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심해성 어류 중 메틸수은 모니터링
Monitoring Methylmercury in Abyssal Fish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4 = no.212, 2010년, pp.383 - 389  

김성철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  장진욱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  김현아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  이상호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  정영지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  김지연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  안종훈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  박은혜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  고용석 (의약품안전국 순환계약품과) ,  김동술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오염물질과) ,  김상엽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  장영미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  강찬순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분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심해성 어류 등에 대한 메틸수은 기준규격 설정에 따른 사후 관리 차원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어종은 귀상어, 흑기흉상어, 곱상어, 청새리상어, 악상어, 적어, 은민대 및 체장메기 등 총 492건을 수거하여 메틸수은 함량을 조사하였다. 메틸수은 분석을 위한 분석법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GC-${\mu}ECD$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0.002 mg/kg과 0.005 mg/kg으로 나타났으며 메틸수은의 검량선은 상관계수가 0.9992로 우수한 직선성을 보였고, 회수율은 84.2-98.5%(평균 93.4%)로 나타났다. 심해성 어류의 메틸수은 함량은 각 어종 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메틸수은 함량[최소값-최대값(평균$\pm$표준편차), 단위: mg/kg]은 귀상어 0.157-2.009($\0.546{pm}0.311$), 청새리상어 0.211-0.878($0.501{\pm}0.154$) 및 곱상어 0.121-0.993($0.482{\pm}0.189$) 등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악상어 0.243-0.658($0.397{\pm}0.090$), 흑기흉상어 0.074-1.958($0.353{\pm}0.418$), 은민대구 0.038-0.807($0.302{\pm}0.201$) 및 적어 0.099-0.511($0.300{\pm}0.094$) 등에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체장메기의 경우 0.037-0.133($0.067{\pm}0.016$)으로 나타나 조사된 어종 중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심해성 어류 중 메틸수은 함량의 노출량 평가를 위해 JECFA의 PTWI와 비교 검토한 결과 상어류 0.7%, 은민대구 1.1% 및 체장 메기 0.3%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극단적인 노출량 평가를 위해서 어종별 메틸수은 최대 함량을 이용하여 산출한 결과도 상어류 2.9%, 은민대구 2.9% 및 체장메기 0.6% 수준으로 나타나 심해성 어류의 섭취로 인한 메틸수은 노출량은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thylmercury (MeHg) levels in abyssal fish species. The MeHg in the fishes was extracted with hydrochloric acid and toluene and then purified using an L-cysteine solution. The extract was analyzed with a gas chromatography-electron capture detector (G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공전상의 식품 원재료로 분류되어 있는 심해성 어류에 대한 메틸수은 오염도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국내의 심해성 어류 등에 대한 메틸수은 기준·규격 고시 시행 전 사후관리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은은 화학적 형태에 따라 어떻게 존재하는가? 수은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해양 생태계에 존재하는 중금속으로 화학적 형태에 따라 원소성 수은, 무기수은 및 유기수은의 형태로 존재한다(1).
해양환경 중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수은 형태는 어떻게 변환되는가? 해양환경 중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수은 형태는 무기수은이나 세균의 활성에 의해 독성이 강한 유기수은인 메틸수은으로 변환 된다. 메틸수은은 생물농축이라는 특성에 의해 먹이 사슬의 상위로 갈수록 많은 양이 포함되어 있고 주로 어류를 통하여 인간에게 축적된다(2,3).
국내 어류에 대한 총수은 및 메틸수은의 기준규격은 어떻게 되는가? 0 mg/kg으로 기준을 정하고 있다(6-9). 국내의 경우는 해산 어·패류(연체류 포함)의 중금속 잔류허용기준(생물로 기준할 때)을 총수은 0.5 mg/kg 이하(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류 제외), 메틸수은은 1.0 mg/kg 이하(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류에 한함)로 지정되어 있다. 다만, 메틸수은의 경우는 2009년 12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규정되어 있다(10). 또한, 우리나라를 비롯한 FDA에서는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이하 EPA)와 함께 임산부, 가임여성, 수유부, 유아 등 특정 집단에 대해서 메틸수은 함량이 높은 어류에 대해서 섭취를 제한하는 권고안을 발표하였고, 이후 캐나다, 영국, 일본에서도 메틸수은 섭취를 제한하는 권고를 연이어 발표한 바, 지속적인 모니터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11-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orita M, Yoshinaga J, Edmonds JS. The determination of mercury species in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samples. Pure Appl. Chem. 70: 1585-1615 (1998) 

  2. Myers GJ, Davidson PW, Cox C, Shamlaye CF, Palumbo D, Cernichiari E, Sloane-Reeves J, Wilding GE, Kost J, Huang LS, Clarkson TW. Prenatal methylmercury exposure from ocean fish consumption in the seychelles child development study. Lancet 361: 1686-1692 (2003) 

  3. Harada M. Minamata desease: methylmercury poisoning in Japan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Crit. Rev. Toxicol. 25: 1-24 (1995) 

  4. KFDA. Food Code I.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ch. 1-1-7 (2008) 

  5. National Fisheries Products Quality Inspection Service, Korea Deep Sea Fisheries Association Available from: http://www.kosfa.org/data1/view.asp?pageno1&startpage1&num32&listlist, Available from: http://www.nfis.go.kr/minwondb/inspe_b08.asp?findy&static_type08. Accessed Dec. 06, 2008. 

