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흡곤란환자 간호의 실습교육평가에서 Multi-mode와 SimMan(R) 시뮬레이션 활용 비교
Comparison of Multi-Mode Simulation and SimMan(R) Simulation on Evaluation of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Dyspnea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6 no.1, 2010년, pp.51 - 60  

이숙정 (적십자간호대학) ,  노영숙 (적십자간호대학) ,  김주옥 (적십자간호대학) ,  장기인 (적십자간호대학) ,  류언나 (적십자간호대학) ,  박영미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nursing simulations between multi-mode simulation and $SimMan^{(R)}$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nursing competency, satisfaction, and simulation participation experience in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dyspnea. Meth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Multi-mode와 SimMan 시뮬레이션으로 실습평가를 한 후 두 그룹 간 결과를 비교한 연구이다.
  • Multi-mode 시뮬레이션 그룹에서의 간호중재가 높은 것은 간호학생이 표준화환자와의 관계에서 더 현실감을 느끼면서 수기는 SimMan 보다 단순한 Vital- Sim에게 하므로 안정적인 상태에서 직접 수행을 더 잘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뮬레이션 활용 시 고비용이 발생하는 high fidelity나 비용부담이 적은 medium fidelity의 간호수행능력 측면에 대한 교육적 가치는 유사함을 뒷받침 한다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Multi-mode와 SimMan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호흡곤란환자 간호 실습교육 평가 후 그 결과를 비교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교에서는 반복 연습의 일환으로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기간 동안 임상실습과 동시에 학내 open-lab에서 호흡곤란 환자모듈에 근거하여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자가실습을 하게 한 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평가를 하였다. 환자 시뮬레이터(SimMan) 활용과 표준화환자와 Vital Sim(순환, 호흡기 문제를 사정할 수 있는 전신마네킹)을 융합한 Multi-mode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교수들이 평가한 간호수행능력, 학생들이 평가한 시뮬레이션 활용평가 만족도와 시뮬레이션 활용평가 참여경험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인간호학 임상실습에 간호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임상실습을 하는 학생들은 예측할 수 없는 임상환경에서 대상자의 요구에 반응하는 것에 스트레스를 받으며(Nahas & Yam, 2001), 실습과정에서 자존감 저하, 부담감을 경험한다고 하였다(박정원, 하나선, 2003). 특히 호흡곤란상태와 같이 대상자의 호소가 심하고 순발력 있는 처치가 요구되는 경우 학생들의 부담감이 높으므로, 자신감을 가지고 안전하게 환자를 돌보기 위해서는 임상과 유사한 환경에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반복 연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임상실습교육의 역할은? 임상실습교육은 간호교육의 핵심적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간호실무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임상간호의 미래를 결정한다고 볼 수 있다(Gibbons, Adamo, Padden, & Ricciard, 2002). 이러한 실습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간호학생들은 임상실습 후에도 다양하고 복잡한 대상자들의 문제 상황에 잘 적응하지 못하거나 임상수행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양진주, 박미영, 2004).
간호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은? 임상실습교육은 간호교육의 핵심적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간호실무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임상간호의 미래를 결정한다고 볼 수 있다(Gibbons, Adamo, Padden, & Ricciard, 2002). 이러한 실습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간호학생들은 임상실습 후에도 다양하고 복잡한 대상자들의 문제 상황에 잘 적응하지 못하거나 임상수행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양진주, 박미영, 2004). 간호학생의 임상실습효과가 극대화 되지 않는데는 상황적으로 인간의 기본권이 강조되면서 실무능력이 서투른 학생들의 직접적인 실기가 어려운 실정이고, 동시에 임상에서 접한 다양한 특수 장비나 중재를 학생들 스스로 자신있게 수행하기 위한 현장의 면대면 지도 이외의 반복 연습 프로그램이 부족(양진주, 2006)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지윤, 최은영 (2008). 시뮬레이션 실습이 접목된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간호학생의 PBL 학습요소별 인식과 학업성취도. 성인간호학회지, 20(5), 731-742. 

  2. 박정원, 하나선 (2003). 간호학생의 임상실습경험. 정신간호학회지, 12(1), 27-35. 

  3. 양진주, 박미영 (2004).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0(2), 271-277. 

  4. 양진주 (2006). 웹기반 인공호흡기 실무 멀티미디어 컨텐츠 학습이 학호학생의 지식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18(4), 231-239. 

  5. 양진주 (2008).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20(4), 548-560. 

