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폐암(肺癌)의 한방치료 임상연구 방법론
Clinical research methodology for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of lung cancer : Evidence-based approach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3 no.4, 2010년, pp.39 - 62  

김경석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한방내과) ,  김세현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동서의학과) ,  어완규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혈액종양내과) ,  전성하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혈액종양내과) ,  엄석기 (광혜원한방병원) ,  조학준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 I investigated clinical research methodology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for treatment of lung cancer with Evidence Based Medicine(EBM) approach. Methods : I conducted the internet search of National Central Library,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은 어떠한 질환인가? 암은 근래들어 발생율과 유병율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뇌혈관 질환이나 심장 질환을 누르고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질환이다.
폐암의 특징은 무엇인가? 그 중 폐암은 한국인 암발생율에서는 3위지만 사망률은 1위인 질병으로1), 다른 암종에 비해 조기 진단이 힘들어 대부분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치료를 한다하여도 장기 생존이 힘든 암이다.
기술(descriptive)연구와 분석 (analytic)연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임상연구는 크게 기술(descriptive)연구와 분석 (analytic)연구로 구분된다. 기술연구는 주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인구집단, 중재(노출, 예후인자), 결과 등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기술한다. 증례보고(case report), 증례군 연구(case series report), 전문가의견 등을 말하며2), 비뚤림이 개입될 여지가 높아 근거의 수준은 분석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한편, 분석연구는 중재(intervention)의 개입 유무에 따라, 실험적 연구(experimental study)와 관찰연구 (observational study)로 나뉘는데, 증례 보고(case report), 증례군 연구(case series study), 단면조사 연구(cross-sectional study), 환자-대조군 연구 (case-control stidy), 코흐트 연구(cohort study) 등은 관찰연구에 해당되며, 실험적 연구는 연구 설계에 따라 평행설계(parallel design), 교차설계(crossover design), 기타 변형 설계 등으로 나뉜다.(표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2)

  1. 대한 내과학회. 해리슨 내과학 16판. MIP. 2006. 1. pp.546-559. 

  2. 박재갑, 박찬일, 김노경. 종양학. 일조각. 2003. pp.284-325. 

  3. David L. Sackett, Sharon E. Straus, W. Scott Richardson 외 共著. 안형식, 배희준, 이영미, 박형준 共譯. 근거중심의학. 아카데미아, 2004. pp.141-143. 

  4. 강락원, 홍현우, 신우진, 김지윤, 김재연, 이성도 외. 길경수용액 추출물에 의한 인체 肺癌 세포의 성장억제 기전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 spr(1). pp.62-72. 

  5. 곽정진, 이강령, 최창원, 이영수, 김희철, 김종석. 脾肺陽虛 폐암환자 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2. 23(3). pp.486-496. 

  6. 김민경, 이진수, 이상헌, 정현식, 최원철, 김경석. 쑥뜸 치료로 호전된 비소세포성폐암 환자의 암성 통증 1례. 대한암한의학회지. 2009. 14(1). pp.53-59. 

  7. 김재연, 김지윤, 김기탁, 이성도, 감철우, 박동일. 폐암 환자 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5. aut(1). pp.144-152. 

  8. 김정근, 김종원, 배한호, 조충식, 박형선. 폐암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호흡곤란과 해수 호전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5. spr(1). pp.255-261. 

  9. 김진영, 김현중, 정광식, 박 철, 최영현, 감철우, 박동일. A539 및 NCI-H460인체 肺癌 세포의 증식 및 apoptosis 유도에 미치는 가미삼기보폐탕의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 29(1). pp.130-148. 

  10. 나동규, 김병탁. 폐옹(肺癰)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8. 13. pp.775-782. 

  11. 박봉기, 유화승, 이연월, 한성수, 조정효, 손창규, 조종관. 수레바퀴 암치료법을 시행한 폐암환자에 대한 후향적 코흐트 분석.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 30(1). pp.233-240. 

  12. 박봉기, 조종관, 권기록, 유화승. 6개월간 산삼약침요법을 시행받은 IIIB기 편평세포폐암 환자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약침학회지. 2007. 10(3). pp.143-147. 

  13. 박정섭, 이시형, 임영남, 정기용, 전찬용, 박종형, 김동우. 제한병기 소세포폐암 환자의 치험례 임상보고.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5. 26(3). pp.677-684. 

  14. 박정희, 김병탁, 김성훈. 폐암의 한의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995. 16(1). pp.71-95. 

  15. 방대건, 류봉하, 김진성. 시험관내 肺癌, 胃癌 및 神經膠腫 세포에 대한 石雄黃의 抗癌效果.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 28(2). pp.294-303. 

  16. 방선휘, 귄기록, 유화승. 산삼약침 혈맥주입을 시행한 비소세포성폐암 환자 2례. 대한약침학회지. 2008. 11(2). pp.13-19. 

  17. 배기채, 김성훈. 폐암의 변증과 치방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7. pp.243-264. 

