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우스에서 흑지마 에탄올 추출물의 기억력 증진 효과 및 기억력 감퇴에 대한 개선 효과
Memory Enhancing Properties of the Ethanolic Extract of Black Sesame and its Ameliorating Properties on Memory Impairments in Mice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1 no.3 = no.162, 2010년, pp.196 - 203  

김종민 (경희대학교 나노의약생명과학과) ,  김동현 (경희대학교 나노의약생명과학과) ,  박세진 (경희대학교 나노의약생명과학과) ,  정지욱 (대구한의대학교 한약재약리학과) ,  류종훈 (경희대학교 나노의약생명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lack sesame (Sesami semen nigrum) has been used to treat dizziness, earnoise, constipation in th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memory enhancing properties of 70% ethanolic extract of black sesame (EBS70) and its ameliorating activities on learning and memory imp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1-13) 또한, 상기 lignan 성분 중 sesaminol glucoside가 β-amyloid 단백질로 유도된 알츠하이머성 치매 모델에서 개선 효과가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참깨 추출물이 노화촉진 동물 모델에서 기억력 개선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14,15) 하지만 흑지마를 이용한 기억력 증강 효과, 또는 scopolamine으로 유도된 기억력 감퇴 모델에서의 개선 효과에 대한 보고는 아직 이루어진 바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효과를 in vivo에서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흑지마의 기억력 강화에 대한 효과를 수동회피 시험 (passive avoidance task)과 Y-미로 시험 (Y-maze task), 수중미로 시험 (Morris water maze task)을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기억력 감퇴 또는 치매 모델에서의 기억력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copolamine으로 유도된 기억력 감퇴 모델을 이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또한 흑지마의 기억력 증진효과의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의 발현양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ChE 억제제가 알츠하이머 치료제로 개발되어 쓰인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기억력의 저하 및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콜린성 신경세포 퇴화에 의한 acetylcholine의 부족이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이며, 이러한 현상은 acetylcholine 분해효소인 acetylcholinesterase (AChE)의 활성 증가로 더욱 심화된다.3) 따라서 그 동안 tacrine, donepezil, rivastigmine, galantamine 등의 AChE 억제제가 알츠하이머 치료제로 개발되어 왔다.
치매는 무엇인가? 기억력의 저하는 현대 사회 활동에서 문제점을 일으키고, 치매와 같은 퇴행성 질환으로 발달하는 경우에는 사회 생활 자체를 불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치매는 기억력과 감각, 공간 및 지각능력이 감퇴되는 후천적 만성 퇴행성 질환으로서 혈관성 치매 (cerebrovascular dementia)와 알츠하이머성 치매 (Alzheimer's dementia)가 대표적이며, 65세 이상의 치매 환자에서는 50~60%가 알츠하이머성 치매로 알려져 있다.1,2)
흑지마는 무엇인가? 본 실험에 사용한 흑지마 (黑芝麻; Sesami Semen Nigrum)는 참깨과 (Pedaliaceae)에 속한 일년생 초목인 참깨 (Sesamum indicum L.)의 흑색 종자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등의 필수지방산 함량과 아미노산, 무기질, 토코페롤, β-sitosterol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주된 활성 성분인 sesaminol과 lignan glucosides의 경우 여러 세포 모델과 동물 실험 결과에서 tbutylhydroperoxide와 carbon tetrachloride 등의 화합물에 의한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1-13) 또한, 상기 lignan 성분 중 sesaminol glucoside가 β-amyloid 단백질로 유도된 알츠하이머성 치매 모델에서 개선 효과가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참깨 추출물이 노화촉진 동물 모델에서 기억력 개선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Evans, D. A., Funkenstein, H. H., Albert, M. S., Scherr, P. A., Cook, N. R., Chown, M. J., Hebert, L. E., Hennekens, C. H. and Taylor, J. O. (1989) Prevalence of Alzheimer's disease in a community population of older persons. Higher than previously reported. JAMA 262: 2551-2556. 

  2. Nordberg, A. (1996)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cognitive dysfunction in dementia disorders. Acta Neurol. Scand., Suppl. 168: 87-92. 

  3. Kuhl, D. E., Koeppe, R. A., Minoshima, S., Snyder, S. E., Ficaro, E. P., Foster, N. L., Frey, K. A. and Kilbourn, M. R. (1999) In vivo mapping of cerebral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 aging and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52: 691-699. 

  4. Davis, K. L., Thal, L. J., Gamzu, E. R., Davis, C. S., Woolson, R. F., Gracon, S. I., Drachman, D. A., Schneider, L. S., Whitehouse, P. J. and Hoover, T. M., (1992)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multicenter study of Tacrine for Alzheimer's disease. N. Engl. J. Med. 327:1253-1259. 