  6. FAO. CAC(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Guideline levels for methylmercury in fish. CAC/GL 7-1991 FAO Rome, Italy (1991) 

  7.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ish, shellfish, crustaceans and other aquatic animals-fresh, frozen or processed-methyl mercury (CPG 7108.07). Available from: http://www.fda.gov/ora/compliance_ref/cpg/cpgfod/cpg540-600.html. Accessed Nov. 04, 2007. 

  8. Japanese Society of Food Sanitation. Standard method of analysis in food safety regulation. pp. 2270-2271 (2003) 

  9. Commission Regulation (EC) No 1881/2006. Setting maximum levels for certain contaminant in foodstuff.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Available from: http://www.fsai.ie/uploadedFiles/Regulation_EC_No_1881_2006.pdf. Accessed Nov. 04, 2007. 

  10. KFDA. Food Code I.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ch. 2-1-9 (2008) 

  11.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nd EPA announce the revised consumer advisory on methylmercury in fish. Available from: http://www.fda.gov/NewsEvents/Newsroom/PressAnnouncements/2004/ucm108267.htm. Accessed Nov. 04, 2007. 

  12. Health Canada. Food and Nutrition. Consumption advice: Making informed choices about fish. Available from: http://www.hc-sc.gc.ca/fn-an/securit/chem-chim/environ/mercur/cons-adv-etud-eng.php.Accessed Nov. 04, 2007. 

  13. Health Canada. Canadian Food Inspection Agency. Fact sheet. Mercury and fish consumption. (2002) 

  14. Food Standards Agency. Scientific Advisary Committee on Nutrition. Advice on fish consumption: benefits & risks. (2004) Available from: http://cot.food.gov.uk/pdfs/fishreport200401.pdf Accessed Nov. 04, 2007. 

  15. Japan MHLW. Food Sanitation Committee. Advice for pregnant women on fish consumption and mercury (2005). Available from: http://www.mhlw.go.jp/english/wp/other/councils/mercury/index.html. Accessed Nov. 04, 2007. 

  16. Lee JO, Oh KS, Sho YS, Park SS, Suh JH, Lee EJ, Lee YD, Choo MH, Song MS, Woo GJ. The monitoring of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fish. Annu. Rep. KFDA, Korea 9: 147 (2005) 

  17. Kim HY, Chung SY, Sho YS, Lee EJ, Lee YD, Suh JH, Park SS, CHoi WJ, Eom JY, Song MS, Lee CW. The study on the methylmercury analysis and the monitoring of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fish. Aunu. Rep. KFDA, Korea 8-1: 667-679 (2004) 

  18. Storelli MM, Marcotrigiano GO. Fish for human consumption: risk of contamination by mercury. Food Addit. Contam. 17: 1007-1011 (2000) 

  19. Dabeka R, McKenzie A, Forsyth D, Conacher H. Survey of total mercury in some edible fish and shellfish species collected in Canada in 2002. Food Addit. Contam. 21: 434-440 (2004) 

  20.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ecury concentrations in fish: FDA Monitoring Program (1990-2004). Available from: http://www.cfsan.fda.gov/~frf/seamehg2.html. Accessed Nov. 04, 2007. 

  21.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ercury levels in commercial fish and shellfish (2006). Available from: http://www.cfsan.fda.gov/~frf/sea-mehg.html. Accessed Nov. 04, 2007. 

  22. The Food Standards Agency. Mercury in imported fish and shellfish, UK farmed fish and their products (2003). Available from: http://www.food.gov.uk/multimedia/pdfs/fsis40_2003.pdf. Accessed Nov. 04, 2007. 

  23.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of Japan. The report of survey for mercury in fishes (2004). Available from: http://www.maff.go.jp/fisheat/press040817.htm. Accessed Nov. 04, 2007. 

  24. KHIDI. In-Depth analysis on the 3rd (2005)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nutrition surve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Seoul, Korea (2007) 

  25. FAO/WHO. Codex general standard for contaminants and toxins in foods, Codex STAN 193-1995. p. 35 FAO/WHO Rome, Italy (2006). 

  26. Kim HY, Chung SY, Sho YS, Oh GS, Park SS, Suh JH, Lee EJ, Lee YD, Choi WJ, Eom JY, Song MS, Lee JO, Woo GJ. The study on the methylmercury analysis and the monitoring of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fish.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82-888 (2005) 

  27. Fischnaller S, Anderson P, Norton D. Mercury in edible fish tissue and sediments from selected lakes and rivers of Washington state.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Ecology (USA). No. 03- 03-026 (2003). Available from: http://www.ecy.wa.gov/pubs/0303026.pdf. Accessed Nov. 04, 2007. 

  28. Forsyth DS, Casey V, Dabeka RW, McKenzie A. Methylmercury levels in predatory fish species marketed in Canada. Food Addit. Contam. 21: 849-856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