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건강한 학교 만들기 사업에서 수행한 영양 및 신체상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a Nutrition and Body Shape Education Program as Part of Health Promoting Projects in an Elementary School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3 no.4, 2010년, pp.382 - 394  

심유진 (연세대학교 의료원 국민고혈압사업단) ,  김진순 (유한대학 보건의료행정과) ,  지세민 (부천시청 위생과) ,  손태용 (유한대학 보건의료행정과) ,  황진아 (명지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정은정 (강남대학교 교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건강한 학교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서 교육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영양지식, 신체상 정립, 식습관, 영양섭취 등에 기여하는지를 조사한 결과이다. 어린이 식생활 실천지침, 건강하고 안전한 식생활, 식품 구성탑, 영양소의 기능과 급원식품, 바람직한 신체상, 어린이 비만과 편식예방 등을 주제로 하여 교실수업, 개인 과제, 교육 인쇄물, 가정통신문, 인터넷, 동영상, 전시회 등을 이용한 교육을 6개월간 시도하였다. 1)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후 대상 초등학생들의 영양지식과 식습관이 향상되어 본 교육 프로그램이 영양지식 뿐 아니라 식습관의 개선에도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되었다. 2) 현재 자신의 모습으로 인지하거나 희망하는 아동 신체상, 건강하다고 생각하거나 미래에 희망하는 청소년의 신체상 등 4가지 신체상의 인지도가 교육 프로그램에 의해 모두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되었다. 3) 남학생에서 영양지식의 총점과 식습관 점수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전체 학생에서 현재 자신의 신체에 대한 불만족도가 식습관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에 의해 대상 학생들의 희망 신체상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여학생의 현재 또는 미래 희망 신체상은 현재 자신의 모습으로 인지하는 신체상 또는 미래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신체상보다 유의하게 마른 모습인 것으로 나타나 날씬함에 대한 사회적 압력이 여학생에게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신체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5) 영양 섭취 조사 결과, 영양교육에 의해 일부 영양소들의 섭취가 부분적으로 개선된 효과가 있었지만 칼슘, 엽산, 아연, 나트륨, 니아신 등의 영양소는 여전히 섭취가 부족하거나 과다한 것으로 나타나 영양 개선을 위한 지속적이고도 반복적인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학생, 교직원, 학부모, 지역사회 보건공무원이 공동으로 참여한 본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를 통해 대상 학생들의 영양지식, 신체상 인식, 식습관, 영양 섭취 등이 전반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올바른 식생활에 대한 교육과 함께 실시되는 신체상의 정립에 대한 교육은 바람직한 식습관의 형성과 영양상태 개선뿐 아니라 건강증진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영양 및 올바른 신체상 인식에 관한 교육은 아동기부터 체계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s part of health promoting projects in an elementary school. A total of 168 students in the 4th grade were enrolled in the program for 6 month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assess nutri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건강한 학교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서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영양지식, 신체상 정립, 식습관, 영양 섭취 등에 기여하는지를 조사한 결과이다. 어린이 식생활 실천지침, 건강하고 안전한 식생활, 식품 구성탑, 영양소의 기능과 급원식품, 바람직한 신체상, 어린이 비만과 편식예방 등을 주제로 하여 교실수업, 개인 과제, 교육 인쇄물, 가정통신문, 인터넷, 동영상, 전시회 등을 이용한 교육을 6개월간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 수행한 교육 프로그램은 WHO의 건강증진 학교 개념을 기초로 하여 초등학교, 해당 지역사회 보건소, 교육청, 대학이 상호협력을 통해 수행한 건강한 학교 만들기 시범사업의 일환으로서, 지금까지 수행된 초등학교 영양 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들 중 비교적 긴 기간 동안 실시한 것이었다. 연구의 목적은 교육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영양 지식 향상뿐 아니라 올바른 신체상의 정립, 식습관의 개선, 균형 있는 영양소 섭취 등 일련의 과정을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가설 설정