  5. Rogers, S. L., Farlow, M. R., Doody, R. S., Mohs, R. and Friedhoff, L. T. (1998) A 24-week, double-blind, pacebo-controlled trial of donepezil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50: 136-145. 

  6. Rosler, M., Anand, R., Cicin-Sain, A., Gauthier, S., Agid, Y. and Dal-Bianco, P. (1999) Efficacy and safety of rivastigmine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J 318: 633-638. 

  7. Tariot, P. N., Solomon, P. R., Morris, J. C., Kershaw, P., Lilienfeld, S. and Ding, C. (2000) A 5-month,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Trial of galantamine in AD, Th Galantamine USA-10 Study Group. Neurology 54: 2269-2276. 

  8. Kennedy, D. O. and Scholey, A. B. (2003) Ginseng: potential for the enhancement of cognitive performance and mood. Pharmacol. Biochem. Behav. 75: 687-700. 

  9. Kennedy, D. O. and Scholey, A. B. (2006) The psychopharmacology of European herbs with cognition-enhancing properties. Curr. Pharm. Des. 12: 4613-4623 

  10. Howes, M. J., Perry, N. S. and Houghton, P. J. (2003) Plants with traditional uses and activities, relevant to the management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cognitive disorders. Phytother. Res. 17: 1-18. 

  11. Shim, Y. H., Cha, G. H. and Sin, J. W. (1995) Studies on the experimental cookery and the preservation of the Hukimja Dashik. J. Nat. Sci. Inst. Seoul Woman's Univ. 6: 13-26. 

  12. Ramarathnam, N., Osawa, T., Ochi, H. and Kawakishi, S. (1995) The contribution of plant food antioxidants to human health. Trends Food Sci. Technol. 6: 75-82. 

  13. Shyu, Y. S. and Hwang, L. S. (2002)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crude extract of lignan glycosides from unroasted Burma black sesame meal. Food Res. Int. 35: 357-365. 

  14.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560175. 세사미놀 배당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참깨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15. Um, M. Y., Ahn, J. Y., Kim, S., Kim, M. K. and Ha T, Y. (2009) Sesaminol glucosides protect a-amyloid peptideinduced cognitive deficts in mice. Biol. Pharm. Bull. 32: 1516-1520. 

  16. LeDoux, J. E. (1993) Emotional memory systems in the brain. Behav. Brain Res. 58: 69-79. 

  17. Sarter, M., Bodewitz, G. and Stephens, D. N. (1988) Attenuation of scopolamine-induced impairment of spontaneous alteration behaviour by antagonist but not inverse agonist and agonist beta-carbolines. Psycopharmacology 94: 491-495. 

  18. Morris, R. G. (1984) Development of a water maze procedure for studying spatial learning in the rat. J. Neurosci. Meth. 11: 47-60. 

  19. Bekinschtein, P., Cammarota, M., Katche, C., Slipczuk, L., Rossato, J. I., Goldin, A., Izquierdo, I. and Medina, J. H. (2008) BDNF is essential to promote persistence of long-term memory storage. Proc. Natl. Acad. Sci. U. S. A. 105: 2711-2716. 

  20. Myhrer, T. (2003) Neurotransmitter systems involved in learning and memory in the rat: a meta-analysis based on studies of four behavioral tasks. Brain Res. Brain Res. Rev. 41: 268-287. 

  21. Blokland, A. (1995) Acetylcholine: a neurotransmitter for learning and memory? Brain Res. Brain Res. Rev. 21: 285-300. 

  22. Acheson, A., Conover, J. C., Fandl, J. P., DeChiara, T. M., Russell, M., Thadani, A., Squinto, S. P., Yancopoulos, G. D. and Lindsay, R. M. (1995). A BDNF autocrine loop in adult sensory neurons prevents cell death. Nature 374: 450-453. 

  23. Huang, E. J. and Reichardt, L. F. (2001) Neurotrophins: roles in neuronal development and function. Annu. Rev. Neurosci. 24: 677-736. 

  24. Bramham, C. R. and Messaoudi, E. (2005) BDNF function in adult synaptic plasticity: the synaptic consolidation hypothesis. Prog. Neurobiol. 76: 99-125. 

  25. Kuipers, S. D. and Bramham, C. R. (2006)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mechanisms and function in adult synaptic plasticity: new insights and implications for therapy. Curr. Opin. Drug Discov. Devel. 9: 580-586. 

  26. Gotz, J., Chen, F., Van, Dorpe. J. and Nitsch, R. M. (2001) Formation of neurofibrillary tangle in P301L tau transgenic mice induced by $A{\beta}42$ Fibrills. Science 293: 1446-1447. 

  27. McCarty, M. F. (2006) Toward prevention of alzheimers disease ? Potential nutraceutical strategies for suppressing the production of amyloid beta peptides. Med. Hypotheses 67: 682-6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