovascular Disorders, 6 (1), 18-26. 

  1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Cause of Mortality. Retrieved April 27, 2010, from the Statistics Korea Web site: http://kosis.kr/nsp/abroad/abroad_01List.Jsp 

  18. Lange, J., Evans-Benard, S., Cooper, J., Fahey, E., Kalapos, M., Tice, D., et al. (2009). Puerto Rican women's perceptions of heart disease risk. Clinical Nursing Research, 18 (4), 291-306. 

  19. Lisspers, J., Sundin, O., Ohman, A., Hofman-Bang, C., Ryden, L., & Nygren, A. (2005). Long-term effects of lifestyle behavior change in coronary artery disease: Effects on recurrent coronary event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Health Psychology, 24 (1), 41-48. 

  20. Oliver-McNeil, S., & Artinian, N. T. (2002). Women's perceptions of personal cardiovascular risk and their risk-reducing behavior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1 (3), 221-227. 

  21. Pallant, J. (2007). SPSS survival manual: A step by step guide to data analysis using SPSS for windows (3rd ed.). New York: McGraw-Hill. 

  22. Saeed, O., Gupta, V., Dhawan, N., Streja, L., Shin, J. S., Ku, M., et al. (2009). Knowledge of modifiable risk factors of Coronary Atherosclerotic Heart Disease (CASHD) among a sample in India. BMC International Health and Human Rights, 9 (2), 2-7. 

  23. Sol, B. G., van der Graaf, Y., van der Bijl, J. J., Goessens, B. M., & Visseren, F. L.,(2008). The role of self-efficacy in vascular risk factor managemen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71 (2), 191-197. 

  24. World Health Organisation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Australia: Health Communications. 

  25. Yusuf, S., Hawken, S., Ounpuu, S., Dans, T., Avezum, A., Lanas, F., et al. (2004). Effect of potentially modifiabl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yocardial infarction in 52 countries(the INTERHEART study): Case-control study. Lancet, 364 (9438), 937-9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