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포도주를 첨가한 칠리소스 새우볶음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teing Chili Sauce Shrimp with Red Wine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6 no.4, 2010년, pp.358 - 366  

김혜영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고성희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연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d win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teing chilli sauce shrimp. Cooked chili sauce shrimp was storaged on $3^{\circ}C$ fot 15 days. The TPC of sauteing chili sauce shrimp with red wine was increased for all experimental g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phenol 함량이 높다고 알려진 적포도주의 실제 조리에서의 항산화성과 항균성 등의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칠리소스 새우볶음을 연구 적용 메뉴로 선정하고, 칠리소스에 적포도주를 첨가한 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품질특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스 량의 각각 10%와 20%의 적포도주를 첨가한 것을 실험군으로 하여 칠리소스 새우볶음을 쿡칠(Cook- chill)법으로 생산한 후, 각 저장일(0일, 3일, 5일, 10일, 15일)에서의 미생물적 품질(총균, 대장균군), 항산화력(AV, TBA) 그리고 관능적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칠리소스 새우볶음을 연구 적용 메뉴로 선정하고, 칠리소스에 적포도주를 첨가한 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품질특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 저장일별 시료에 대해 산가를 측정함으로써 적포도주 첨가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가는 AOAC(2000)방법으로 균질화된 시료 5 g을 정확히 평량하고 ethanol-ether(1 : 2) 100 mL를 넣어 10분간 용출 시킨 후 페놀프탈레인액을 지시약으로 하여 엷은 홍색이 30초간 지속될 때까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도주 발효 중에 생성되는 유기산은 무엇인가? 54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포도주 발효 중에 생성되는 유기산은 초산(acetic acid), 젖산(lactic acid), 호박산(succinic acid)으로 적포도주를 첨가하여 소스로 이용한 10% 적포도주 첨가군과 20% 적포도주 첨가군의 pH값은 혼합 단계에서부터 조리 후 냉각단계에 이르기 까지 모든 단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특히 20%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p<0.
서양요리는 조리 시 포도주가 빈번하게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서양요리에서는 조리에 포도주가 빈번하게 이용된다. 특히 포도주는 가열하여 알코올성분을 제거시키고 포도주 본래의 향과 독특한 맛을 이용하여 음식에 풍미를 증진시켜 다른 식품 첨가물에서 느낄 수 없는 깊고 풍부한 맛을 내기 때문이다. 이처럼 서양요리의 소스와 향신료는 음식에 풍미를 더해주고 맛과 향을 결정하는 주요소로 매우 중요하다(Kim HD 등 2002).
포도주는 고대부터 이집트에서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었는가?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변화, 웰빙 등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기능성 성분으로 알려진 폴리페놀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포도주의 소비가 높아지고 있다. 포도주는 고대부터 이집트에서 질병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었고, 최근 심혈관계질환 등 여러 가지 질환의 발병률을 낮춘다고 밝혀지면서 전 세계에서 기능성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다(Lee HR 등 2008, Williams RL와 Elliot MS 1997). 특히 포도의 경우 껍질과 씨 등에 식품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유효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포도를 발효시켜 제조한 포도주에서 항산화 및 항균작용을 하는 물질은 주로 phenol을 기본구조로 한 flavonoid로 이 phenol화합물은 백포도주에 비해 적포도주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Chang SW 등 2009, Frankel EN 등 1993, Renaud S와 Lorgeril M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우정, 구경형. 2001. 식품관능검사법. 효일출판사. 서울. pp 95-119 

  2. Ahn DU, Olson DG,Jo C, Chen X, Wu C, Lee JI. 1998. Effect of muscle type, packaging, and irradiation on lipid oxidation, volatile production, and color in raw pork patties. Meat Science 49(1):27-39 

  3. AOAC. 200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17th ed. Method 920.39. 969.17, 965.33. Association of officialanalytical chemists, Gaithersbrug, Maryland, USA. 

  4. Chang SW, Song JH, Shin NS, Lee KY, Rho YT. 2009. Determination of Major Phenolic Compounds of Grape Juice and Wine of Different Geographic Origins. Korean J. Food Preserv 16(5):747-753 

  5. Choi SK. 2002. Food and spic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5):461-470 

  6. Chung HJ. 2009. The Effects of Brown Beef Stock with Red Wine on Microbial Growth Inhibition. Master thesis. The Konkuk University of Korea. 

  7. Dahl CA, Matthews ME, March EH. 1980. Cook/chill foodservice system with a microwave oven: aerobic plate counts from beef loaf, potatoes and frozen green beans.. J. Microw Power 15(2): 95-105 

  8. Fernandes J, Gomes, Couto JA, Hogg T. 2007. The antimicrobial effect of wine on Listeria innocua in a model stomach system. Food Control 18(12):1477-1483 

  9. Frankel EN, German JB, Kinsella JE, Parks E, Kanner J. 1993. Inhibition of oxidation of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by phenolic substances in red wine. Lancet 341(8843):454-457 

  10. Graham HF. 1994. Wine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Department Food Science and Technolog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ydney, Australia. pp 165-196 

  11. KFDA,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0. http://www.foodnara.go.kr/portal/site/kfdaportal/infotelegram. Acessed May 2, 2010. 

  12. Kim HD, Lee YJ, Han JS. 2002. An evaluation of the recognition, preference and quality factors on sauces. J East Soc Dietary Life 15(1):126-135 

  13. Lee HR, Jung BR, Park JY, Kim SK, Choi JU, Lee SH, Chung SK. 2008. Antioxidnats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Korean J. Food Preserv. 15(3):445-449 

  14. Lee HS. 2006. A study on the priority od selection determinants of family restaurant. J of Foodservice Management 9(2):7-26 

  15. Lee JR. 2003. A study on preference of marketing activities for women customer in family restaurant. J of Foodservice Management 6(1):65-83 

  16. Lee KS, Moon YH, Jung IC. 2008. Effe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Beef Jerky Ripened by Wine. Journal of Life Science 18(11):1538-1542 

  17. Park WM, Park HG, Rhee SJ, Lee CH, Yoon KE. 2002. Suitabi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ampbell's early, for production of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lol. 34(4): 590-596 

  18. Renaud S, Lorgeril M. 1992. Wine, alcohol, platelets, and the French paradox for coronary heart disease. Lancet 339(8808): 1523-1526 

  19. Ryu C, Choi SM. 2007. The influence of Cooking Wine on Food Quality Attribut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4): 532-539 

  20. Spear MC. 2003. Foodservice Organization(5th). pearson Prentice Hall. Inc. New Jersey. pp308-313 

  21. Solberg M, Buckalew JJ, Chen CM, Schaffner DW, O'Neil K, McDowell J, Post LS, Boderk M. 1990. Microbiological safety assurance system for foodservice facilities. J Food Technology 44(12):68-73 

  22. Williams RL, Elliot MS. 1997. Antioxidants in grapes and wine: chemistry and health effects. In: Shaihidi, F.(Ed.), Natural Antioxidants: Chemistry, Health Effects and Applications. AOCS press, Illinois. pp 150-173 

  23. Yoon TH. 2005.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lifestyle activation, satisfaction od attributes at fast-food restaura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1(6):867-876 

  24. Zheng W, Wang SY. 2001.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in selected herbs. J Agri Food Chem 49(11): 5165-5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