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고등학교 여자 청소년의 뷰티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auty Action of the Growing Generation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18 no.3, 2010년, pp.514 - 525  

설현진 (혜천대학 코디네이션디자인계열) ,  최인려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rapidly changed 21st century when the flow speed of information is so fast and the quantity of information is too much increasing, personal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 image-formation is highly evaluated. Nowadays personal appearance is very essential to competition and may be considere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제 청소년은 당당한 뷰티디자인산업의 고객으로 인식되어야 하고, 따라서 청소년에 대한 고객분석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뷰티상품 개발 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더 나아가 미래 성장동력인 뷰티산업이 성장해 나가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으로 분류되는 여자 중학생과 여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여자 청소년의 뷰티 제품 사용 실태와 관련하여 뷰티 제품의 선호도, 구입비용 및 구입 장소 등을 헤어, 메이크업, 네일의 세부 뷰티행동에 대해 알아고자 한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자 청소년의 뷰티행동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제 청소년은 당당한 뷰티디자인산업의 고객으로 인식되어야 하고, 따라서 청소년에 대한 고객분석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뷰티상품 개발 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 이제 청소년은 당당한 뷰티디자인산업의 고객으로 인식되어야 하고, 따라서 청소년에 대한 고객분석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뷰티상품 개발 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또한 학교가 사회의 변화와 청소년들의 변화에 귀 기울이고 조정하고자 할 때 이러한 연구자료가 그 근거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미래 성장동력인 뷰티산업이 성장해 나가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3세에서 18세의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여자 청소년의 뷰티행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뷰티분야를 헤어와 메이크업, 네일로 구분하고 세부 뷰티행동에 대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실태에 대해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청소년으로 분류되는 여자 중학생과 여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여자 청소년의 뷰티 제품 사용 실태와 관련하여 뷰티 제품의 선호도, 구입비용 및 구입 장소 등을 헤어, 메이크업, 네일의 세부 뷰티행동에 대해 알아고자 한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자 청소년의 뷰티행동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여자 청소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뷰티행동의 차이에 대해 조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뷰티디자인 산업은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 뷰티산업은 급성장하고 있다. 뷰티디자인1)산업2) 은 미래 성장동력 산업으로(남경필 외 2009) 인식 되고 있고 그 범주가 세분화․전문화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점에서 최근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 뷰티행동의 범위와 행동의 패턴을 뷰티행동 전반을 자세하게 연구한 논문은 전무한 상황이다.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1966). 청소년기는 아동에서 성인으로의 과도기로서 정서적 변화뿐 아니라 신체적으로 급격한 외적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이다. 신체적 변화는 청소년기의 정신적 특징을 형성하는 중요한 기초가 되고 있다(이정탁 2006).
여자 청소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뷰티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세부사항은 무엇인가? 1) 여자 청소년의 뷰티행동(헤어, 메이크업, 네일) 이 어떠한지 알아본다. 2) 연령에 따른 뷰티행동의 차이를 조사한다. 3) 부모의 교육 정도에 따른 뷰티행동의 차이를 조사한다. 4) 용돈에 따른 뷰티행동의 차이를 조사한다. 5) 성적 수준에 따른 뷰티행동의 차이를 조사한다. 6) 이성친구 유무에 따른 뷰티행동의 차이를 조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강혜원, 이선경 (1991). "남?녀 고등학생의 의복행동연구 : 교복?사복 선호 및 적절한 의복유형을 중심으로." 생활과학논집 5권. 

  2. 고애란, 김양진 (1996). "청소년의 의복행동에 대한 자아중심성, 자아의식, 신체만족도의 영향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권 4호. 

  3. 고애란, 진병호, 심정은 (2000). "청소년기 여학생의 의복행동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연령?지역차이와 심리적 특성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한국의류학회지 93권. 

  4. 김순흥, 양철호, 김진희, 오익수, 이용교, 윤봉근, 김은정, 오미영, 최준영, 강만철, 이용한, 임형택, 정영해, 최정미, 조지현, 정애리 (2004). "한국청소년의 삶과 의식구조." 한국사회조사연구소. 

  5. 김정애, 김용숙 (2001). "여고생의 신체 만족도와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 14권 1호. 

  6. 김현정 (2009). "남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성역할 정체감과 외모관련태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희창 (1999). "청소년기의 여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또래집단수용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남경필, 손숙미, 황영철, 정태근, 정영희, 김영진, 정두언, 신학용, 박준선, 이한성, 정병국, 김무성, 이윤성, 김재윤, 권영진, 권영세, 정미경, 나경원, 원희룡, 구상찬 (2009). 뷰티디자인산업진흥법안. 

  9. 설현진 (2010).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뷰티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안현경 (2006). "헤어스타일 연출에 관한 연구: 수도권 20대 여성의 얼굴형과 헤어 패션 감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우석훈, 박권일 (2008). 88만원세대. 서울: 레디아. 

  12. 이시원 (2003). "10대 청소년들의 뷰티관심도의 가치관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은희 (2003). "고등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외모에 대한 태도가 의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2권 2호. 

  14. 이정탁 (2006). "이동식 야영활동을 통한 비행청소년의 사고유형과 행동변화."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전창해 (2009). 거울보는 남자 '그루밍'족이 늘고 있다. 충북일보. 2009년 5월 28일 검색, http://www.inews365.com/ 

  16. 한동조 (2009). "남자 고등학생들의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문화기술학적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황윤정 (2007).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매력 지각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황인정 (1993). "원아?학부모?원장이 선호하는 유치원 교사의 체형과 이상적인 외모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Lennon, S. J. and N. A. Rudd (1994). Linkages between Attitudes toward Gender Roles, Body Satisfaction, Self-estee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 Women. Family and Consumer Science Research Journal Vol. 23. 

  20. Ryan, M. S. (1996). Clothing: A Study in Human Bebavior. N.Y: Holt, Rinehart & Wi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