  • 38,41) 따라서 올바른 신체상을 확립하고 자신의 신체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는 것은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고 나아가 좋은 영양상태와 건강유지를 위해 필요한 요소일 것이다.40) 이를 위해서는 신체상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아동기부터 신체상 인식에 대한 교육을 시작하여야 하며,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충분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증진학교는 무슨 체계를 가지고 있는가? 학교 중심의 어린이 건강증진사업은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1950년부터 시작한 사업으로서 건강증진학교 (Health Promoting Schools)라는 명칭으로 각 지역에서부터 국가, 대륙, 전 세계로의 확대를 통한 어린이 보건교육 등의 활동을 추진해오고 있다. 건강증진학교는 학교 환경 개선을 위해 보건 및 교육 공무원, 교사,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하는 체계로서1) 학교 환경 개선을 통한 학생들의 건강증진은 학부모와 지역사회로까지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2) 이에 우리나라도 2005년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3)에서 학교 보건을 중점과제로 지정하여 건강증진학교 네트워크 구축과 학생영양 개선 및 증진사업 등의 세부 추진계획을 설정하고, 영양교육 (nutrition education)과 학교 급식의 질적 향상 등의 활동을 통해 학생의 교육 잠재력 향상과 지역사회로의 건강증진 확산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영양교육은 무엇인가? 영양교육은 개개인의 적절한 식생활 실천에 필요한 영양에 관한 지식 (knowledge)을 바르게 이해시키고, 식생활에 관한 의욕과 관심을 높여 태도 (attitude)를 변화시키며, 스스로 올바른 식생활을 행동으로 실천 (behavior or practice) 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KAP)을 말한다.2,6) 따라서 영양교육은 단기적으로 지식 향상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식습관과 식생활 태도의 개선을 목표로 한다.
건강증진사업으로 세계보건기구에서 1950년 부터 시행하고 있는 건강증진학교가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가 진행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건강증진학교는 학교 환경 개선을 위해 보건 및 교육 공무원, 교사,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하는 체계로서1) 학교 환경 개선을 통한 학생들의 건강증진은 학부모와 지역사회로까지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2) 이에 우리나라도 2005년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3)에서 학교 보건을 중점과제로 지정하여 건강증진학교 네트워크 구축과 학생영양 개선 및 증진사업 등의 세부 추진계획을 설정하고, 영양교육 (nutrition education)과 학교 급식의 질적 향상 등의 활동을 통해 학생의 교육 잠재력 향상과 지역사회로의 건강증진 확산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s global school health initiative: Health-promoting schools. Geneva; 1998 

  2. Contento IR. Nutrition education: linking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Asia Pac J Clin Nutr 2008; 17(Suppl 1): 176-179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Health Plan 2010; 2005 

  4.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y nutrition: An essential element of a health-promoting school, Geneva; 1998 

  5. Glasauer P, Aldinger C, Yu SH, Xia SC, Tang SM. Nutrition as an entry point for health-promoting schools: Lessons from China. Food, Nutrition and Agriculture 2003; 33: 27-35 

  6. Mo S. Symposium: The present status and a future scheme in nutrition education. Korean J Nutr 1990; 23(3): 208-212 

  7. Kim KA, Lee YK.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animations on the nutrition knowledg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1): 50-60 

  8. Ahn Y, Ko SY, Kim KW.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3): 266-276 

  9. Lee JW, Lee HS, Chang N, Kim JM.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scores and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s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ing in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orean J Nutr 2009; 42(4) : 338-349 

  10. Moon HK, Park Y, Park J.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5th grade students provided by community health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 Korean Diet Assoc 2008;14(3): 259-275 

  11. Kim SB, Choi HJ.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food exchange system: Changes in elementary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nutrients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6): 922-933 

  12. Kyeon YK, Jang YA, Kim JW. Application of a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HIDIKIDS, for the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s and habits of elementary students. Korean J Nutr 2006; 39(8): 808-816 

  13. Lee YM, Lee MJ, Kim SY.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focused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n 4th-, 5th- and 6th-grade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2005; 11(3): 331-340 

  14. Lee AR, Moon HK, Kim EK. A study on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body image recognition of nutrition knowledge after nutrition education for obese children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2000; 6(2): 171-178 

