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지역에서 유통되는 버섯류의 유해중금속 함량 조사에 관한 연구
Hazardous Heavy Metal Contents of Mushrooms from Retail Markets in Seoul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3, 2014년, pp.283 - 287  

차현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강순화 (농협식품안전연구원) ,  최수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형국 (농협식품안전연구원) ,  강성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에 유통 중인 버섯류의 유해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여 식품공전에 새로 신설된 납과 카드뮴의 함량을 파악하고, 재배환경과 환경오염에서 유래할 수 있는 유해중금속인 비소, 크롬, 니켈, 수은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서울시 소재 마트 및 전통시장에서 구입한 버섯류 5품목 150건을 시료로 습식분해법 중 microwave법을 이용하였으며, 납, 카드뮴, 비소, 크롬, 니켈은 ICP-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버섯류의 평균함량(최소-최대함량, ${\mu}g/kg$)은 Pb 7.8 (1.9-30.0), Cd 45.3 (0.7-292.4), As 54.6 (2.4-229.3), Cr 42.6 (8.4-334.3), Ni 22.4 (ND-180.4), Hg 8.9 (2.0-25.0)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기존 연구결과들과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한 품목의 주간섭취량을 FAO/WHO에서 안전성 평가를 위해 설정한 PTWI와 비교한 결과 그 수준이 매우 낮아 서울시에서 유통되는 버섯류로부터 섭취하는 유해중금속의 양은 안전한 수준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2013년 8월에 새롭게 신설되어 모니터링 자료가 필요한 납과 카드뮴에 대한 자료와 더불어, 아직 세부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관리가 필요한 비소, 크롬, 니켈, 수은의 중금속 기준을 설정하는데 있어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termined the hazardous heavy metal content of mushrooms from markets in Seoul, Korea. One hundred and fifty mushroom samples were digested by the microwave method then the hazardous heavy metal (Pb, Cd, As, Cr, Ni and Hg) content was determined by the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버섯류의 중금속 함량 조사를 통해 새로 기준이 설정된 납과 카드뮴의 오염실태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 유해중금속인 비소, 크롬, 니켈, 수은의 오염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중금속의 주간 섭취량을 계산하여 FAO/WHO의 주간섭취허용량인 PTWI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와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조사한 버섯류의 섭취에 의한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버섯류의 중금속 함량 조사를 통해 새로 기준이 설정된 납과 카드뮴의 오염실태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 유해중금속인 비소, 크롬, 니켈, 수은의 오염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중금속의 주간 섭취량을 계산하여 FAO/WHO의 주간섭취허용량인 PTWI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와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조사한 버섯류의 섭취에 의한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에 유통 중인 버섯류의 유해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여 식품공전에 새로 신설된 납과 카드뮴의 함량을 파악하고, 재배환경과 환경오염에서 유래할 수 있는 유해중금속인 비소, 크롬, 니켈, 수은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서울시 소재 마트 및 전통시장에서 구입한 버섯류 5품목 150건을 시료로 습식분해법 중 microwave법을 이용하였으며, 납, 카드뮴, 비소, 크롬, 니켈은 ICP-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금속이란? 중금속은 화학적으로 비중 4.0 이상의 무거운 금속으로 이동성이 낮고, 축적성은 높아 자연분해나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매우 어렵다(1). 또한 중금속이 오염된 농수산물의 섭취로 만성, 급성 건강장해를 일으켜 최근 식품위생상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2).
중금속 오염에 의해 암발생 위험성이 있는 중금속은? 식품 중 중금속 오염은 식품의 수확, 가공, 포장 등의 과정에서 우발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대부분 오염된 물과 토양 또는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에서 일어난다 (4). 납, 카드뮴, 크롬, 비소 등은 동식물체에 유해성이 큰 금속으로 국제암연구소의 발암기준물질분류기준에 따라 분류되며, 암 발생의 위험을 가진 중금속으로 알려져 있다(5).
버섯이란? 버섯은 분류학적으로 균류에 속하나 일반적인 균류와 다르게 포자를 형성하기 위한 대형의 자실체를 만드는 것이 특징으로 대부분 담자균류와 자낭균류에 속하는 고등균류이다. 버섯은 풍미가 뛰어나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무기질, 비타민 및 미네랄 등의 각종 영양소를 다양하게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리 활성 물질들을 생산함으로써 예로부터 식용뿐 아니라 약용으로도 이용되는 식품이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Reilly C. Metal Contamination of Food. 3ed.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UK. pp. 12-16 (2002) 

  2. Choi CM, Choi EJ, Kim TR, Hong CK, Kim JH. Heavy metal contents of vegetables available on the markets in Seou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873-1879 (2010) 

  3. Seo JW, Lee JH, An ES, Kuk JH, Park JW, Bae MS, Park SW, Yoo MS. Monitoring of heavy metals in fruit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230-234 (2011) 

  4. Kim HY, Kim JI, Kim JC, Park JE, Lee KJ, Kim SI, Oh JH, Jang YM. Survey of heavy metal contents of circulating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238-244 (2009) 

  5. Kang ST, Yoo HY, Jung JJ, Choi EJ. Heavy metal contents of vegetables from Korean mark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02-507 (2010) 

  6. Lim SS, Choi SJ, Lee YS, Kim JK, Kim JK.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 from edible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87-1096 (2010) 

  7. An actual output of a crop for a special purpos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3 pp. 62-66. Sejong, Korea 

  8. Yoon GH, Functionality of Mushrooms in the public eye as a health food, The monthly forest science report. Seoul, Korea, vol. 190 pp. 16-17 (2007) 

  9. Kim MH, Choi H, Park SK, Lee BN. Risk assessment of lead and cadmiun through mushroom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666-672 (2012) 

  10. MFDA. Foo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won, Korea (2013) 

  11. MHW. Korea health statistic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Korea. pp. 40, 42, 261-264, 275-293 (2012) 

  12. Kim WI, Kim JY, Yoo JH, Lee JH, Kim MJ, Kang DW, Ko HS, Hong HS, Im GJ, Kim DH, Jung GB. Monitoring and risk assesment of heavy metals in edible mushrooms. Korean J. Environ. Agric. 31: 37-44 (2012) 

  13. Fang Y, Sun X, Yang W, Ma N, Xin Z, Fu J, Liu X, Liu M, Mariga AM, Zhu X, Hu Q. Concentrations and health risks of lead, cadmium, arsenic, and mercury in rice and edible mushrooms in China. Food Chem. 15: 147-151(2014) 

  14. Park HS, Park KS. Nickel toxicity and carcinogenicity. J. Environ. Toxicol. 19: 119-134 (2004) 

  15. KFDA.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Risk profile, Nichel. Available from: http://fse.foodnara.go.kr/origin. pp.17 Accessed Oct. 29,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