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콩 종류별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비교
Comparison of Effect of Various Types of Soybeans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10 = no.126, 2010년, pp.1532 - 1537  

임선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두와 검정콩에 속하는 흑태, 서목태 및 서리태의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비교하였다. Ames 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 실험에서 간접돌연변이원인 $AFB_1$에 대해 모든 종류의 콩 메탄올 추출물들은 농도 의존적으로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증가하였다(p<0.05). 대두 메탄올 추출물보다는 검정콩들인 흑태, 서목태 및 서리태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효과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검정콩 중에서 약콩이라고 불리는 서목태에 의한 항돌연변이 효과가 높아 첨가농도 5 mg/plate일 때 82%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직접 돌연변이원인 MNNG에 대한 각 종 콩 메탄올 추출물들의 항돌연변이성 실험을 한 결과, $AFB_1$에 대한 효과와 유사하게 검정콩중 서목태에 의한 효과가 높았으며 첨가농도 2.5 및 5 mg/plate일 때부터 각각 58% 및 61%로 돌연변이를 억제시켰다. 인체 암세포를 이용하여 대두 및 검정콩 메탄올 추출물들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종류의 콩 메탄올 추출물(첨가농도 1 mg/ml)을 인체 위암세포(AGS)에 처리했을 때 50% 이상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대두보다는 검정콩에 의한 효과가 높았으며 흑태, 서목태 및 서리태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61%, 70% 및 65%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경우, 검정콩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효과가 대두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서목태 메탄올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유의적 차이는 살펴 볼 수가 없었다. 인체 간암세포(Hep 3B)에 의한 증식 억제효과는 이상의 암세포에 대한 효과보다 다소 낮았으나 흑태, 서목태 및 서리태 메탄올 추출물은 첨가농도 1 mg/ml에서 각각 51%, 59% 및 52%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여기서도 서목태에 의한 억제효과가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Ames 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실험에서 검정콩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억제 효과가 높았고 특히 소립 검정콩에 해당하는 서목태에 의한 생리활성이 우수하였으므로 검정콩에 많이 함유된 색소에 의한 효과라고 추정되며 여기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yellow and black soybeans (black soybean, Seomoktae and Seoritae) on mutagenicity using the Ames test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HT-29 human colon cancer, Hep 3B hepatocellular carcinoma ce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on [21] 등은 통풍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인 요산을 생성하는 xanthine oxidase에 대한 검정콩 색소의 활성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검은콩의 생리활성을 노란콩과 비교하고 검정콩에 속하는 흑태, 서목태 및 서리태를 중심으로 Ames 실험을 이용한 돌연변이 유발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 에 대해 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들은 80% 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음을 보고하였다[11].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두와 함께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검은콩을 종류별로 나누어 항돌연변이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식품을 포함하여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 물질을 탐지하는데 널리 이용되는 Ames test를 실시하였다. 간접돌연변이원인 AFB1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검정콩은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검정콩은 블랙푸드를 대표하는 검은색 식품으로 흑태, 서목 태 및 서리태로 구분한다. 흑태는 보통의 검정콩을 일컬으며 검정콩 가운데서 크기가 가장 크며 맛이 담백하고 고소해 밥 이나 콩조림 등 두루 사용되며 서목태는 검정콩 중에서 크기 가 가장 작고 윤기가 나며 해독작용이 뛰어나 “약콩” 혹은 “쥐눈이콩”이라고 불리고 주로 한방에서 이용된다.
검정콩 종실은 일반 노란 콩과 성분 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무슨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검정콩 종실은 일반 노란콩과 성분면에서 큰 차이가 없고 단지 종피에 anthocyanin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Anthocyanin이라는 검정콩 종피의 페놀성 물질은 적색, 자색, 청색을 나타내는 수용성 플라보노이드 색소로 인체에 아무런 부작용이 없고 항산화 효과 등의 생리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 려져 있다[5,8,20,22].
검정콩의 한 종류인 서리태의 특징은 무엇인가? 흑태는 보통의 검정콩을 일컬으며 검정콩 가운데서 크기가 가장 크며 맛이 담백하고 고소해 밥 이나 콩조림 등 두루 사용되며 서목태는 검정콩 중에서 크기 가 가장 작고 윤기가 나며 해독작용이 뛰어나 “약콩” 혹은 “쥐눈이콩”이라고 불리고 주로 한방에서 이용된다. 서리태는 첫 서리 내릴 때 따는 콩이라 붙여진 이름으로 껍질은 검은색 이지만 속이 파랗다고 하여 “속청”이라 부리며 고소한 맛이 강하여 콩찰편, 콩자반 및 밥에 넣어 식용된다. 에 서 검정콩의 효능에 대하여 “신장을 다스리고 부종을 없애며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며 모든 약의 독을 풀어준다”고 기록 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mes, B. N., J. McGann, and E. Yamasaki. 1975. Method for detecting carcinogens and mutagens with the Salmonellsa/ mammalian-microsome mutagenicity test. Muta. Res. 31, 347-364. 