  18. 손지영, 최규호, 유효정, 김희준, 구자환, 박미연, 최해윤, 김종대. 호흡곤란을 주소로 한 폐암환자의 한방치료 증례보고.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 30(1). pp.233-240. 

  19. 오태환. 폐암에 관한 동서의학적 문헌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991. 12(2). pp.52-65. 

  20. 유승민, 어완규, 윤성우. 알러젠 제거 옻나무 추출물 투여로 삶의 질 개선과 생존기간 연장을 보인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1례. 대한암한의학회지. 2008. 13. pp.63-69. 

  21. 유승후, 유화승, 조종관, 이연월. 항암단을 투여한 재발성 편평상피폐암 환자에 대한 7년간의 추적 보고.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 28(2). pp.385-390. 

  22. 이동건, 오태환, 정승기, 이형구. 폐옹의 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992. 13(1). pp.9-22. 

  23. 이병호, 원진희, 김동웅, 이종덕, 문구. 폐암 세포주 H-157에서 가감증액탕과 As2O3의 병용처리에 의한 항종양 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04. 25(3). pp.191-202. 

  24. 이선행, 이진수, 정현식, 최원철, 김경석. 반하백출천마탕 가감방을 투여하여 비소세포성폐암의 뇌전이에 의한 두통이 호전된 1례. 대한암한의학회지. 2009. 14(1). pp.45-52. 

  25. 이승언, 홍재의, 이시형, 신조영, 노승석. 肺癌 세포주 H460에 補中益氣湯이 미치는 세포괴사 효과 및 기전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 24(4). pp.278-88. 

  26. 이충섭, 정희재, 신순식, 정승기, 이형구. 가감길경탕이 인체 폐암세포의 증식 및 사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2. 23(1). pp.24-36. 

  27. 전종철, 강필구, 박동일, 최원철. 수종의 한약처방이 폐암세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 28(2). pp.321-332. 

  28. 정의민, 김혜미, 정종수, 이진수, 김경석, 윤성우. 알러젠 제거 옻나무 추출물 위주의 한방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한 폐암 환자 2례. 대한한의학회지. 2009. 30(5). pp.157-162. 

  29. 최재호, 유화승, 손창규, 조종관. 한약에 의한 소세포성 폐암의 퇴축; 8년간의 추적조사를 통한 증례 보고. 대한암한의학회지. 2005. 10(1). pp.87-91. 

  30. 한재수, 권혁성, 정승기, 이형구. 肺積 肺癰 肺疽 肺癌에 關한 文獻的 考察;原因.症狀 中心으로. 대한한의학회지. 1994. 15(1). pp.26-35. 

  31. 허태율, 김기탁, 변미권, 김진영, 심성흠, 김광록 외. 인체폐암세포 NCL-H460및 A549의 apoptosis 유발에 미치는 蔘?補肺湯의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 28(3). pp.473-491. 

  32. 황충연. 폐암의 동서의결합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995. 16(2). pp.177-194. 

  33. 박재석, 김희철. 丹蔘 추출액이 Urethane으로 유발된 생쥐의 폐암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 29(3). pp.595-607. 

  34. 서동진. 한의학의 연구방법론에 관한 고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1997. pp.14-26. 

  35. 최한수. 한의학 방법론에 관한 고찰.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36. 김광중. 한의학의 연구방법. 동서의학. 대구한의대. 1988. p.10, 12, 14. 

  37. 유병완, 정헌영, 이시형, 조은희, 금경수. 한의학연구방법론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8. 21(4) pp. 133-159. 

  38. Hwan Kim, Hee Jung Yoo, Yu Jin Kim, Oh Su Han, Kyoo Hyung Lee, Je Hwan Lee, Cheol Won Su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Functional Assessment Cancer Therapy-General (FACT-G).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3. 22(1). pp.215-229. 

  39. JaeHyun Park, Goo Moon. Brief review of cancer treatment focused on JIJU. J of Kor. Traditional Oncology. 2008. 13. pp.1-11. 

  40. Seok ki Eom . Disease recognition of tumor, bump or mass until Han Dynasty.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and Medical History. 2008. 21(2). pp.39-48. 

  41. Seok ki Eom, kyung-suk Kim . On estimation of indication, property and processing of Rhus Verniciflua Stokes.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and Medical History. 2008. 21(2). pp.29-37. 

  42. Back Sangryoung, Kim Saehyn. A study of guideline in writing a protocol of clinical trials in orient medicin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2002. 8(2). pp.37-46. 

  43. Andrew F. Long, B.A., M. Phil. Outcom e measurement i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npicking the effects.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2002. 8(6). pp.777-786. 

  44. Ramzi Dagher, John Johnson, Grant Williams, Patricia Keegan. Accelerated approval of oncology products: a decade of experience.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4. 96(20). pp.1500-1509. 

  45. Bradley C. Johnston, Edward Mills. N-of-1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 opportunity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evaluation.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2004. 10(6). pp.979-984. 

  46. Britton A, McPherson K, McKee M, Sanderson C, Black N, Brain C. Choosing between randomised and non-randomised studies: a systemic review. Health Technology Assess. 1998. 2(13) i-iv. pp.1-124. 

