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캐릭터 커리어 여성복 브랜드의 스타일 정체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 연구
Consumer's Recognitions on Style Identity of the Contemporary Korean Woman's Apparel Brand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18 no.2, 2010년, pp.337 - 347  

박재민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패션산업정보) ,  천종숙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최선희 (연세대학교 의류과학연구소) ,  최은아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consumer's recognition on brand's peculiar style on Korean contemporary women's apparel brand. The contemporary women's apparel brands show advanced and stylish merchandise at better price points. This segment of the Korean ready-to-wear market has been g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실증적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패션 브랜드의 정체성 구축 정도를 스타일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국내 캐릭터 커리어 여성복 브랜드들의 스타일 정체성이 어느 정도 구축되어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활발하게 연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캐릭터 커리어 여성복 브랜드의 스타일 정체성 형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장 점유율이 높은 브랜드들을 대상으로 브랜드의 스타일 특징과 정체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정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조사대상 브랜드의 스타일 정체성 구축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조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패션 브랜드의 스타일 이미지와 아이덴티티 형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 대표적인 여성복 캐릭터 커리어 브랜드(n=4)를 대상 으로 해당 브랜드의 스타일 개발 방향을 고찰하고, 각 브랜드의 고객이 인지하는 각 브랜드의 스타일 정체성, 이미지, 주로 사용하는 소재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각 브랜드 고유의 스타일에 대한 고객의 인지도를 파악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해당 브랜드의 의류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풍부한 고객만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패션 브랜드의 스타일 정체성 형성 정도가 매출에 비교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하였으나, 매출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유통업체와 브랜드에서 시행하는 각종 판촉 행사나 가격 경쟁력에 관한 마케팅적 요소도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가설 설정

  • 1. 각 브랜드의 스타일 이미지는 브랜드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2. 각 브랜드의 스타일 정체성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는 브랜드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3. 소재의 재질과 색상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브랜드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표현하는 도구로는 일반적으로 어떤 것들을 사용하는가? BI)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통일하여 시각화 하는 작업이며, 광고 와 홍보를 통해 그 브랜드의 철학이나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각인시키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표현하는 도구로는 브랜드 이름(brand name)이나 로고(logo), 브랜드 마크(brand mark) 등 을 사용한다. 브랜드 마크를 성공적으로 사용한 사례는 랄프 로렌(Ralph Lauren)의 폴로(Polo) 브랜드이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어떤 작업이며 무엇을 하기위한 방법인가?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 BI)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통일하여 시각화 하는 작업이며, 광고 와 홍보를 통해 그 브랜드의 철학이나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각인시키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표현하는 도구로는 브랜드 이름(brand name)이나 로고(logo), 브랜드 마크(brand mark) 등 을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용설 (2010). In Fashion, In Biz. 복식문화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서울. 

  2. 김수진, 정명선 (2008). "패션명품소비자-브랜드 관계가 관계만족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6권 6호. 

  3. 김혜진 (2004). "수입브랜드와 경쟁 기대하세요." Fashionbiz 206호. 

  4. 노정민 (2007). "매스티지(Masstige) 패션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형성을 위한 온 오프라인 색채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재옥, 이윤미 (2009). "품질기능전개(QFD) 이론을 적용한 중.노년층 여성니트정장 디자인속성." 복식문화연구 17권 3호. 

  6. 변영란 (2006).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통한 브랜드 매니지먼트 효율성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6권 2호. 

  7. 손일권 (2003). 브랜드 아이덴티티. 서울: 작가정신. 

  8. 송지영 (2000). "국내 여성복 브랜드의 세분 시장별 활용색과 배색특성."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신수연, 조정아 (2009). "국내 여성 캐릭터 커리어 브랜드의 리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7권 1호. 

  10. 신혜나 (2007). "명품 브랜드요소와 명품선호도 결정요인-해외패션 명품브랜들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엄경희 (2003). "해외 유명 패션 브랜드 제품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은선 (2002). "패션 브랜드 아이덴티티 특성 연구 및 개발-스포츠 웨어 브랜드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은옥 (2008). "한국과 이태리의 국가 및 지역 기반 섬유패션 브랜드 전략 비교." 복식문화연구 16권 1호. 

  14. 전혜정 (2007). 현대패션 & 디자이너. 서울: 신정. 

  15. 채금식 (2002). 패션디자인 실무. 서울: 교문사 

  16. 천종숙 (2005). 의류상품학. 서울: 교문사. 

  17. 한서영 (1999). "브랜드 아이덴티티 토탈 이미지 전개 방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지표로 읽는 한경 마켓 트랜드 (2007. 11. 29). 한국경제. 자료검색일 2008/11/1 

  19. 08/09 한국패션 브랜드 연감. (2008) 서울: 어패럴뉴스사. 

  20. Brown, P. and J. Rice (2001). Ready-to-Wear Apparel Analysi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1. Johson, M. J. and E. C. Moore (2001). Apparel Product Development. 2nd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2. Fring, G. S. (2005). Fashion: From Concept to Consumer. 8th Ed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