  6. 엄미란, 김현숙, 김은경, 성가연 (2010).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이 피하주사 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0(2), 151-160. 

  7. 이선옥, 엄미란, 이주희 (2007). 시뮬레이션 교육의 간호학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 90-94. 

  8. 이여진, 임난영, 이은희, 한혜자, 김주현, 손행미, 박영숙, 강현숙, 조경숙, 김동옥, 권성복, 이인옥 (2007).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관절질환 간호사정 실습교육의 평가. 근관절건강학회지, 14(2), 137-148. 

  9. 이우숙, 조갑출, 양선희, 노영숙, 이규영 (2009). 시뮬레이션 연계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기본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6(1), 64-72. 

  10. 이주희, 김소선, 여기선, 조수진, 김현례 (2009). 일 대학 간호 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2), 183-193. 

  11. 주민선, 황윤영, 박창승 (2006).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모듈개발 및 적용 -Simman을 중심으로-. 기본간호학회지, 13(2), 182-189. 

  12. 최자윤, 장금성, 최순희, 홍미순 (2008). 호흡기계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간호대 학생의 임상수행능력평가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대한간호학회지, 38(1), 83-91. 

  13. 현경선, 강현숙, 김원옥, 박선희, 이지아, 석소현 (2009). 표준 화 환자를 활용한 당뇨식이교육 동영상학습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9(2), 249-358. 

  14. Alinier, G., Hunt, B., Gordon, R., & Harwood, C. (2006). Effectiveness of intermediate-fidelity simulation training technology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J Adv Nurs, 54(3), 359-369. 

  15. Becker, K. L., Rose, L. E., Berg, J. B., Park, H., & Shatzer, J. H. (2006). The teaching effectiveness of standardized patients. J Nurs Educ, 45(4), 103-111. 

  16. Bremner, M. N., Aduddell, K., Bennett, D. N. & VanGeest, J. B. (2006). The use of human patient simulators: best practices with novice nursing students. Nurse Educ, 31(4), 170-174. 

  17. Chant, S., Jenkinson, T., Randle, J., & Russell, G. (2002). Communication skills: some problems in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J Clin Nurs, 11(1), 12-21. 

  18. Gibbons, S. W., Adamo, G., Padden, D., & Ricciard, R. (2002). Clinical evaluation in advanced practice nursing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health assessment. J Nurs Educ, 41(5), 215-221. 

  19. Harder, B. N. (2010). Use of simul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in health sciences: A systematic review. J Nurs Educ, 49(1), 23-28. 

  20. Hatala, R., Issenberg, S. B., Kassen, B., Cole, G., Bacchus, C. M., & Scalese, R. J. (2008). Assessing cardiac physical examination skills using simulation technology and real patients: a comparison study. Med Educ, 42(6), 628-636. 

  21. Jeffries, P. (2007).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New York: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2. Kardong-Edgren, S., Lungstrom, N., & Bendel, R. (2009). VitalSim $^{\circledR}$ versus SimMan $^{\circledR}$ : a comparison of BSN student test scores, knowledge retention, and satisfac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5(3), e105-111. 

  23. Kneebone, R., Kidd, J., Nestel, D., Asvall, S., Paraskeva, P., & Darzi, A. (2002). An innovative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clinical procedures. Med Educ, 36(7), 628-634. 

  24. McGaghie, W. C., Issenberg, S. B., Petrusa, E. R., & Scalese, R. J. (2010). A critical review of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research: 2003-2009. Med Educ, 44(1), 50-63. 

  25. Nahas, V. L., & Yam, M. C. (2001). Hong Kong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effective clinical teachers. J Nurs Educ, 40(5), 233-237. 

  26. Rosen, K. R., McBride, J. M., & Drake, R. L. (2009). The use of simulation in medical education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baseic science. Med Teacher, 31(9), 842-845. 

  27. Scherer, Y. K., Bruce, S. A., Graves, B. T., & Erdley, W. S. (2003). Acute care nurse practitioner education: Enhancing performance through the use of clinical simulation. AACN Clin Issues, 14(3), 331-341. 

  28. Schoening, A. M., Sittner, B. J., & Todd, M. J. (2006). Simulated clinical experience: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and the educators' role. Nurs Educ, 31(6), 253-258. 

  29. Sleeper, J. A., & Thompson, C. (2008). The use of hi fidelity simulation to enhance nursing students'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Int J Nurs Educ Scholarsh, 5(1), 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