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과계 간호사를 위한 환자안전 관점의 실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atient Safety-focused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Surgical Nurse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6 no.2, 2010년, pp.152 - 161  

김영미 (서울대학교병원 외과간호과) ,  유명숙 (서울대학교병원) ,  조연희 (서울대학교병원) ,  박승혜 (서울대학교병원) ,  남승남 (서울대학교병원) ,  박미옥 (서울대학교병원) ,  김세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김민영 (제주대학교병원 제주지역암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project was to develop a patient safety-focused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surgical nurse and to test the effects of this program. Methods: Methodological designs for instruments development, a pretest-posttest and a posttest design were employed. After the education,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대부분의 병원에 간호단위 특성별로 표준화된 실기교육 프로그램은 거의 없으며, 대개 병원 오리엔테이션 교육을 받을 때만 이루어지는 투약교육도 투약오류 사례에 초점을 둔 실제적인 프로그램은 없다. 그러므로 간호현장 특성에 맞는 실무교육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0을 초과한 값이 없었다. 따라서 회귀식의 가정을 충족하여 회귀분석의 결과를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분석결과 실기의 업무적용도, 투약 자신감, 현 병동 임상경력이 실기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세 요인에 의한 설명력은 66.
  • 본 연구는 외과계 간호단위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습득해야할 기본적인 실기와 투약지식에 대한 실무교육 프로그램을 환자 안전 관점에서 개발하고 적용하여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시도되었다.
  • 실무교육이란 직원의 직무수행을 강화하기 위해 제공하는 모든 현장교육이다(Ji, Han, Moon, Jeon, & Yun, 1996). 본 연구에서는 외과계 간호단위에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용량주입기계사용, 흡인, 흉관배액, 산소투여, 약물흡입기사용, 인슐린투여 등 6개 실기영역과 투약지식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총 120-150분에 걸쳐 시행한 교육을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실무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외과계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필요한 실기와 투약지식의 수준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환자에게 안전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일반적으로 실무교육은 직원의 현행 직무요구를 조사하여 부족한 점을 교정하기 위하여 의료기관 자체 내에서 실시하는 교육과 훈련을 말한다. 본 연구의 실무교육 프로그램은 외과계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기와 투약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여 간호사의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안전이란 무엇인가? 이렇게 의학기술이 계속 발전하고 의료의 질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안전은 더욱 더 위협받고 있어 환자안전의 역설(Hatlie, 2003)이란 표현이 회자되고 있다. 환자안전은 환자에게 우연한 손상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의료과실과 위해사건 발생의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환자를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Kohn, Corrigan & Donaldson, 1999)으로, 의료의 질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이다. 의료기관의 특성상 환자안전 문제는 언제나 도사리고 있지만 전통적으로 환자안전에 대한 언급 자체가 금기 시 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의료지식의 방대한 증가는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의료분야에서 극적인 변화는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으며, 의료기관들은 더욱 복합적으로 변화하고, 의료 시스템과 과정은 점점 상호의존적이 되어, 의료오류의 기회가 증가되었다. 의료지식의 방대한 증가는 의료종사자들이 최신정보를 지속적으로 따라 가기 어렵게 만들었으며, 업무량은 가중되어 의료전문가에게 더 많은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있다. 의료진은 급속히 변화하는 환경에서 일하게 되었고, 이전에 하지 않던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으며, 최소한의 교육만 받고도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Joint Commission Resources, 2007).
외과계 간호단위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습득해야할 기본적인 실기와 투약지식에 대한 실무교육 프로그램을 환자 안전 관점에서 개발하고 적용하여 유효성을 평가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교육요구를 파악하여 교육내용을 선정하였으며, 교육방법은 강사시범, 1:1 실기평가, 투약교육 전후 시험실시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투약시험을 제외하고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 대한 간호사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본 실무교육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업무자신감과 투약지식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유용성, 업무적용도, 자신감, 투약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본 실무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실기교육과 투약교육이 간호사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음이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bbott, P. A. (2003). Research in patient safety/error reduction: A Nursing Perspective. Proceedings of Post-conference for 8th International Congress in Nursing Informatics, Rio De Janeiro, Brazil. 

  2. Ahn, K. H., Yoon, H. S., Kim, I. J., & Kim, E. S. (2003). Evaluation on effectiveness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 -by Kirkpatrick's evaluation model-. Clinical Nursing Research, 9(1), 17-28.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 Curtin, L. L. (1997). When negligence becomes homicide. Nursing Management, 28(7), 7-8. 

  5. Fiesta, J. (1988). The law and liability -a guide for nurses- (2nd ed.).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6. Fiesta, J. (1998a). Legal aspects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Nursing Management, 29(1), 22-23. 

  7. Fiesta, J. (1998b). Target high-risk areas for medication error. Nursing Management, 29(12), 12-13. 

  8. Hatlie, M. (2003). Making New Jersey a model for patient safety. Patient safety history and reporting: An overview. Retrieved July 16, 2009, from http://newjersey.gov/health/ps/presentat ions/documents/hatlie.pdf 

  9. Ji, S. A., Han, S. S., Moon, H. J., Jeon, C. Y., & Yun, E. J. (1996). Nursing Management (2nd ed.). Seoul: Soomoonsa. 

  10. Johnson, C. (2000). We made a mistake. Nursing Management, 31(4), 22-24. 

  11. Joint Commission Resources (2007). Root cause analysis in health care: Tools and techniques (Kim, J. E., Kim, S. H., & Lee, S. Y. Trans). Seoul: Epublic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12. Joint Commission Resources (2008). Front line of defense: The role of nurses in preventing sentinel events (Kim, J. E., Park, M. H., Park, S. Y., & Lee, S. Y. Trans). Seoul: Epublic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13. Jun, I. D. (1993). Occurrence structure and judicial case studies in nursing accidents. The Korean Nurse, 32(5), 31-45. 

  14. Kim, Y. H. (2000). A study on the nursing practice programs for clinic nurs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5. Kim, Y. M. (2009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legal issuefocused nurse charting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Kim, Y. M. (2009b). Comprehensive consideration about patient safety. Department of education, Patient safety (pp. 11-42).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17. Kirkpatrick, D. L. & Kirkpatrick, J. D. (2006).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3rd ed.).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Publishers. 

  18. Kohn, L. T., Corrigan, J. M., Donaldson, M. S. (eds, 1999):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 C: Institute of Medicine. National Academy Press. 

  19. Milligan, F., & Dennis, S. (2004).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incident reporting. Nursing Standard, 19(7), 33-36. 

  20. Oh, S. I., & Han, S. S. (2008). A study of sustainable effects of reeducation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n nurses's knowledge and ski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3), 383-392. 

  21. Osborne, J., Blais, K., & Hayes, J. S. (1999). Nurse's perceptions - when is it a medication error?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9(4), 33-38. 

  22. Page, Ann E. K. (2004). Keeping patients safe: Transforming the work environment of nurses.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ies Press. 

  23. Park, J. A., & Kim, B. J. (2009).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6), 840-850. 

  24. Pepper, G. (1995). Errors in drug administration by nurses.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52, 390-395. 

  25. Schaubhut, R. M., & Jones, C. (2000). A systems approach to medication error reduction.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14(3), 12-27. 

  26. Whang, K. B., Kim, M. S., Yang, T. S., Yang, B. G., Jeong, E. K., Yang, S. J., et al. (1999). Evaluation on effectiveness of public health personnel trai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5(1), 118-132. 

  27. Yu, J. H. (1995). A study on the practical education in fundamentals of nursing.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 200-2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