  47.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 Endpoints for assessing drug activity in clinical trials. The Oncologist. 2008. 13(suppl2). pp.19-21. 

  48. Cornelis J. A. Punt, Marc Buyse, Claus-Henning KoHne et. al. Endpoints in adjuvant treatment trials: a systemic review of the literature in colon cancer and proposed definitions for future trials. J Natl Cancer Inst. 2007. 99. pp.998-1003. 

  49. David Moher, Kenneth F Schulz, Douglas G Altman. The CONSORT statement: revised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parallel-group randomised trials. The Lancet. 2001. 357. pp.1191-1194. 

  50. Ezzo J, Bausell B, Moerman D, Berman B, Hadhazy V. How strong is the evidence? How clear are the conclusion? Int J Technol Assess Health Care. 2001. 17. pp.457-466. 

  51. Gribbons, Barry & Herman, Joan. True and quasi-experimental design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1997. 5(14). 

  52. Jeremy Grimshow, Marion Campbell, Martin Eccles, Nick Steen.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designs for evaluating guideline implementation strategies. Family Practice. 2000. 17. pp.11-18. 

  53. Joel J Gannier, Paula Rochon, David Moher, Joanne Barnes, Claire Bombardier. Report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herbal interventions: an elaborated CONSORT statement. Ann Inrern Med. 2006. 144. pp.364-367. 

  54. John R. Johnson, Grant Williams, Richard Pazdur. End points and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pproval of oncology drugs. J Clin Oncol. 2003. 21(7). pp.1404-1411. 

  55. Kent R Johnson, Clare Ringland, Barrie J Stokes et. al. Response rate or time to progression as predictors of survival in trials of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or non-small cell lung cancer: meta-analysis. Lancet Oncol. 2006. 7. pp.741-746. 

  56. Kjell Benson, B.A, Arther J. Hartz. A comparison of observational studies and randominzed, controlled trials. NEJM. 2000. 342. pp.1878-1886. 

  57. Lee SH, Kim KS, Choi WC, Yoon SW. Successful outcome of advanced pulmonary adenocarcinoma with malignant pleural effusion by the standardized rhus verniciflua stokes extract: a case study. Explore (NY). 2009. 5(4). pp.242-244. 

  58. Lillian Sung, Brian M. Feldman. N-of-1 Trials: Innovative methods to evaluat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in pediatric cancer. J Pediatr Hematol Oncol. 2006. 28(4). pp.263-266. 

  59. Marja J Verhoef, Laura C Vanderheyden, Trish Dryden, Devon Malloy, Mark A Ware. Evaluat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ter-ventions: in search of appropriate patient-centered outcome measures.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06. 6. 38. 

  60. Marja J. Verhoef, George Lewith, Cheryl Ritenbaugh, Heather Boon, Susan Fleishman, Anne Lei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whole systems research: beyond identification of inadequacies of the RCT.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2005. 13. pp.206-212. 

  61. Oken, M.M., Creech, Tormey, D.C., Horton J., Davis, T.E., McFadden, E.T., Carbone, P.P. Toxicity and response criteria of The Easten Cooperative Oncology Group. Am J Clin Oncol. 1982. 5. pp.649-655. 

  62. Patrick Therasse, Susan G. Arbuck et. al. New Guidelines to evaluate the response to treatment in solid tumor. Journal of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0. 92(3). pp.206-216. 

  63. Peter Goldstraw, John Crowley, Kari Chansky. The IASLC lung cancer staging project: proposals for the revision of the TNM stage groupings in the forthcoming(seventh) edition of the TNM classification of malignant tumor. J Thorac Oncol. 2007. 2. pp.706-714. 

  64. Regina P. El Dib, Alvaro N. Attallah, Regis B. Andriolo. Mapping the Cochrane evidence for decision making in health care. Jou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2007. 13. pp.689-692. 

  65. Tomasz Burzykowski, Marc Buyse, Martine J et. al. Evaluation of tumor response, disease control, progression-free survival, and time to progression as potential surrogate end points in metastatic breast Cancer. J Clin Oncol. 2008. 26(12). pp.1987-1992. 

  66. Kim SH, Yie S. Effect of Nexia for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on Patient''s Survival and Quality of Life: a Prospective Cohort Study. The 2nd International East-West Cancer Symposium. 2007. 

  67. http://www.cancer.gov/cancertopics/pdq/levels -evidence-cam/HealthProfessional/allpages/p rint#Section_21. 2010. 6. 10. 

  68. What is cancer? National cancer institute. Available at (http://www.cancer.gov/cancertopics/ what-is-cancer). 2010. 6. 10. 

  69. http://www.nccn.org/professionals/physician _gls/f_guidelines.asp. 2010. 6. 10. 

  70. 한국 통계청, 2007년 사망 및 사망원인 통계결과. 2008년. 

  71. http://clinicaltrials.kfda.go.kr/guide/info6.jsp. 2010. 6. 10. 

  72. 보건복지가족부. 2009년 보건복지가족통계연보.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