  15. Lee O, Chang SO, Park MJ. Comparison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habi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nutrition educ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8; 32(11): 1427-1434 

  16. Chang SO, Lee OH, Lee KS. Intake of processed foods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5th grade children. J Korean Diet Assoc 2008; 14(2): 166-175 

  17. Hyon SM, Kim JW.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by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2): 168-177 

  18. Kim SH, Hyun TS.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website for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2): 218-228 

  19. Sharma SV, Gernand AD, Day RS. Nutrition knowledge predicts eating behavior of all food groups except fruits and vegetables among adults in the Paso del Norte region: Que Sabrosa Vida. J Nutr Educ Behav 2008; 40(6): 361-368 

  20. Woo TJ, Her ES, Lee KH. Effect-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manual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2006; 12(3): 299-306 

  21. Lee YM. The effect of children's body shape perception and body image perception on their diet behavior. J Korea Home Econ Assoc 2004; 42(4): 143-153 

  22. Her ES, Lee SG, Park HJ, Lee KH. Effect-evaluation on nutrition education in related curriculum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cused on change of dietary habits. J Korean Diet Assoc 2005; 10(6): 795-804 

  2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2007 

  24.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Dietary guidelines for healthy diets and disease prevention; 2003 

  25. Parkinson KN, Tovee MJ, Cohen-Tovee EM. Body shape perceptions of preadolescent and young adolescent children. Eur Eat Disord Rev 1998; 6(2): 126-135 

  2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005 

  27. Lee YJ, Kim GM, Chang KJ. The analysis of effect an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hon. J Korean Diet Assoc 2000; 6(2): 86-96 

  28. Blaesing S, Brockhaus J. The development of body image in the child. Nurs Clin North Am 1972; 7(4): 597-607 

  29. Contento IR, Bach G, Bronner YL, Lytle LA, Maloney SK, Olson CM, Swadener SS, Randell JS.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and implications for nutrition education policy, program and research: a review of research. J Nutr Educ 1995; 27 (6): 298-311 

  30. Yon MY, Han YH, Hyun TS. Dietary habits, food frequency and dietary attitues by gender and nutrition knowledge level in uppergrade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3): 307-322 

  31. Yoon HS, Yang HL, Her ES.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divers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0; 5(3): 513-521 

  32. Yang IS, Kim HY, Lee HY, Kang YH. Effectiveness of webbase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Nutr 2004; 37(7): 576-584 

  33. Moore DC. Body image and eating behavior in adolescents. J Am Coll Nutr 1993; 12(5): 505-510 

  34. Foster GD, Wadden TA. The psychology of obesity, weight loss, and weight regain: Research and clinical findings. In: GL Blackburn, BS Kanders, editor. Obesity: pathophysiology, psychology, and treatment. New York: Chapman & Hall; 1996. p.141-159 

  35. Lee Y, Shin HK, Choi BM, Eun BL, Park SH, Lee KH, Shin C. A survey of body shape perception and weight control of adolescent girls in three areas of Korea. Korean J Pediatr 2008; 51(2): 134-144 

  36. Kang YJ, Sohn MS, Jin KN, Kim HJ, Ohr HC, Suh SJ. Factors influencing weight control behavior and intention of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Prev Med 1998; 31(2): 199-214 

  37. Nam HJ, Kim SY, Park HM Yoo JK, Cho KH. Dietary behaviors and lifestyle by self-perception of body image.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3; 3(2): 121-136 

  38. Westenhoefera J. Establishing good dietary habits-capturing the minds of children. Public Health Nutr 2001; 4(1A): 125-129 

  39. Hoare P, Cosgrove L. Eating habits, body-esteem and self-esteem in Scottish children and adolescents. J Psychosom Res 1998; 45 (5): 425-431 

  40. Kim JH, Lee MH, Lee JJ. Body Image, eating behavior, and weight control practices among Korean adolescent girls. Nutr Sci 2002; 5(4): 245-255 

  41. Shariff ZM, Yasin ZM. Correlates of children's eating attitude test scores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Percept Mot Skills 2005; 100(2): 463-472 

  4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