  2. Bae, E. A. and G. S. Moon. 1997.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soybea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203-208. 

  3. Choi, S. H. and Y. A. Ji. 1989. Changes in flavor chungkook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229-234. 

  4. Franceschi, R. T., W. M. James, and G. Zerlauth. 1985. $1{\alpha}$ , 25-dihydroxy vitamin D3 specific regulation of growth, morphology and fibronectin and a human osteosarcoma cell line. J. Cell Physiol. 123, 401-409. 

  5. Francis, F. J. 1984. Future trends, pp. 233-247. In Walford, J. (ed.), Developments in Food Colors-2, Applied Science Publishers, New York, USA. 

  6. Goldburg, E., H. Nitowsky, and S. Colowick. 1965. The role of glycolysis in the growth of tumor cells. J. Biol. Chem. 240, 2791-2796. 

  7. Kim, S. H., T. W. Kwon, Y. S. Lee, M. G. Choung, and G. S. Moon. 2005. A major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3-77. 

  8. Kim, Y. H., H. T. Yun, K, Y, Park, and S. D. Kim. 1997. Extraction and separation of anthocyanins in black soybeans. RDA J. Crop. Sci. 39, 35-38. 

  9. Koh, K. J., D. B. Shin, and Y. C. Lee. 1997. Physicoshemical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ion from small red bean, mung bean and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54-859. 

  10. Liao, H. F., C. J. Cou, S. H. Wu, K. H. Khoo, C. F. Chen, and S. Y. Wang. 200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ctive compound from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 and its effect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leukemic U937 cells. Anti-Cancer Drugs 12, 841-846. 

  11. Lim, S. Y. 2007.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y of soybean fractions extracted by solvents. J. Life Sci. 17, 1368-1373. 

  12. Lim, S. Y., K. Y. Park, M. S. Bae, and K. H. Kim. 2009. Effect of doenjang with black soybean on cytokine production and inhibition of tumor metastasis. J. Life Sci. 19, 264-270. 

  13. Maron, D. M. and B. N. Ames. 1983. Rever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 Res. 113, 173-215. 

  14. Pratt, D. E. and P. M. Birac. 1979. Sources of antioxidant activity of soybean and soy products. J. Food Sci. 44, 1720-1725. 

  15. Record, I. R., I. E. Dreosit, and J. K. Mclnerney. 1995.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enistein in vitro. J. Nutr. Biochem. 6, 481-485. 

  16. Ryu, S. H. and G. S. Moon. 2003.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dietary yellow and black soybean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91-597. 

  17. Shin, M. K. and S. H. Han. 2002. Effect of soybean extracts on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fat diets fed rats. Korean Soyeban Digest 19, 48-54. 

  18. Shin, M. K. and S. H. Han. 2002.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Rhynchosia nulubillis on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high fat and high cholesterol diet. Korean J. Dietary Culture 17, 64-69. 

  19. Shon, M. Y., K. I. Seo, S. W. Lee, S. H. Choi, and N. J. Sung. Biological activities of chungkugjang prepared with black bean and changes in phytoestrogen content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36-941. 

  20. Son, J. H., M. G. Chung, H. J. Choi, U. B. Jang, G. M. Son, M. W. Byun, and C. Choi. 2001. Physiological effect of Korean black soybean pig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64-768. 

  21. Son, J. H., M. G. Chung, H. J. Choi, U. B. Jang, J. H. Bae, H. D. Lee, and C. Choi. 2002. Stability of black soybean pigment extract.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179-184. 

  22. Tsuda, T., K. Shiga, K. Oshima, S. Kawakishi, and T. Osawa. 1996.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the active oxygen isolated from Phaselous vulgaris L. Biochem. Pharmacol. 52, 1033-1039 

  23. Wei, H., L. Wei, K. Frenkel, R. Browen, and S. Barnes. 1993. Inhibition of tumor promotor-induced hydrogen peroxide formation in vitro and in vivo by genistein. Nutr. Cancner 20, 1-5. 

  24. Wei, H., Q. Cai, and R. Rahn. 1996. Inhibition of UV lightand Fenton reaction-induced oxidative DNA damage by the soybean isoflavone genistein. Carcinogenesis 17, 73-78. 

  25. Zaidi, N. H., P. J. O'Connor, and W. H. Butler. 1993. N-methyl-N'-nitro-N-nitrodoguamidine-induced carcinogenesis: differential pattern of upper gastointestinal tract tumours in Wistar rats after single or chronic oral doses. Carginogenesis 14, 1561-156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